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이 영화에서 가장 좋아하는 장면은 장국영이 자신을 버린 어머니가 사는 집을 찾았을 때'이다. 그의 바람과는 달리 어머니는 만남을 거부한다. 어머니에게서 다시 한번 버림받은 그가 뒤돌아서 빠른 걸음으로 씩씩하게 걸을 때, 화면은 빠른 걸음과는 달리 어느 순간 슬로우모션'이 되어 느린 걸음으로 바뀐다. 재촉은 지연된다. 어깨는 바위처럼 무겁다. 이 빠른 걸음과 느린 걸음이 주는 대비는 주인공이 품고 있는 겉과 속을 효과적으로 표현한다. 빠른 걸음이 그가 어머니를 향해 내뱉는 위악'이라면, 느린 걸음은 어머니 곁에 머물고 싶은 그리움이다. 어머니는 커튼이 쳐진 창가에서 파랑에 출렁이는 배처럼 흔들리는 아들의 어깨'를 물끄러미 바라본다. 앞에서는 보이지 않으나 뒤에서 보면 선명하게 보이는 것은 초라한 어깨'다. 내것이 아닌 타자의 어깨'는 늘 마음 속에 오래 남는 법이다.

 

- 모두 다 예쁜 말들 vs 아비정전 중

 

 

 


 

 

 

 

오즈 야스지로'와 뒷모습.

 

 

오즈 야스지로는 대상을 향해 쉽게 나아가거나 움직이지 않는다. 감독은 그들이 나누는 대화에 간섭하지 않는다. 카메라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는 늘 한발 치 물러난 지점에 고정되어 있다. 그의 카메라는 주인들이 하는 대화에는 관심이 없다는 듯 무심히 곁을 지나가는 늙은 고양이 같다. 이처럼 그가 다루는 카메라는 엉덩이'가 무겁다. 설령, 배우들의 동선으로 인하여 특정 배우가 등을 보일 때에도 카메라는 움직이지 않는다. 촬영 교본에 의하면 그것은 N.G다. 왜냐하면 영화 카메라는 집요하게 배우의 얼굴을 따라다녀야 하기 때문이다. 어떻게 보면, 오즈의 카메라는 직무 유기'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그런데 말이다. 오즈 야스지로는 찬란한 얼굴 표정이 보여주는, 그  현란한 메시지'보다는 둥근 어깨가 전하는 침묵이 더 강렬하다는 사실'을 그 누구보다도 잘 아는 감독이었다. 그는 채플린과 함께 뒷모습을 가장 아름답게 찍는 사람이었다. 홀로 남은 아버지 곁을 떠나야 하는, 결혼을 앞둔 딸은 결혼 날짜가 다가올수록 늙은 아비'에게 미안하다. 아버지는 그런 딸을 누구보다도 잘 안다. 어느 날, 아버지는 컴컴한 다다미 방에 앉아 딸에게 속내를 말한다. 행복하게 잘 살아라, 늙은 애비 걱정은 말아라, 청춘은 60부터다. 허허허허허. 딸은 아무 말도 하지 않은 채 묵묵히 듣고만 있다. 우리는 딸의 얼굴을 볼 수가 없다. 카메라는 뒷모습만 오랫동안 비춘다. 아무도 말하지 않는다. 침묵이 길어지면 속내를 들키는 법. 

 

여기에는 그 수많은 대사와 표정이 필요 없다. 뒷모습 하나면 된다. 앞모습을 보고 반하는 것은 사랑이 아니라 단순한 열정'에 불과하다. 사랑은 뒷모습마저 간절히 그리울 때 완성되는 감정이기 때문에 그렇다. 얼굴은 타인을 한순간에 사로잡을 수는 있지만 어깨는 곁에 오래 두고 보아야지만 사랑하게 되는 부분'이다. 그러므로 최종적으로 사랑을 완성시키는 것은 뒷모습'이다. 나는 기본적으로 앞모습이 매력 있으면서 동시에 뒷모습마저 매력 있는 사람을 믿지 않는다. 결핍이 존재하지 않는 자는 사랑스러운 대상이 될 수 없다.

 

언제부터인가  움직이지 않은 카메라'로 찍은 영화가 좋아지기 시작했다. 반면에 움직이는 카메라로 찍은 영화들은 현기증이 났다. 나는 오랫동안 내가 왜 움직이지 않는 카메라'를 좋아하게 되었는지에 대해서 스스로에게 속 시원하게 설명을 할 수는 없었다. 그런데 10년 사귄 여자와 헤어지고 나서야 비로소 깨닫게 되었다. 움직이지 않는 카메라는 무뚝뚝한 어깨를 닮았다. 나는 그 여자의 어깨를 사랑했다. 어깨는 바위를 닮았다.

 

 

http://blog.aladin.co.kr/749915104/6272664

 

 


댓글(2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13-07-08 03: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노리코는 정말 사랑스러운 딸이야.
나도 그런 딸이 되고 싶었지만 나의 아버지는
노리코의 아버지 같은 그런 아버지가 아니었지... 흠...
아 ! 이제 정신차리고 일해야겠다.
오즈야스지로, 동경이야기?던가? 그것도 재밌어?
꽁치의 맛은 아직 못구하겠음. 이따 볼려고..

(어라? 사진이 또 바뀌었네? )

곰곰생각하는발 2013-07-08 03:32   좋아요 0 | URL
난 꽁치의 맛'을 무척 좋아한다. 오즈 감독 디븨디 사서 봐봐...
꽁치 얘기는 하나도 안 나오더라.... 꽁치 굽는 장면도 안 나오고 말이야...
나중에 알고 봤더니 꽁치는 가을이 제철이라고 하더군..
우리가 가을에 전어를 굽듯, 일본에서는 가을에 꽁치를 굽는다고 말잉.
굉장히 여성적인 감독이야. 시적이지. 계절을 좋아한 감독이야..
제목은 꽁치의 맛이지만 결국은 가을에 대한 이야기이니깐 말이야....

지그문트 2013-07-08 0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형님 ! 아직 읽기 전에, 덧글을 우연히 봤는데.


으악. 꽁치의 맛에 대해서 쓰셨군요. 세상에 제가 오즈 야스지로 영화 중에서 제일 좋아하는건데. 대박입니다. 이거.
( 놀라운건 제가 그 감독님의 영화를 많이 본 편이 아닌데도, 꽁치의 맛은 매우 각별합니다. )

저한테 특별히 주는 글이라고 하신 그 말씀이 더욱 감동적으로 와닿는 순간이오. 일단 어서 읽겠소 !

곰곰생각하는발 2013-07-08 03:47   좋아요 0 | URL
이 영화 제가 무척 좋아하는 영화입니다. < 태어나긴 했어도 > 와 함께 < 꽁치의 맛 > 도.. 아니다.. 그의 영화는 다 좋습니다. http://myperu.blog.me/20165644313

마지막 장면에 매우 인상 깊었소.

지그문트 2013-07-08 03: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 앞모습을 보고 반하는 것은 사랑이 아니라 단순한 열정'에 불과하다. 사랑은 뒷모습마저 간절히 그리울 때 완성되는 감정이기 때문에 그렇다. 얼굴은 타인을 한순간에 사로잡을 수 있지만 어깨는 오래 두고 볼 때 사랑하게 된다. 그러므로 최종적으로 사랑을 완성시키는 것은 뒷모습'이다. 나는 기본적으로 앞모습이 매력 있으면서 동시에 뒷모습마저 매력 있는 사람을 믿지 않는다. 결핍이 존재하지 않는 자는 사랑스러운 대상이 될 수 없다. > 이거 오늘 인용하고 싶습니다. 롤랑 바르트를 인용하는 심정으로 형님의 글을.

곰곰생각하는발 2013-07-08 03:50   좋아요 0 | URL
롤랑바르트 흉내를 좀 내습니다. 비만 오면 롤랑바르트 풍이 되니, 이거 원.....
롤랑바르트 사랑의 단상은 내 인생의 책인데 하도 여러 번 읽어놔서
뇌 속에 세뇌가 되어서 그런지 은연 중에 따라하게 된단 말입니다.
하여튼...동문선에서 나온 책 중 그래도 사랑의 단상은 무척 마음에들어하는 책입니다. 김희영'인가요. 번역하신 분이.. 아마 굉장히 실력 있으신 분인가 봐요. 쏙속 들어옴..

지그문트 2013-07-08 04: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형님은 롤랑 바르트 급이십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3-07-08 04:21   좋아요 0 | URL
허허허 과찬이십니다. 말이라도 고맙구랴..

Forgettable. 2013-07-08 04: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비가 매일 와서 센치한 님의 글을 매일 읽고 싶네요!!
단어들이 둥둥 떠다니는데 글로는 정립이 안돼서 그냥 여기까지;;

곰곰생각하는발 2013-07-08 04:31   좋아요 0 | URL
7월 한달은 센치와 술로 보내야 할 것 같습니다.
요즘 저는 지네 때문에 잠을 못 잡니다. 지네가 집에 들어왔습니다.
태어나서 처음 있는 일이군요....

iforte 2013-07-08 04: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후아... 링크된 글까지 읽었더랬습니다. 마음이 짠 하군요... 누구에게나 사연은 다 있는 때문인가요. 스토리는 다를지언정 기분을 아래로 당기는 효과는 다 똑같나봐요. 이이잉.... 이 좋은 날에 (여기는 한낮인지라) 왜 이렇게 코끝 찡하게 하십니까. 나쁜사람, 나쁜사람....

곰곰생각하는발 2013-07-08 04:51   좋아요 0 | URL
한낮에 볕 좋은 날이군요. 흠흠..

iforte 2013-07-08 04: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바뀐사진, 좋아요. 사진도 좋구... 모델 분위기도 좋구... 근데 사진마다 너무 분위기가 달라서... 혹 제 3자 사진?

곰곰생각하는발 2013-07-08 04:51   좋아요 0 | URL
사진마다 다 낯선 사람이 나오더라고요. 5년에 걸친 사진들이니 늙고, 젊고의 차이는 있는데
본질적으로 좀 제가 연기를 잘하나 봐효. 까르르르르르...

히히 2013-07-08 18: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뒷모습에서 맨처음으로 본 것은 제 잘못이었어요. 제 죄였어요.
술 고래인 아버지를 도저히 어찌볼 수 없다는 무력감으로 우리 남매들의 유년과 청년은 빛바랬습니다.
퇴직을 하고 1년 뒤 대문 앞 골목을 터덜터덜 밀어내는 아버지의 어깨를 옥상에서 보고
순간 깜짝 놀랐습니다.
남자는 일이 없으면 1년이 10년이 될 수 있구나!
밤새 술주정을 하시다가도
새벽에 시치미를 떼고 용기있는 뒷태를 보이며 출근하는 놀라운 신축성이
오히려 밉기까지 하였습니다.
앞가림에 자신있고 용돈을 드리는 거만을 즐길즘에 보고야 만
갈기 깎긴 영감의 어깨는 둥글더이다. 달 보고 눈물 나던 그 밤의 동그라미 처럼.
夫로 살 수 없었던 父의 고단함을 발견하고는
응석꾸러기 아기처럼 발버둥쳐 울고 싶었습니다.
당신을 증오했던 제 심장을 도려내고 싶었습니다.
아버지의 술을 사랑하게 되었습니다.
제 사랑에 절래절래 북망산으로 도망쳤습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3-07-08 19:18   좋아요 0 | URL
히히 님 아무리 생각해도 모 소설가가 떠오르는데 소설가 맞으시죠 ?
자꾸 아니라고 하셔서 그냥 그려려니 합니다만...
그렇군요. 북망산 가셨군요.
저희 아버지는 동천' 가셨습니다.
꿈에 나타나셔서 저보고 동천 가자, 동천 가자, 하셔서 제가 안 갔습니다.
어깨는 참 알 수 없는 신체 부위입니다. 도무지 알 수가 없어요...

히히 2013-07-08 23:36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30년 전에 계몽사에서 주체하는 글짓기대회에 입선한 게 전부입니다.
책을 살 형편이 못되었지만
당시 TV에서 만화로 소공녀를 하고 있었으므로
끄적끄적 세라에게 편지를 썼는데 그것도 독후감이 되었는지...
읽지 않은 책의 글에 상까지 받았으니 간이 콩알만해졌던 황당한 추억입니다.

곰...발님의 [윤창중을 향한 어느 만능 스포츠 마니아의 쉰소리]
충격적인 문체였습니다. 중독되었습니다.

더이상의 과찬은 제 것이 아닙니다.
책 좋아하는 자의 곁에 얼쩡거리고 싶을 뿐입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3-07-08 23:47   좋아요 0 | URL
음 그렇군요. 히히 님, 문체가 좋아요. 덧글에 쉽게 다는 글이 저 정도 문자을 만들 수 있다면
마음 먹으면 박완서 급으로 갈 수 있습니다. ( 진지 ~ )
그나저나 제가 만능스포츠맨에 대한 글을 썼나요. 가물가물하네요... 후후....

새벽 2013-07-08 18: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구로자와는 앞모습을 잘 찍고 오즈는 뒷모습을 잘 찍는다..
뭐 말씀하신 문장 하나로 게임 오버,라는 생각이 듭니다.
심지어 오즈는 인물들의 앞과 옆을 담을 때에도 뒷모습을 보여주지요..

곰곰생각하는발 2013-07-08 19:20   좋아요 0 | URL
네. 전 구로자와는 앞모습을 잘 찍고, 오즈느 뒷모습을 잘 찍는다고 생각합니다.
거미집의 성'에서 보여준 그 마지막 장면은 지금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최고 걸작은 거미집의 성이었어요.
오즈는 오사무라면 구조자와는 미시마였죠. 마초 작렬하는....
남자는 기본적으로 직설적 시선에 끌리고, 여성은 다층적 시선에 끌리는 존재죠.
그래서 여자는 남자보다 더 어깨를 자주 봅니다. 여성의 모성애는 바로 어깨에 대한 시선의 응집'에서 나오는 것이 아닐까 싶어요.

히히 2013-07-09 11:06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옳습니다.
남자의 처진 어깨를 알고 모성애가 솟지 않을 만큼 독한 여자는 없으며
짝 벌어진 어깨를 훔쳐보고 잠재된 내숭이 스물스물 올라오지 않을 여자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