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서비행 - 생계독서가 금정연 매문기
금정연 지음 / 마티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 때문이야.    

 

 

 

이 자리에서 고백하자면 : 책을 주문할 때 " 진지하게 읽을 책 " 과 함께  " 가볍게 읽을 책 " 을 고른 후 장바구니에 담는 편이다. 전자는 책을 " 읽기 " 위해 사고, 후자는 책을 " 보기 " 위해 산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따분하고 고통스러운 반면 책을 본다는 것은 즐거운 쪽에 속한다. 그렇기에 읽을 책과 함께 볼 책도 함께 주문하는 행위는 보상 심리 비스무리한 행동이다. 쓰디 쓴 약을 먹고 나면 달달한 사탕 같은 주전부리를 찾는 심리라고나 할까 ?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서 하는 말이 아니다. 내게는 난독증 비슷한 경향이 있어서 책을 읽었다고 해서 내용을 정확히 이해했다고 할 수도 없고, 설령 이해했다고 해도 쉬이 까먹는다. 프르스트의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를 읽었지만 기억에 남는 거라곤 홍차와 마들렌 밖에 없다.

 

우연한 기회에 마들렌 과자를 먹었을 때 생각보다 꾀죄죄한 맛에 실망했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홍차와 함께 먹으면 절묘하게 어우러진다는 사실에 기뻐하기도 했다. 절묘한 궁합 때문이리라. 프르스트가 가지고 있는 미덕은 소소(小小)한 것에 대한 집요한 애착이 아닐까 싶다. 사실 주류 문학은 그동안 홍차를 다루었지 홍차를 마실 때 딸려 나오는 과자에는 별로 관심이 없었다. 그런 면에서 프르스트는 최초의 " 스끼다시 예찬자 " 였다. 내게 있어서 서평집은 " 진지하게 읽을 책 " 이 아니라 " 가볍게 읽을 책 " 에 속했고, " 홍차 " 로 분류하기보다는 " 마들렌 " 에 가까웠다. 오해는 말았으면 한다. 가볍게 읽을 책'이라고 해서 읽지 않아도 되는 종류를 의미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홍차만 마실 수는 없다는 말이다. 개인적으로 하루키 소설(홍차)을 좋아하지는 않지만  그가 쓴 에세이(마들렌)는 좋아한다.

 

스스로를 삼류 서평자라고 소개한 금정연의 < 서서비행 > 을 집 밖에서 서서 읽었다.  짧은 서평을 모은 집(集)이다보니 시간과 장소에 대한 구속이 없어 좋다. 이런 책은 집 밖에서 여러 날을 두고 야금야금 읽어야 제맛이다.  종로 3가에서 을지로 3가를 향하는 3호선에서 톨스토이의 < 전쟁과 평화 > 를 읽을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 평론 > 이 맛을 보는 행위라면 < 서평 > 은 간을 보는 행위'다. 전자는 [ 詳味 : 자세할 상, 맛 미 ] 이고 후자는 [ 嘗味 : 맛볼 상, 맛 미 ] 이다. 간을 본다는 것은 전체를 감별하는 게 아니라 부분을 감별하는 행위다. 짠 정도를 보는 것이다. 반면에 맛을 본다는 것은 전체를 보는 행위다. 간뿐만 아니라 식감 따위도 고려해야 한다. 그러니깐 간이 맞다고 해서 반드시 맛이 좋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간이 적당해야 맛이 좋을 확률도 높다는 점이다. < 간 > 이 음식 맛에 미치는 영향은 49%다. 서평을 읽는다는 것은 음식 간을 보는 행위와 비슷하다. 서평가는 < 간 > 에 대해 말한다. 짜다, 싱겁다 혹은 알맞다. 맛은 독자의 몫이다. 나는 간을 보기 위해 서평을 읽고 책 속에 언급한 몇몇 책은 사서 맛을 본다. 간이 맞다고 해서 무조건  음식 맛이 좋다고 할 수는 없다.

 

간은 적당한데 고기가 질겨서 식감을 떨어뜨릴 수도 있으니 말이다. 중매를 잘못 서면 뺨이 석 대'라지만 책을 잘못 소개했다고 따귀를 때릴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집 밖에서 틈나는 대로 읽을 요량으로 가방 속에 넣어두었는데 그만 앉은 자리에서 다 읽었다. 재미있다는 소리다(서서 읽었다면 더 재미있었을 것을).  그는 서평가가 맛을 보는 사람이 아니라 간을 보는 사람이라는 사실을 누구보다도 잘 아는 사람이다. 그는 국물을 떠 혀끝을 적실 뿐이지 냄비 통째로 들고 국물을 삼키지 않는다. (뜨거우니까!)  " 말하자면 우연 같은 일들 " 이라는 제목을 단 글은 김연수 작가의 < 우리가 보낸 순간 > 이라는 책에 대한 꼭지인데 책에 대한 내용은 전혀 없다. 그냥 서울역 화장실에서 일을 보고 나오다가 일을 보기 위해 들어온 김연수와 마주친 이야기가 전부'다.

 

하지만 이 " 딴청 " 에 대해 유감은 없다. 나는 프루스트처럼 주전부리를 좋아하니까. 어쩌면 이 글도 < 서서비행 > 에 대한 딴청'인지도 모른다. 마들렌은 홍차와 먹어야 맛이 좋아.

 

 

 

 

 


 

 

 

덧대기

 

저자는 LG 트윈스 팬'이다. 눈물이 앞을 가린다.

 


댓글(18)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4-03-21 06: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3-21 06: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3-21 07: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3-21 07: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만화애니비평 2014-03-21 08: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은 가차없이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러는 것이 오히려 저자를 위한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4-03-21 15:35   좋아요 0 | URL
가차없는 서평으로는 장정일이 있겠네요. 그에게는 시원한 죽비 같은 쾌감이 있습니다.
사랑하는 만애비 님 !

samadhi(眞我) 2014-03-21 09: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무척 공감합니다. ㅎㅎ.
저도 책 내용을 기억 못해서, 서평을 쓰기 시작했어요. 무슨 책을 읽었는지조차 기억나지 않을 때도 있어서^^ 기록에 대한 강박증같은 게 있거든요. 그리고 애(아)끼는 사람들에게 아무 책이나 읽을 필요 없이 제가 빡세게 고생(?)해서 고른 좋은 책을 권해주기 위해서이기도 하구요.
제 서평도 딴소리 일색이예요. 수준이 워낙 낮다보니 비평을 할 처지는 못되고. 방금 읽은 책인데도 내용이 제대로 기억나지 않을 때도 많고. 읽었는데도 내용이 들어오지 않아서 2번 읽기도 하고. 오직 기록. 기억을 위한 장치가 돼버렸네요. 그러면서도 내용이 구리면(저랑 안맞을 뿐인지도 모르는데) 작가를 마구마구 씹어대고 특히나 번역이 구리면 침튀겨가며 옮긴이를 욕하죠. 국어를 못하면 번역 좀 하지 말라는둥^^

곰곰생각하는발 2014-03-21 15:37   좋아요 0 | URL
저와 똑같네요. 제가 서평 비스무리한 걸 쓰기 시작한 이유가 바로 그겁니다.
일단 쓰면서 내용을 정리하면
신기하게도 몇 년 후 잊었어도 그냥 정리된 걸 읽으면 그때 읽었던 내용들이 다시 기억이 나더라고요.
그래서 사람들이 리뷰를 쓰는 거 같습니다. 저도 읽으면 바로 바로 정리를 해요.
전 책 덮고나면 바로 리뷰를 씁니다. 기억하려고요...

엄동 2014-03-21 09: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공감 꾸욱
흔들리는 전철안에서 볼 책이있다면
다방커피곁들여 쇼파에 푹 파묻힌 후 읽어야 맛이 나는 책이 있죠

. 늘 느끼는 거지만
곰발님 게시글들은
깊은 공감을 이끌어내는데 있어 탁월한듯
읽으며 맬 이럼. 아,내말이이이~~


덧붙임.
왜요 시범경기 잘하고 있고만요~
시범경기가 'ㅅㅂ'경기만 되지 않길 바라는 1인. 껄껄껄껄

곰곰생각하는발 2014-03-21 15:39   좋아요 0 | URL
엘지팬들에게는 서로의 묘한 공감대가 있어요.
작년에는 가을야구에 참여했지만
그동안 주욱 8년 동안 참가해 본 적이 없습니다.
그때 설움을 생각하면 눈물이 앞을 가린다는 말입니다. ㅎㅎㅎㅎㅎ

글쓰기는 자세가 중요한 게 전 인격파탄자여서
좋은 글 쓰기는 그른 것 같습니다.
하늘에서 천사가 내려오지 않는 이상은....

수다맨 2014-03-21 15: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때로는 본업(소설가 or 시인)보다 부업(서평 쓰기)을 더 잘 하는 이들을 보게 되는데 하루키도 (제 관점에서는)그렇고, (어쩌면) 장정일도 그런 것 같아요. 그렇다면 부업으로 직종을 바꾸어도 ㅡ장정일은 실상 직종을 바꾸었죠ㅡ 괜찮을 듯합니다. 언젠간 누구에게 들었는데 요시모토 바나나도 자국에선 소설가보다 서평가로 더 높이 평가받는다 하더군요.
저도 마르셀 프루스트, 하면 생각나는 게 역시 마들렌이-_-;;; 저는 1권만 읽고는 더 읽을 마음이 안 들더군요.

곰곰생각하는발 2014-03-21 15:42   좋아요 0 | URL
잡문이 주는 쾌감이 있잖아요. 메인요리 먹을 때 걱정을 하고는 합니다.
이거 내가 초대해 놓고 맛이 없으면 어떡하지 ?
그런데 스끼다시 맛 가지고 걱정을 하지는 않잖아요.
그게 스끼다시의 힘입니다. 많이만 주면 장땡이에요..ㅎㅎㅎㅎㅎㅎㅎ

꼴지를 위해 2014-03-21 1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안녕하세요. 곰곰발님. 다름이 아니라 제가 만나고 있는 여자가 호주 워홀 경험이 있다는 걸 알게 되었는데,,, 머리로는 대수롭지 않게 넘어가고 있는데 마음은 너무 신경이 쓰여 미칠거 같네요. 이런 남자나 여자의 심리를 곰곰발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정말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4-03-21 15:45   좋아요 0 | URL
여자가 호주 워홀'이 있는 거랑 무슨 관계입니까 ? 몇몇 분들이 호주 워홀에서 매춘을 했다고 일반화의 오류에 빠지면 안 됩니다. 시작부터 의심으로 사랑을 시작하는 겁니까 ? 당장 헤어지쇼. 제 입에서 좋은 말 안 나옵니다. 그 여자가 잘못이니 헤어지라는 게 아니라 꼴찌 님이 한심해서 그 여자가 아깝다는 소리입니다. 의견을 듣고 싶다 해서 남깁니다. ( 강신주 따라해 보았습니다. )

르미에르 2014-03-21 16: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요즘 저는 자기가 두려워요 -_-;
아 시발쿰.

맥버드된 느낌.

곰곰생각하는발 2014-03-21 17:25   좋아요 0 | URL
요즘 사업이 잘 되어서
갑자기 죽으면 얼마나 억울한가, 이런 생각을 해서
잠을 자는 게 아까우실 겁니다. 이웃들을 위해 재산을 나눠주십시요.
그 이후부터는 잠을 잘 잘겁니다.

곰곰생각하는손 2014-03-21 21: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종종 감탄함.
난 책은 그저 다 책이라서
읽든 보든 어느정도 진도나가기 전까진 다 고역이거든.
근데 너는 '보는 용' 책은 마들렌 같다고.. (비유가 쥑인다)

결론은 - 넌 먹물이야!

ㅎㅎㅎㅎㅎㅎ

부러워ㅡ

먹물인 네가 부러운게 아니라
타인의 문장들 안에서 늘 자유롭고
독보적인 너만의 자세를 취할수 있는 네가 부러워.
그리고 많이 배우고 싶고...


---



먼가 오늘 나,
덧글도 싸가지 있고
순수하지않냐?

지금 존나 취했거든. ㅋㅋㅋㅋㅋㅋ

(취중진담인가!? ㅋㅋㅋㅋ)

곰곰생각하는발 2014-03-21 23:50   좋아요 0 | URL
내가 네가 쓴 종종 감탄함'이라고 쓴 첫 문장보고
얘 또 만취했구나, 그런 생각을 했는데
여전하군 ~ ( 시큰둥 )
만날 취해 있으면 작업은 언제하냐 ?
그림 다 그렸냐 ? 요즘 잡지에 연재하는 거 같든데
잘 되고는 있냐 ?
밥은 .... 먹고 다니냐 ?

왜 일상 속 생활을 만화로 하는 거 있잖아.
세나 관찰그림 일기 함 연재하는 거 어때 ?
세나 캐릭터면 내 생각에 대박칠 거 같단 생각도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