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칸딘스키와 러시아 거장'전에 전시되는 레핀의 그림 '아무도 기다리지 않았다'(영어제목은 'They Did Not Expect Him')을 찾아보다가 문득 딸아이가 생각났다.

그림에서처럼 (아마도 유형지에서) 오랜 세월만에 되돌아온 아버지를 맞는 자식들의 (반가움보다는) 낯설어하는 표정에서 한 가족사의 비애를 잠시 들여다볼 수 있는데, 그러고 보면 매일같이 귀가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삶은 복에 겨워 마땅하다. 비록 딸아이가 아는 체하지 않는 날이 더 많지만(듣자하니 아이는 요즘 남자친구에게 폭 빠져 있다고 한다). 귀가하면 아이는 보통 아래 사진과 같은 표정으로 나를 맞는다(가을 소풍때 찍은 거라고 한다). '아무도 기다리지 않았다'보다는 그래도 사정이 나은 거라고 말해야 할까.

혹은 딱 아래와 같은 표정이다. 배경은 물론 다르지만 반가워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어정쩡해 하는 표정은 똑같다.

집에 얼른 들어오라고 전화가 왔다(저녁을 집에서 먹으면 밥값을 아낄 수 있지 않느냐고 하면서). 오늘은 좀 밝은 표정으로 맞아줄지도 모르겠다. 내가 기대하는 건 적어도 이런 정도의 표정이다. '아부'를 하기 위해서 자주 안 쓰던 메일편지까지도 미리 보내두었다. 그리고 머핀빵도 몇 개 들고 간다. 무얼 더 준비해야 할까...

아무튼 아무도 기다려주지 않는다는 건 슬픈 일이다. 기다려주는 사람이 있을 때 자진해서 집에 들어가야겠다(다들 제때 들어가시길!). 오늘밤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07. 11. 28.

P.S. 칸딘스키풍의 그림은 없고 대신에 고흐풍은 있다. 아이가 미술학원에서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을 보고 그린 그림이다. 가끔은 잠자고 있는 딸아이에게 속삭인다. "어디서 이런 녀석이 나왔을까?(We Did Not Expect You!)"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