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공지다. 봄학기에 판교현대백화점에서 진행하는 '로쟈의 세계문학 다시 읽기'의 전반부(3월 2일-30일 매주 수요일 오후 3시 30분-5시 10분)는 '셰익스피어 다시 읽기'로 진행한다(https://www.ehyundai.com/newCulture/CT/CT010100_V.do?stCd=480&sqCd=003&crsSqNo=2313&crsCd=203006&proCustNo=P01238568). 셰익스피어 서거 400주기를 고려한 것으로 <로미오와 줄리엣>을 포함한 4대 비극을 읽을 예정이다. 번역본은 따로 지정하지 않지만, 가장 많이 읽히는 점을 고려하여 민음사판을 주로 인용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일정은 아래와 같다.

 

1강 3월 02일_ <로미오와 줄리엣>

 

 

2강 3월 09일_ <햄릿>

 

 

3강 3월 16일_ <오셀로>

 

 

4강 3월 23일_ <리어왕>

 

 

5강 3월 30일_ <맥베스>

 

 

이어지는 후반부 강의에서는 나쓰메 소세키의 <도련님>부터 아서 밀러의 <세일즈맨의 죽음>까지를 다룬다(https://www.ehyundai.com/newCulture/CT/CT010100_V.do?stCd=480&sqCd=003&crsSqNo=24&crsCd=203006&proCustNo=P01238568).

 

6강 4월 06일_ 나쓰메 소세키, <도련님> 

 

 

7강 4월20일_ 루쉰, <아Q정전>

 

 

8강 4월 27일_ 다자이 오사무, <사양>

 

 

9강 5월 04일_ 조지 오웰, <1984>

 

 

10강 5월 11일_ 아서 밀러, <세일즈맨의 죽음>

 

 

16. 01. 31.

 

P.S. 이번 봄학기에는 대구점에서도 격주로 '로쟈와 함께 있는 셰익스피어' 강의를 진행한다(https://www.ehyundai.com/newCulture/CT/CT010100_V.do?stCd=460&sqCd=019&crsSqNo=8260&crsCd=203006&proCustNo=P01238568). 3월 11일부터 5월 27일까지 매월 2, 4주 금요일 오후(2시-4시)에 진행되며, 작품은 순서대로 <로미오와 줄리엣><베니스의 상인><햄릿><리어왕><맥베스><템페스트>, 여섯 편을 읽는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즈 2018-03-28 0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녁강의도 부탁드려요...


로쟈 2018-03-28 22: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셰익스피어 강의는 종료됐고요. 다른 저녁강의는 태그의 ‘강의‘를 클릭해보시길.~

이지영 2020-04-05 21: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광교 갤러리아 백화점 강의는 취소 되었어요..이제 일정이 없는건가요?

로쟈 2020-04-05 2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코로나 사태가 진정되면 여름에 개강할 수 있습니다.
 

부다페스트 리스트 페렌치공항에서의 출발은 지연됐지만 프랑크푸르트공항에서의 환승에는 지장이 없어서 예정된 시각에 인천공항에 도착했다. 이로써 오스트리아문학기행이 종료되었고 참가자분들도 무탈하게 귀가중이다.

로쟈와 함께하는 문학기행은 오스트리아문학기행에 이어서 이번 10월에는 중국현대문학기행을 진행힌다(10월 20일-25일, 5박6일. 참가신청은 펀트래블 홈피 참조). 관심있는 분들은 참고하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교통체증을 예상해 예정보다 일찍 출발하고 일찍 도착한 탓에 리스트 페렌치 공항에서의 대기시간이 길어졌다. 유럽의 공항들은 대개 비슷해보여서(낮은 천장이 그런 느낌을 주는 듯도) 헝가리만의 특징을 말하긴 어렵겠다. 다만 좀 한산해서 수하물을 보내고 출국심사대를 통과하기까지 속전속결이었다(입국이나 출국이나 내게 최악의 경험은 모스크바공항이었다. 문학기행 이전의 일이었지만).

환승을 위해 프랑크푸르트로 먼저 가야하는데 항공편이 지연되는지 탑승 게이트 번호가 아직 뜨지 않는다. 어쩌면 출발이 다소 지연될 수도 있겠다(환승 대기시간이 짧아진다는 뜻이다).

빈과 부다페스트는 과거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제국의 수도들로서 여러 가지 공통점도 갖는데, 카페문화의 발달은 대표적인 사례다. 공식일정에는 포함하지 않았지만 여러 문인과 명사들이 찾았다는 유명 카페 방문도 문학기행의 여흥이다. 흥미롭게도, 어쩌면 자연스럽게도 과거 두 도시 간판 카페는 같은 이름을 갖고 있었다. 카페 첸트랄. 체트럴은 영어의 센트럴에 해당하니 굳이 우리말로 옮기면 ‘중앙카페‘쯤 될까.

아쉽게도, 하지만 당연하게도 두 카페를 방문하는 일은 불발로 그쳤다(일행 가운데는 다녀온 분도 있지만). 빈의 첸트랄은 입장 대기 인원이 너무 많아서 바로 포기했고, 부다페스트의 첸트랄도 예약이 다 차서 입장이 허용되지 않았다(하는 수없이 스타벅스에서 커피를 마셨다). 다만, 부다페스트의 경우 사진촬영은 허용돼서 ‘뉴거트‘라는 잡지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작가들과 잡지의 사진을 찍을 수 있었다. 부다페스트에는 1848년 3월 독립을 선언하면서 페퇴피의 시 ‘민족의 노래‘가 낭독되었던 카페 필박스도 아직 문을 열고 있어서 엊저녁에 찾아가보았는데 아쉽게도 휴일이었다. 문앞에서 발길을 돌린 카페들의 사진이다.

슬슬 대기시간이 끝나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시간 20분가량의 야경투어를 마치고 숙소로 다시 돌아왔다. 유럽의 3대 야경으로 파리와 프라하, 그리고 부다페스트의 야경이 꼽히는데, 개인적으로는 부다페스트의 야경을 맨마지막으로 감상할 수 있었다. 야경투어를 끝으로 이번 문학기행의 모든 일정이 종료되었고 내일 오전, 귀국행 비행기에 오르는 일만 남았다. 큰 사고 없이 무탈하게 일정이 진행되었고 마지막날까지 날씨도 무난해서 다행스럽다(오늘은 부슬비가 왔지만 종일 오는 비는 아니었고 저녁 야경사진을 찍는 데는 오히려 도움이 되었다).

마지막날 문학기행 일정은 루카치의 무덤을 찾는 것과 페퇴피기박물관을 방문하는 것, 두 가지였다. 코로나 이전에 한번 동유럽문학기행을 기획할 때는 부다페스트의 루카치 아카이브(자료와 연구센터)를 염두에 두었으나 오르도반 정권이 들어서면서 과거 사회주의 역사 지우기의 일환으로 루카치 동상을 철거하고 아카이브를 폐쇄했다. 2017년쯤의 일인데, 이후 부다페스트는 문학기행 방문지 목록에서 수년간 제외했었다. 그러다가 중유럽문학기행을 새로 기획하면서 루카치의 무덤을 찾는 일정을 대신 집어넜었고(자난해 시도였으나 여행이 불발되었다) 이번 오스트리아문학기행에서 드디어 <소설의 이론>의 저자에게 예의를 차리게 된 것.

루카치의 무덤은 국립묘지의 공산주의자 묘역에 있었고 가이드가 미리 위치를 확인해둔 터라 찾는 일이 어렵지 않았다. 루카치의 무덤 표석 앞에서 루카치의 생애와 업적, 한국문학사에 갖는 의의 등을 간략하게 강의하고 단체사진을 찍었다. 지난 연말 서울대 규장각의 김윤식 회고전을 떠올리기도 했는데 루카치에 대한 관심은 전적으로 선생에게 힘입은 바 크기 때문이다. 더불어 <소설의 이론>을 처음 접할 때부터 현재까지 문학 공부의 여정이 주마등처럼 스쳐지나갔다. 어느덧 38년의 시간이 흘렀다.

루카치기 인용한 로버트 브라우닝의 시구를 매번 상기하게 된다. ˝나는 내 영혼을 입증하기 위해 길을 떠난다.˝ 근대소설의 문제적 주인공의 출사표는 문학기행의 출사표이기도 하다. 2017년 첫번째 문학기행이었던 러시아문학기행부터 12번째 오스트리아문학기행까지가 하나의 사이클처럼 느껴진다(8년이 소요되었군). 올 10월에 중국근대문학기행을 진행하면 내년에는 4월에 체코(카프카와 쿤데라)와 폴란드(쉼보르스카와 토카르추크 등) 문학기행을 진행하려 한다. 2017년 가을에 찾았던 카프카문학관과 무덤을 재방문하는 게 될 것이다.

루카치 무덤을 방문한 뒤 마지막 문학일정으로 페퇴피문학관을 찾았다. 페퇴피 샨도르(1823-49). 헝가리의 민족시인이자 독립투사다. 부다페스트의 짧은 일정 속에서 가볼 만한 작가박물관을 물색하다가 정한 곳이었다. 문학관의 규모와 전시내용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지 못했었는데 예상보다 훨씬 큰 규모였고 페퇴피 이후 헝가리문학사를 수놓은 많은 작가들 사진과 관련 자료를 전시하고 있었다.

아쉬운 것은 설명이 헝가리어로 돼 있고 국내에 소개된 작가가 많지 않다는 것. 수십 명의 작가들 가운데 (헝가리식으로 이름을 읽으면) 모리츠 지그몬트, 코스톨라니 데죄, 마라이 산도르, 콘라드 죄르지, 케르테스 임레,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 등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었을 뿐이다. 문학관에 들어가기 전, 페퇴피의 시 ‘민족의 노래‘를 낭송하고, 관람 뒤에는 문학관 앞 광장의 페퇴피 동상을 배경으로 단체사진을 찍었다. 문학일정이 일단락되는 순간이었다.

이제 남은 건 무탈하게 귀국행 비행기에 오르는 일(공항의 이름이 리스트 페렌츠 국제공항이다. 헝가리가 낳은 세계적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 리스트를 기념하는 이름이다. 독어로는 프란츠 리스트이지만, 헝가리어로는 리스트 페렌츠다). 가이드의 말로는 우리의 김포공항 정도의 규모라고 한다. 떠나올 때와 마찬가지로 프랑크푸르트 공항을 경유하여 서울로 향하게 된다. 이번 문학기행의 자투리 이야기들은 귀국길에 더 적을 수도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다페스트라고 흐린 날만 있을 리 만무하지만 왠지 흐린 날과 어울릴 것 같은 도시가 부다페스트다. 부다페스트를 배경으로 한 영화 <글루미 선데이> 때문인 듯싶은데, 한편으론 영화도 글루미한 이미지 때문에 부다페스트를 배경으로 선택하지 않았을까.

어제부터 흐린 날씨였던 부다페스트에 아침에 이슬비가 내렸다. 우산을 쓰지 않은 이도 많았다. 어제오후 페스트(발음은 ‘페쉬트‘라고) 지역 투어에 이어서 오늘오전에 부다(국립미술관이 된 왕궁과 그 주변) 지역 투어에 나섰다(참고로 ‘부다‘는 물이란 뜻이고 로마시대 때부터 온천으로 유명했다고 한다. 그러고보면 물을 뜻하는 러시아어 ‘보다‘와도 어원이 같겠다 싶다). 내내 글루미 부다페스트의 풍경을 폰카에 담으면서.

마차시성당과 어부의 요새는 대표 관광지답게 관광객이 많았다(중국인 관광객이 많이 눈에 띄었다). 어제와는 반대로 부다에서 바라본 페스트와 다뉴브강의 풍경을 즐겼다(이바노비치의 ‘다뉴브강의 잔물결‘이 머릿속을 맴돌았다). 글루미 부다페스트의 분위기를 만끽했다.

이어서 찾은 곳이 부다왕궁(국립미술관). 헝가리 화가들의 작픔에 더해서 모네와 세잔 등 인상파 화가들의 작품도 여러 점 전시돼 있었다. 눈길을 끌었던 그림은 헝가리 화가 비디츠 오토의 ‘엔젤-메이커‘(1881). 원하지 않은 임신으로 얻은 아이를 방치하여 죽게 놔두는 시설이 있었던 모양이다. 죽음을 앞둔 무구한 아이의 퀭한 눈빛이 그림에 담겼다. 글루미한 그림이 아닐 수 없다.

지금은 마지막 저녁식사까지 마치고 돌아와 휴식을 취하는 중이다. 30여분 뒤에 부다페스트 야경투어를 마지막으로 진행한다. 오늘 오후일정과 야경투어에 관해서는 따로 적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