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내라 브론토사우루스 스티븐 제이 굴드 자연학 에세이 선집 3
스티븐 제이 굴드 지음, 김동광 옮김 / 현암사 / 2014년 4월
평점 :
품절


 

 

 

 

 

 


 

 

 

매미와 함께 피어싱'

 

 

그녀는 어딘지 모르게 깊고 어두운 구석이 있었다. 청순가련한 여자이기보다는 스모키 화장과 피어싱이 잘 어울리는 팜므파탈에 가까웠다. 매력 있는 여자였다. 손창섭의 단편 << 인간 동물원 초(抄) >> 를 읽어보라고 한 이도 그녀'였다.  어느 날. 그녀는 툭, 지나가는 말을 내게 던졌다. " 매미는 5년 동안 땅속에 살다가 세상 밖으로 나오면 고작 열흘 남짓 살다 죽잖아요 ? 매미는 땅속에 있을 때가 행복했을까요 ? 아니면 나무에 매달려 있을 때가 행복했을까요 ? " 정확한 기억은 아니지만 또래끼리 사소한 논쟁이 있었던 모양이었다. < 짧고 굵게 : 빛나는 태양 아래서 죽느냐 > 아니면 < 길고 가늘게 : 어둠 속에서 사느냐 > 가운데 어느 삶이 더 가치있는가, 라는 질문이었다.

 

나는 곰곰 생각하다가 땅속에서 산다고 해서 불행한 삶은 아닐 거라고 두리뭉실하게 말했다. 성의 없는 답변이었다. 성의가 없었다, 라기 보다는 대답이 궁했다는 편이 맞을 것이다.  스티븐 제이 굴드의 과학 에세이 모음집 << 힘내라, 브론토사우르스 >> 에 삽입된 " 밝게 빛나는 커다란 땅반딧불 애벌레 " 라는 긴 제목을 단 에세이를 읽다가 문득 그녀가 지나가는 말로 툭, 던진 그 질문이 생각났다. 

 

 

인간 존재의 여러 측면 중에서, 성장과 발생이라는 생명 주기보다 더 기본적인 것은 거의 없다. 많은 사람이 어린 시절을 찬미하지만, 서양인들은 일반적으로 아이들을 덜 발달한 불완전한 성인으로 간주한다. 성인보다 작고 연약하고 무지한 존재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성인이 되는 것이 최종 목표고, 어린 시절은 위를 향한 경로일 뿐이다. ( 360쪽 )

 

 

 

그 짦음은 성충에게만 따라다니는 속성일 뿐 그보다 훨씬 오래 사는 애벌레 역시 전체 생명 주기에 포함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17년을 사는 매미는 어떤가 ? 매미의 애벌레가 영광스러운 며칠을 끈기 있게 기다리며 오랜 기간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지내는 것은 아니다. 애벌레는 지하에서 활동적인 삶을 영위한다. 물론 그중에는 긴 수면기도있지만, 여러 차례 허물을 벗으며 왕성하게 성장하는 기간도 포함된다. (366쪽)

 

 

17년 매미'는 말 그대로 17년 동안 땅속에서 굼벵이로 있다가 세상 밖으로 나와 매미 성충으로써 열흘 남짓 살다가 죽는다. 무엇보다도 곤충류에 속하는 매미가 개나 고양이 같은 포유류'보다 더 오래 산다는 사실이 놀랍다. 그런데 17년 매미에 대한 놀라움'은 애매모호한 구석이 있다.  그것은 곤충이 17년이나 살 수 있다는 사실 때문이기도 하지만 지상에서 열흘 밖에 살지 못한다는 사실 때문이기도 하다. 17년이라는 " 지난한 세월 " 에 놀라고,  10일이라는 " 허무한 세월 " 에도 놀라게 된다. 전자는 굼벵이에 방점을 찍은 것이고, 후자는 매미에 방점을 찍은 것이다. 만약에 당신이라면 어느 쪽에 방점을 찍을 것인가 ?

  

아마도 그녀는 굼벵이'보다는 매미'가 되고 싶었을 것이다. 젊었을 때에는 불꽃처럼 살다가 허무하게 사라지는 生을 동경하게 되는 법이니까 ! 어느 날, 그녀는 날카로운 " 무엇 " 으로 온몸을 자해했다. 살은 부풀어올랐고, 핏방울이 맺혔다. 음각으로 판 상처는 공교롭게도 양각으로 이루어진 흉터가 되었다. 신기하게도 나는 그 무수한 상처를 보며 안도했다. 그 상처는 죽음에 대한 욕망보다는 생에 대한 의지'처럼 보였기 때문이었다. 그때 내가 이 책을 읽었더라면 그녀에게 논리정연한 대답을 했을 것이다. 굼벵이의 최종 목표는 매미'가 아니라고, 굼벵이는 매미에 비해 덜 발달한 존재가 아니라고, 날개는 진화의 최종 목표가 아니라고.

 

날개를 가진다는 것이 진화의 최종 목표라면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는 조류보다 덜 진화한 존재'가 된다. 진화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 반드시 날개가 필요하지는 않다. " 매미는 날개를 얻기 위해, 독수리도 아니면서, 17년 동안 땅속에서 " 독수공방 " 했을까 ? 17년 매미는 개나 고양이보다 오래 사는 곤충이다. 그러므로 열흘 살다가 죽는다, 라는 말은 잘못된 표현이다. 매미는 17년을 살았다. 매미가 완전체'라면 굼벵이도 완전체'다. 스모키 화장과 피어싱이 잘 어울리는 그녀는 어느덧 세월이 흘러 나이를 먹었다. 나는 그녀가 쓴 우울한 문장을 매우 좋아했다. 좋은 작가'가 되리라 믿는다.

 

" 힘내라, 팜므파탈이여 ! " 검은 터널은 끝에 가서야 환해지는 법이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orgettable. 2014-06-21 01: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애벌레의 삶도 삶의 일부라는 걸 예전엔 전혀 인지조차 하지 못했는데.. 이젠 오히려 애벌레에게 더 공감을 하게 된다는건 나의 젊음도 스러져간다는 걸까요 ㅎㅎㅎ

그것의 삶도 그리 나쁘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건 그렇게까지 두루뭉실한 대답은 아니었던 것 같네요!

곰곰생각하는발 2014-06-22 09:26   좋아요 0 | URL
저도 항상 매미와 굼벵이를 따로 따로 구분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매미는 열흘 밖에 못사는 녀석이라며 안타까워하고는했습니단ㄷ.ㄷ
생각해 보니 곤충치고는 정말 장수하는 짐승 아닙니까. 17년을 살다니...

마립간 2014-06-21 10:0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굼벵이의 목표가 매미라면, 삶의 목표는 죽음이죠. 이런 시각이 어떤 이에게는 굼벵이와 삶을 긍정하게 만들고, 어떤 이에게는 굼벵이와 삶을 부정하게 만듭니다.

동양에서는 태어나자마자 1살입니다. 0이라는 숫자개념이 없어 만들어진 오류이지만, 어머니의 뱃속의 1년을 삶으로 인정하지 않은 오류와 상쇄되어 ; 어머니 뱃속에서 1년을 살고 나오는 개념으로 재해석될 수 있게 되었죠.

곰곰생각하는발 2014-06-22 09:28   좋아요 0 | URL
그르네요.... 굼벵이 목표가 매미'라면 결국 죽음에 목적이네요.
0이라는 숫자는 알고 보니 인도에서 나왔더라고요. 반면 서양은 0이라는 숫자를 끝끝내 반대하다가
결국 받아들였다라고 하더군요... 근데 태어나자마자 1살인 게 맞는 것 같습니다. 아이 뱃속에 있는 것을 포함하니깐 말이죠..

곰곰손 2014-06-21 16:11   좋아요 1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 음각으로 판 상처는 공교롭게도 양각으로 이루어진 흉터가 되었다. ]



아바보ㅡ
이런 문장은 대략 너밖에못쓴다는ㅡ

짜증난다ㅡ ㅎㅎ

넘좋아서

곰곰생각하는발 2014-06-22 09:29   좋아요 0 | URL
허어, 낮부끄럽게 이게 무슨 칭찬이냐.... 근데 문장이 나쁘지는 않네..ㅎㅎ

만화애니비평 2014-06-21 23: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곰발님 즐거운 주말 되세용

곰곰생각하는발 2014-06-22 09:29   좋아요 0 | URL
뜬금없이 갑자기 웬 인사입니까..ㅎㅎ 만애비 님도 ....

엄동 2014-06-23 1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저 말 좋아해요
터널은 끝에 가서야 환해진다는.

..
그치만
인생도 때론
매미의 그것과 비슷하죠

아 환해진지 얼마다 됐다고
다시 터널 속으로 진입합니까. 허무하게

곰곰생각하는발 2014-06-24 12:26   좋아요 0 | URL
엄동 님 오랜만이군요. 교통사고 후 별탈 없으십니까 ?
앞으로 비만 오면 허리가 쑤실 겁니다.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터널은 끝에 가서야 한해진다는 말은 최승자 시에서 읽었습니다.
갑자기 최승자 시인 괜찮은지 궁금하네요.
현대 시인 중 독보적 자리를 갖는 분이기도 한데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