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이주의 저자'를 고른다. 먼저, 역사학자 이이화 선생의 칼럼집이 나왔다. <위대한 봄을 만났다>(교유서가, 2018). <민란의 시대>(한겨레출판, 2017)에 뒤이은 책으로 제목만 연결해도 한국의 근현대사가 된다.
"1960년 4월 19일 경무대 앞에서 부정부패와 부정선거에 항거해 시민들은 거리로 나왔고, 경찰들은 이들 시위대를 향해 총을 쏘았다. 시위대에 있었던 한 문학청년은 민족운동과 민중항쟁을 연구하고 이를 쉽게 풀어 대중에게 알리는 재야사학자가 되었고, 나이 쉰이 넘은 87년 6월에도 거리에 나와 전경들에게 "할아버지는 빨리 들어가세요"라는 말을 들었다. 경무대 앞 총알을 빗겨 맞았던 이 문학청년은 어느덧 여든이 넘었고, 다시 촛불을 들고 거리로 나섰다. 이 책은 2016년 늦가을부터 2017년 봄까지 거리에서 느낀 역사학자 이이화의 가슴 벅찬 감격과 감회의 기록이자, 민중의 변혁운동 및 인권운동의 역사, 그리고 겨레의 발자취를 찾아 떠난 역사기행 보고서다."
1960년의 봄에서 2017년의 봄까지, 아직 갈길이 멀지만 위대한 봄으로의 여정으로 이제 기록해도 좋겠다. 당장은 MB구속과 적폐청산.
올 한해 실험적으로 시도되고 있는 '월간 정여울'이 어느새 셋째 권에 이르렀다. 제목은 의성어 시리즈인데, <똑똑>과 <콜록콜록>에 이어서 <까르륵까르륵>(천년의상상, 2018). 부제는 '가장 순수한 것들의 찬란한 웃음소리'다.
"<까르륵까르륵>에서 정여울은 처음에는 '까르륵까르륵'이라는 사랑스럽고 명랑한 의성어로 한 권의 책을 써내는 일이 엄청난 도전이었다고 고백한다. 그러나 그는 "사는 게 매일매일 기쁘고 행복하다"는 조카의 말에서, 본능적으로 놀이의 대상을 찾고 즐거움에 빠져드는 아이들의 천진한 모습 속에서, 우리에게도 어른이 되며 억눌러왔던 해맑은 순수가 내재해 있음을 깨닫는다. 그리하여 그동안 드러낼 수 없던 외로움과 고통에 공감하며 사람들을 위로해왔던 작가는, <까르륵까르륵>에서 독자의 입가에 미소를 피어오르게 할 이야기들을 꽉 채워 다른 빛깔의 편안함과 싱그러움을 선물한다."
이제 1/4 지점을 통과한 셈인데, 한해의 정산서가 어떻게 나올지 벌써 궁금하다.
지난 수년 간 번역비평과 시비평을 가장 정력적으로 밀어붙이고 있는 불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조재룡 교수의 시비평서가 추가되었다. <의미의 자리>(민음사, 2018). 저자의 네번째 비평집이 되는데, 연차로는 중견 비평가다.
"2003년 '비평'을 통해 문학 평론가 활동을 시작한 조재룡은 지금 한국 시단에서 가장 활발한 현장 비평가로 꼽힌다. 이번 비평집에서 조재룡은 '의미'란 무엇인가를 주제로 시 한 편 한 편을 독해해 나간다. 기존의 언어를 통해 새로운 감각을 만들어 내는 시를 읽으며, 형식의 반대말로서의 의미가 아닌 진정한 의미를 자리를 찾아나서는 긴 여정이 담겨 있다. 총 여섯 개의 부, 서른 편의 글로 구성된 <의미의 자리>는 조재룡이 얼마나 성실한 독자이자 비평가인지를 증명한다. 1부에서는 시의 이론에 대해 탐구한 글을 묶었다. 짧은 서정시와 긴 산문시의 차이, 운문과 산문의 이분법, 구두점의 운용 등에 대한 글들은 그간 시를 읽어 온 독자들이라면 한 번쯤 의구심을 품었을 단상을 연구자로서 명확하고 유려한 사유로 정리했다."
성실하면서 집요한(그의 물음은 정말 '물고 놓지 않음'의 준말이다) 저자의 바지런한 비평 덕분에 한국시가 좀더 진지해졌다고 하면 과장일까...
18. 0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