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4권

 1.2006년 1월

 2.도서관

 3. 오랫만에 사진집을 한 권 우연히 발견하여 오늘 또 들고 왔다. 이젠 정말 도서관으로 향하는 발걸음을 멈추어야만 하는데..자꾸만 책을 가져오게 된다.
부른 배를 안고서 도서관을 드나들기도 차츰 민망해져온다.
한겨울인지라 코트를 잠그면 좀 표시가 덜 나지만...코트의 단추를 풀거나 코트를 벗고 있노라면 모두들 나를 한 번씩 쳐다본다. 이젠 배가 제법 불러 확실한 임산부 티가 나나보다..ㅡ.ㅡ;;
타인들의 시선이 아니어도 나또한 몸이 제법 무거워 걸어다니는 것이 영 불편하기도 하다.
그래도 주말에 쉬는 신랑이 도서관까지 매번 모셔다주니 나야 편하게 책을 반납하고 또 빌려오고 한다만...이젠 정말 도서관의 책은 이번을 마지막으로 해야될 것 같다.
집에 있는 책이라도 다 읽지도 않은 주제에.....쩝~

 그래도 도서관에 가면 그동안 눈여겨 보지 못한 종류의 책들이 많아 한 번씩 훑어보다보면 구미가 땡기는 책이 발견되기에 찾아 읽는 재미가 제법 쏠쏠하다. 이책도 그러한 재미를 가져다 준다.
이책은 재미를 찾기에 앞서 약간의 엄숙함을 먼저 가져야 하는 것이 도리이겠으나 역시 나는 도인이 아니기에 사진의 풍경을 바라보기에 바쁘다.
김중만이라는 사진작가는 대중적인 그러니까 약간의 상업적인 이미지가 강하다고 생각하나 이사진집만큼은 그범위를 넘어서는 인간적인 향기를 많이 담고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더군다나 황학주 시인의 47편의 시까지 곁들여 더욱더 책이 고급스러워(?) 보인다.
그리고 이책의 수익금은 아프리카에서 에이즈로 고통받는 어린이들의 구호단체에 쓰인다고 하니 착한 마음으로 사진집을 감상할 수 있는 특권이 주어질지도 모른다.

 훗날 여건이 된다면 이책을 사두고 싶다.
아프리카 아이들의 눈망울도 잊혀지지 않지만...동물들의 모습이 참 인상적인 사진집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06-01-15 02: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 임산부는 도서관에 가면 안된다는 법이라도 있나요. 그런게 어딨어요. ^^ 물론 님이 힘들어서 가시기 힘들다면 몰라도 괜한 생각이세요. 책읽는 임산부 너무 멋지잖아요. ^^

호랑녀 2006-01-15 2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배 불러 책 읽는 엄마의 모습이 얼마나 아름다운가요.
민이 동생(들)에게도 참 좋은 일이에요. ^^

책읽는나무 2006-01-16 01: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람돌이님.........아~ 제가 힘들어서 더이상 못가지 싶은 마음이지요! 헌데 도서관에는 임산부를 한 번도 본적이 없는 것같아요! 뭐 저도 도서관에 자주 가거나 앉아 있다 오는 편도 아니지만...그런 것같아요! 그래서 더욱더 사람들이 내배를 보는 듯한 느낌도 들구요...^^

호랑녀님..............그런가요?...^^ 헌데 맨날 내시간에 쫒기어 읽다보니 민이에게도 소홀해지고...둥이들에게도 소홀해지는 경향이 있는 것도 같아요! 조금씩 미안해지기도 하지요. 하지만 나중에 애 낳으면 책 읽을 시간이 없다고 생각하기에 지금이라도...^^;;

panda78 2006-02-22 18: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읽었는데요- 저는 사진만 좋았어요. ^^;
시는 영 마음에 안 들어서..
기린이랑 얼룩말이랑 하마랑 코끼리랑 가젤이랑.. 동물 사진이 제일 좋더라구요. ^^
 

⊙제 3권

 1.2006년 1월

 2.도서관

 3.이책도 읽기 시작하여 손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는 소설집이었다.
    며칠동안 윤대녕의 소설을 아껴가면서 야금 야금 읽은 것에 비한다면 김경욱의 소설과
    천운영의 소설은 묘한 집중력을 요하면서 눈을 떼지 못하게 만들었다.

 김경욱의 소설은 짜릿하고도 시원스런 맛이 있다면....천운영의 소설은 가히 섬뜩하다고 할 수 있겠다.
그녀는 주로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그냥 덤덤하게 실타래를 풀 듯이 얼굴에는 아무 표정없이 그냥 쉽게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이야기를 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어 더욱더 섬뜩한 느낌이 들 수밖에 없다.

 책의 표지 색깔과 제목만 보고서 소설의 성격과 색깔을 미리 판단한다면 큰오산이다.
나는 정말 책의 표지만을 보고서 아주 밝고 쾌활한 소설일 것이라 기대했다가 아주 크게 충격 받은 사람 중의 한 사람인지라 타인들에게도 미리 알려두고 싶다.

 그래도 그녀의 소설 또한 강한 중독성을 가지게끔 만든다. 벌써부터 그녀의 다른 소설들을 눈여겨 보고 있으니 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영엄마 2006-01-12 23: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읽는 나무님 잘 지내고 계시죠? ^^(출산을 앞두신터라 올해에는 30권으로 줄이셨군요.)

책읽는나무 2006-01-14 01: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영맘님........네..네..30권도 애 낳기전에 읽어둬야지~ 뒷날에는 목표를 달성하기 힘들 것 같은 수치이옵니다..ㅡ.ㅡ;;
 

⊙제 2권

 1.2006년 1월

 2.도서관

 3.제법 술술 재미나게 읽히는 소설책이다.
    흑백 TV님의 리스트에서 눈여겨 보면서 이사람의 책을 한 번 읽어봐야겠다라는 생각을 했었다. 역시 주목할 만한 신인남자작가임에 틀림없다.
 물론 나는 김경욱이 출간한 네 번째 소설집을 처음 읽어 뭐라고 덧붙일만한 나의 소견은 없다만....그래도 꽤나 인상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줄곧 책에서 손을 떼지 못하고 줄기차게 읽어내려갔다. 소설속에서 묘사되어지는 풍경과 사건의 진행속도감 만큼이나 소설을 읽는 속도에도 탄력이 붙는다. 그리고 그가 내뿜는 에너지 또한 무한하다.
그의 다른 작품들을 어서 읽고 싶어진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울보 2006-01-13 0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 저도 이책 사놓고 아직 읽지 못했는데,,재미있군요,,빨리읽어야지

미설 2006-01-13 10: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전히 열심히 읽고 계시군요. 건강 조심하세요~ 출산 예정일이 언제던가요?

책읽는나무 2006-01-14 0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울보님........제겐 재미있더군요..^^
미설님........애 낳기전에 어여 읽어대니라고..^^....예정일은 3월 말이나 4월 초쯤 될 것 같습니다.
 

⊙제 1권

 1.2006년 1월

 2.도서관

 3.그의 소설이 나왔다는 소식을 접한 지가 엊그제 같더니 벌써 반 년이 다되어가는구나!
    구입을 할까? 말까? 망설이던 차에 우연히 도서관에 갔을때 눈에 띄어 들고 와버렸다.
도서관도 이젠 이번이 마지막이다~~ 하면서도 매번 책을 반납하러 간김에 책을 둘러보게 되고, 읽고 싶었던 책이 서가에 꽂혀 있노라면 이 다짐이 일순간 무너져버린다.
특히나 그의 소설은 내게 더욱 절실한 소설책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또 보름뒤의 반납을 빌미로 나는 또 도서관에 가게 될 것이고, 그리하면 또 다른책을 빌려올지도 모른다. 그날 나를 또 번거롭게 만든 장본인은 바로 윤대녕의 소설...바로 이책이다.

 그도 조금은 나이를 먹어가는 것일까? 라는 생각이 들정도로 문체가 많이 유순해진 듯한 느낌을 받았다.
그리고 다른 작가의 소설을 읽은 것인가? 라는 착각도 잠깐 인다.
하지만....여전히 그의 문체와 소설 속의 풍경과 배경들은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다.
 내겐 한 번 읽고 나면 다른 소설들과 헛갈려 내가 무얼 읽었나? 라고 헛갈리지 않는 유일한 작가 중의 한 사람이 바로 윤대녕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그래서 그의 소설은 아껴가면서 읽어야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 86권

 1.2005년 12월

 2.도서관

 3.앗! 한 권 빼먹었다.
    지난달에 이책도 읽었다.
    차력독토 12월 선정도서였는데.......ㅡ.ㅡ;;

 처음 이책을 이주의 리뷰란에서 책 표지만 보고서 나는 이책이 숲의 생태학에 관련된 책이라고 생각했었다.
리뷰를 읽어볼까? 생각하다 나중에 책을 읽고 나서 리뷰를 읽어야지~~ 라는 생각에 잠깐 뒤로 젖혀두고 계속 그상태로 지나왔으니 내기억속엔 여전히 이책은 숲의 생태학이라는 책의 선입견에 사로잡혔다.
 헌데....선정도서로 진열된 것을 보고 의아하여 얼른 도서관에 가서 검색해보니 이책이 있었다. 그래서 부랴 부랴 들고와서 얼른 읽어보니 생태학 책이 아니라 일종의 여행기록문이라고 해야하나? 여튼...애팔래치아 트레일의 종주에 나선 일종의 수기라고 볼 수 있겠다.

 몰랐던 세계를 알아가는 재미에 흠뻑 빠져 무척 재미있게 읽었다. 나는 운동하는 것자체를 그닥 좋아하진 않지만...그래도 취미생활로 언젠가는 등산을 결정해보고 싶다라는 강한 욕구에 휩싸이는 순간들이 있다. 뭐 거창하게 높은 산을 오르는 것은 절대 사양하고...낮은 산....그러니까 동네 뒷산 정도를 등산이라고 명명하여 휴일에 가족과 함께 오르내리는 상상을 여러번 해보곤 한다.
여지껏 내가 등산이라고 해본 것들이 아마도 네 다섯 번 밖에 되진 않지만 산을 오를때는 정말 짜증이 왕창 치솟지만 막상 산 정상에 올라서면 그황홀감에 빠져버리게 되고 내맘이 넓어지게 되어 모든 것을 잊고야 만다. 아마도 이런기분에 등산매니아들이 생기는 것인가보다.

 암튼....그러한 관심이 있어서인지?
이책은 더욱더 재미나게 읽혀진 듯하다.
그리고 실로 곳곳에 작가의 재치가 넘쳐 폭소를 자아내는 장면들도 많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여우 2006-01-04 15: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밌죠? 재미와 더불어 환경문제, 자연과 문명을 생각하게 해주는 책이라고 여깁니다. 멋진 리뷰 기대하고 싶어요^^

책읽는나무 2006-01-05 16: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우님............책이 꽤나 재밌더군요..^^......헌데 리뷰를 기대하시옵니까?.....ㅡ.ㅡ;; 책만 읽고 리뷰는 거의 안쓰고 있는데..아~ 아~ 페이퍼로는 안되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