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올까 ?

 

 

세상(대한민국) 돌아가는 꼴을 계절에 빗대자면 겨울 3단계와 유사1하다. 12월이 되면 발 동동 구르며 춥다 춥다 하지만 1월은 더 춥다. 1월이 되면 또 발 동동 구르며 춥다 춥다 하지만 1월보다 더 추운 2월이 기다리고 있다. 甲은 대입 수험생에게 이렇게 속삭인다. " 12월이 가장 추우니, 이번 한파만 넘기면 추위는 물러난단다. 그러니 딴생각하지 말고 공부나 열심히 하렴 ! " 아이들은 이 말을 믿고 열심히 공부한다, 대학에 들어간다. 하지만 꽃 피는 봄은 없다. 1월은 12보다 더 춥다. 꽃 피는 봄은 부잣집 도련님이나 공주님에게나 오는 계절일 뿐이다. 멘토로 유명했던 김미경은 스스로를 " 개천에서 용 난 년 " 이라고 말하고 다니지만, 이제는 개천에서 용 나는 때는 지났다. 개천에는 용 대신 이끼 벌레만 있을 뿐이다.

 

이끼 벌레는 대장부여서 찔러도 도망칠 생각도 않는다. 뻔뻔한 놈이 개천에 산다. 좋은 환경에서 착하게 자란 도련님과 공주님이 해맑게 공부하고 있을 시간에 당신은 바코드를 찍으며 공부 걱정(만) 한다. 스팩보다 중요한 것은 이제 주민등록등본이다. 자식 입장에서 보면 가난한 아빠보다 부자 아빠가 경쟁력이다. " 4당 5락2 " 이라는 말이 있듯이, 대입 수능생 시절에는 잠을 적게 자야 성적이 오르지만, 아르바이트 일도 하고 공부를 병행하느라 잠을 적게 자는 대학생은 오히려 넉넉한 지원을 받는 도련님과 공주에게 밀린다. 당대는 항상 지옥이다. 축 쳐진 어깨로 빈 강의실에 앉아 있을 때 김난도 같은 선생이 다가와 당신에게 말할 것이다. " 힘들지 ? 아프니깐 청춘이고, 천 번을 흔들려야 어른이 된단다. 좋은 날이 올 거야. "

 

아, 이토록 따듯한 말 한 마디 ! 이 추위도 곧 물러가리라. 그렇다면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에 다닌다고 해서 추위가 물러날까 ? 천만에 ! 2월은 더 춥다. 본격적으로 당신은 乙이 된다. 취준생, 88만원, 인턴, 비정규직, 신입사원, 사회 초년생, 시다바리가 된다. 그리고는 깨닫게 된다. 12월은 춥지만, 1월은 더 춥고, 2월은 1월보다 더 춥다는 사실. 아프면 병원 가야 하고, 천 번 흔들리면 어른이 되기는커녕 늪지대 " 갈대 " 가 되어 만날 흔들리다가, 나이가 들고 돈도 없어 " 갈  데 " 없는 신세가 되어 결국에는  " 갈 때 " 되면 세상을 떠나야 한다는 사실. 김난도의 말이 사실이라면 좋은 부모 만나 세상 풍파 없이, 흔들리지 않고,  곱게 자라서  칠순 노인이 된 사람은 어른이 아니란 소리인가 ?  시간이 지나면 누구나 어른이 된다.

 

 한 번 흔들려도 어른이 되고, 천 번 흔들려도 어른이 된다. 이왕이면 한 번 흔들리는 게 낫지 않을까 ? 김난도 선생 말이 맞다면 자식은 " 온실 속 " 보다는 " 개똥 밭 " 에서 키워야 천 번을 흔들릴 텐데, 김난도 선생 자녀들은 개똥 밭에서 뒹굴며 흔들리고 있는지 묻고 싶다. 김미경 독설도 의미 없지만, 김난도 힐링도 의미 없다. 병신 같은 말이다. 이처럼 주인 甲 은 항상 당신에게 희망 고문을 한다. 오늘 지나면 추위는 물러날 거라고 말이다. 그러니 징징거리지말고 닥치고 열심히 공부(일)이나 하세요, 수험생 근로자 여러분 ! 김영하가 힐링 캠프에 나와 강의를 했다. 그는 다른 힐링 코치와는 달리 지금은 젊은이에게는 희망은 없다고 말했다(고 한다. 나는 그 방송을 보지 못했지만.... ). 역시, 김영하는 달라 ! 방청객들은 우레와 같은 박수와 고래와 같은 한숨을 내쉬었다.

 

그런데 그들이 놓치고 있는 것이 있다. 김영하와 그 전 힐링 코치의 강연 내용은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말이다. 문제는 그런 힐링 코치 강연에 나가서 자신을 힐링하려고 하는 청중에게 있다. 그들은 그저 성공한 타인의 말에 위로를 받고 싶을 뿐이다. 희망은 없어요, 라는 말에도 위로를 받고 희망은 있어요, 라고 말해도 위로를 받는다. 왜냐하면 강연 내용이 중요한 게 아니라 성공한 명사의 말을 믿고 따르려고 하는 나약한 노예 근성 때문이다. 그런 강연을 듣는다고 해서 당신의 정신 건강이 성장하지는 않는다. 그러한 태도는 정신 승리는커녕 정신 박약에 가깝다. 타인의 말에서 위로를 받는다는 것만큼 멍청한 짓도 없다. 봄은 없다. 스승도 없고, 멘토도 없다. 사랑은 영원할 것 같지만 뒤돌아서는 순간 쌍년이 되거나 개새끼가 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어느 누구도, 그 어느 말에도 열광할 필요가 없다. 커트 보네거트의 말투로 끝내겠다. " 시발... 세상이 다 그런거지 뭐 ! "

 


댓글(9)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립간 2014-12-12 14: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기승전결의 흥망성쇠 이야기를 떠올립니다. 일정 부분에서 순환을 봅니다. 그러니까 겨울 후에는 봄이 올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여기에서의 결結은 파국 catastrophe, 망국亡國을 의미합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4-12-12 23:08   좋아요 0 | URL
그렇군요. 결국은 망국이군요. 어째 대한민국은 변하지 않을 것만 같습니다. 재벌 세습, 족벌 시스템이 사라지지 않는 이상 봄은 올 것 같지가 않아요. 지금 현재로서는 겨울왕국인 듯..

마립간 2014-12-13 08:33   좋아요 0 | URL
구한말하고 너무 비슷하다는 생각 안 하세요.

세도정치와 같은 재벌족벌, 정권에 연연하는 정치권, 양극화와 서민들의 피폐, 형식적인 과거제도를 통한 세습과 뒤거래에 의한 대학입학, 직업 세습, 정권의 철도에 대한 결정 등, 그 당시에 계급이 있었다면 지금 계층이라고 부르는 계급이 있죠.

2014-12-12 16: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4-12-12 23:07   좋아요 0 | URL
별 말씀을요. 타인 의존성이라고나 할까요. 사람들은 항상 이런 힐링 캥프 같은 곳에서 위로를 받으려고 합니다. 을이면 을이 연대해서 서로 위로하고 힘을 주는 것에는 관심도 없어요. 꼭 성공한 자의 말에 위로를 받으려고 합니다. 계급 연대 의식이 없어서 그렇습니다.

비로그인 2014-12-12 17: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이 아주 쓰고 맛없는 보약같습니다. 이런글 좋아요.

곰곰생각하는발 2014-12-12 23:05   좋아요 0 | URL
고맙습니다. 더욱 쓰고 맛없는 보약이 되겠습니다.

cyrus 2014-12-12 23: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추우면 어떻게든 몸의 온도를 높이게 움직여야 해요. 아니면 다른 사람들과 부둥켜안거나 다함께 장작과 부싯돌을 구해서 불을 피운다면 체온을 높일 수 있어요. 그런데 힐링을 원하는 사람들은 누군가가 건네주는 따뜻한 옷만 원하는 것 같아요. 분명 자신들보다 열악한 환경 속에서 세상의 차디찬 추위에 온몸을 벌벌 떠는 사람들이 있는데도요. 이런 사람들이야말로 따뜻한 옷이 필요해요. 저는 몸과 마음이 추워도, 추위를 덜어줄 것 같은 힐링에 관심이 없어요. 쉽지 않은 일이지만, 추운 세상 속에서 스스로 마음을 단련할 수 있는 법을 터득해야 된다고 봐요. 제가 아직 단련의 경지에 이른 것은 아니지만, 나름 노력하는 중입니다. 한파 같은 세상 속에서 내 마음을 스스로 단련하기 어려워도, 정자를 만들어주는 가운데 주머니가 단련되어서 만족합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4-12-12 23:11   좋아요 1 | URL
맞습니다. 제가 힐링 캠프, 강단 문화를 혐오하는 이유는 갑이 나와서 자신의 성공 스토리를 말하며 을을 가르치려는 서사 때문이 아니라 성공한 자의 말에만 매달리려는 을의 태도 때문입니다. 계급의식이 부족한 겁니다. 노동자는 노동자와 단결하여 서로 귀 기울이고 힘이 되고 위로가 되어야 하는데 그런데는 관심도 없습니다. 그러니 정작 귀를 기울여야 하는 이웃의 목소리는 외면하고 성공한 자의 위로만 들으려고 합니다. 강사보다는 청중이 문제인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