신형철이 신경숙에게
김후란 번역판 < 우국 > (미시마 유키오)은 이번에 처음 접했는데 인용 대목이 < 전설>(신경숙)의 해당 부분과 거의 같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기가 어렵다고 생각한다. 문장의 '뜻'만 아니라 '표현'이 같고 그것들의 '배열'도 일치한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그 단락 전체가 거의 같아졌다. 같은 것을 다르다고 말할 수는 없다. 나 역시 그렇다. '문장' 단위라면 몰라도 '단락' 단위에서 또렷한 유사성이 우연의 일치로 발생하는 것은 아마도 불가능할 것이다. 이십 년 전에 처음 발표된 이 단편소설이 어떤 과정을 거쳐 그런 결과에 이르렀는지에 대해서는 당연히 알지 못한다. 과정이 어떠하였건 <우국>과 < 전설 > 사이에 빚어진 이 불행한 결과에 대해서는 작가의 자문(自問)과 자성(自省)이 필요해 보인다. 다른 작품들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음을 안다. 회피할 일은 아니며 따질 것은 따져야 한다. 그러나 논란과 무관한 많은 다른 작품들이 있다. 신경숙 작가의 뛰어난 작품들마저 부정할 수는 없으며 그 작품들에 제출한 상찬을 철회할 이유는 없다. 그래서 작가가 이번 사안에 대해서 사과하고 이를 창작활동의 한 전기로 만들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많은 분들의 고언대로, 신경숙 작가의 책임을 묻고 끝낼 일도 아니다. 과거 한국문학에 큰 빚을 졌고 현재 문단에서 활동하는 한 사람으로서 나 역시 침통한 책임감을 느낀다. 한국 문학을 조롱하는 일이 유행이 된 것처럼 보이는 때일수록, 더욱, 한국문학이 독자의 신뢰와 사랑을 회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계속 찾아나갈 것이다.
2015년 6월 18일 신형철
신형철은 신중한 사람'이다. 그가 언론사에 보낸 보도자료를 봐도 그렇다. 이 글에는 핵심어인 << 표절 >> 이란 단어가 없다. 핵심은 " 신경숙 표절 논란 " 인데 공교롭게도 본문에 " 표절 " 이라는 단어가 없는 것이다. 고심한 흔적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그는 의도적으로 이 단어에 대한 언급을 회피한 것이다. 기껏해야 " 불행한 결과 " 라는 표현이 고작이다. 그는 참...... 신중한 사람이다. 그래서 내가 미문으로 작성된 글을 믿지 않는 것이다. 조지 오웰과 김수영의 글은 명문이지만 미문은 아니다. 명문에는 미문이 포함될 수도 있지만 미문이라고 해서 반드시 명문이라고는 할 수 없다. 정직하게 쓴 투박한 글은 잔재주를 부리는 미문보다 훌륭한 법이다. 신형철은 문장 속에 잔재주를 부리는 문인'이다. 깨는 적, 당히 뿌리시라.
신형철은 신경숙에게 “ 같은 것을 다르다고 말할 수 없다 ” 고 충고한다. 신형철이 쓴 입장 표명에서 이 문장이야말로 핵심‘이다. 나는 잠시 들여다보고 꽤 크게 웃었다. 그는 왜 << 같은 것은 같다고 말해야 한다 >> 가 아니라 << 같은 것을 다르다고 말할 수 없다 >> 고 돌려 말했을까 ? 다시 말해서 신형철은 “ 말해야 한다 ” 고 쓰지 않고 “ 말할 수 없다 ” 고 썼냐는 말이다. 여기에는 “ 침묵의 카르텔 " 에 동참한 행위에 대한 무의식적 쪽팔림'이 발현된 것은 아니었을까. 그렇다면 그에게 묻고 싶다. 그는, 혹은 그가 소속된 문학동네 편집위원들은 그동안 숱하게 제기되었던 대형 작가의 표절 논란에 대해서 그동안 왜 침묵했었나. < 같은 것을 다르다고 말할 수 없는 게 정직한 태도 > 라면, < 다른 것을 다르다고 폭로할 수 없는 것은 비겁한 태도 > 가 아니었을까 ?
또한 " 회피할 일은 아니며 따질 것은 따져야 한다 " 고 자못 비장한 말투이지만 다시 되묻자. 따질 것은 따져야 하는데 왜 그동안 당신은 회피로 일관했었나 ? 들끓는 냄비 뚜껑의 비트'가 임계점에 다다르자 겨우 입을 여는 태도에서는 억지로 학예회 무대 위에 오른 유치원 꼬마의 일그러진 얼굴 표정 같다. 하기 싫은 데 억지로 해서 짜증이 난다는 투다. 대중이 한국 문학을 조롱하는 일이 유행이 된 것에 대한 책임은 표절 논란의 중심에 놓인 작가가 아니라 문학 권력 앞에서 눈치나 보는, 평론을 가장한 홍보용 출판사 보도 자료를 제공하는 문학평론가의 잘못이 더 크다. 스포츠 무대에서 약물 복용이 발각되면 비록 그 선수가 세계 신기록을 작성했다고 해도 그 기록은 삭제된다. " 신경숙 작가의 뛰어난 작품들마저 부정할 수는 없으며 그 작품들에 제출한 상찬을 철회할 이유는 없다. "
는 말 속에는 << 인지부조화 심리 >> 가 엿보인다. 잘못을 인정하면 자존심에 칼집이 나니 어정쩡한 고집을 부리는 것이다. 이 글은 과거에 대한 반성은 없고 미래에 대한 다짐만 있다. 앞만 보고 달리시겠다는 태도. 오도방 쇼바 잔뜩 올리며 삼일절에 빠라빠라빠라빰, 경적을 울리겠다는 소리가 참..... 좋네요. < 우국 > 을 처음 접했다는 사족'은 경험 많은 여자가 모텔 침대에 누워 " 나, 오늘 처음이에요 ! " 라고 말하는 고백처럼 들린다. 또한 " 이십 년 전에 처음 발표된 이 단편소설(전설) " 이라는 문장에서는 20년 전의 자신'을 은연중에 독자에게 강조한 것처럼 보인다. 물론 그 시절에 신형철은 문학평론가는 아니었겠지. 사족으로 시작해서 발뺌으로 빠지는 꼴이 영락없이 뭣 같다. 언제부터 문학평론가는 신간 소설'만 읽어야 하나 ?
명색이 문학평론가이고 명색이 일본을 대표하는 미시마 유키오의 작품을 읽지 않았다면 게으른 독서를 한 셈이고, 읽었으면서도 처음 읽었다며 눙을 치면 양심에 어긋나는 것이고, 오래 전에 제기된 의혹을 검토하지 않았다면 직무 유기'다. 냄비 뚜껑을 열리게 만드는 것은 압력이 아니라 거품이다. 사소한 것이 하나둘 거품이 되어 뚜껑을 뒤집는다. 신경숙은 거품이다. 그리고 그 거품에 의해 뚜껑이 떨어져나간 쪽은 바로 문단이다. 원래 냄비와 뚜껑은 한몸이다. 장터에다 헌 냄비를 팔 때 냄비 따로 뚜껑 따로 값을 매기지는 않는 법. 하지만 뚜껑 없는 냄비'는 뚜껑이 있는 냄비보다 헐한 가격에 팔린다. 냄비 뚜껑 간수 잘하시라.....
덧대기
종종 북한말 '이 매력적일 때가 있는데 < 표절 > 의 북한말이 도적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