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혼
연말이 되면 미혼남녀가 자주 듣게 되는 것이 “너 언제 결혼할 거니?”라는 질문입니다. (누가 하기 싫어 안 하나 못하는 거지.) 언제부터 결혼하고 싶어 했나를 돌이켜 보면 아마 고등하교 졸업 후쯤부터.
작년인가 재작년 고등학교 친구 모임이 있었는데 친구 아내가 “마립간씨, 마립간씨는 어떤 여자를 좋아하세요?” 아무 생각이 없었던 저는 "착하고 현명하고 ...." (뭐라고 했는지 기억도 잘 나지 않는데...) 그랬더니 친구 아내가 하는 말, “에이, 그렇게 이야기하는 사람은 이쁜 여자를 바라거나, 아니면 돈만은 여자를 바라던데, 솔직히 말해 봐요.” 그 이야기를 들은 후 한참동안 생각에 잠겼었는데, ‘과연 나는 어떤 여자를 원하고 있지?’ 고등학교 때 농담 삼아 한 친구의 이야기는 ‘아내는 이쁘고 멍청한 여자이거나 아니면 돈 많고 명命 짧은 여자가 좋다.’ (페미니스트 여러분 흥분하지 마시길 옛날 이야기니까요.)
서울 명문 사립 K대 교수님을 작년에 만났습니다. 학생 선발이 화제에 올랐는데, 요즘 학생은 수능 점수가 아무리 좋아도 예전 학생만 못하다는 것입니다. (어느 측면에서 못하냐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그 결론이 요즘 학생들은 모두 양식되었다는 것입니다. 자연산이 없다고 합니다. (어찌 보면 인권 모독 같지만) 그 의미는 학생들이 스스로 공부하는 법이 없고 모두 것을 과외 등에서 학습되었지만 자발적 학습과 창의력이 없다고 해석됩니다. 따라서 K대 교학과에서도 엄청나게 좋은 학생 선발을 위해 노력한다고 하셨습니다. 단순히 수능점수가 높은 학생이 아니고, 서울 특정 지역 출신 고등학생이 아니고.
이와 똑 같은 이야기가 방송에서 어느 학부모님이 하신 적이 있었습니다. 참교육 학부모 모임(?, 정확한 것은 모르겠으나)의 한 학부모님이 방송에서 ‘왜 수능 점수로 줄세우기, 또는 고교등급제를 실시하느냐? 좋은 학생을 선발해 달라?’라고 요구하셨습니다. 그러나 좋은 학생을 어떻게 감별해야 될까요. (왜 좋은 학생은 S대를 비롯한 명문대에 입학해야 되는지도 의문이지만.) 더욱이 ‘고등학교 성적은 뒤지지만 대학입학 후 자기 재능을 살릴 수 있는 학생을 선발해야...’라고 주장하셨는데 - 그런 잠재적 능력이 있는 학생을 구별할 방법은?
어떤 여자가 배우자를 좋을 까요. 음.... 돈만은 여자, 이쁜 여자, 아니면 가방 끈 여자... 아마 아닐 것입니다. 결혼을 안 해 봐서 잘 모르겠지만 착하고 이해심 많고 현명하고, 그 외 또 뭐가 있을까. 아무튼 이런 여자가 좋은 배우자가 아닐까요. 그런데 이 마음에 관한 것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요. 결혼한 친구가 "아무리 연애를 오래 해도 살아 보면 달라."라고 이야기까지 하는데. 차라리 돈, 외모, 학벌이라면 비교가 쉽습니다. 친구 아내가 배우자의 조건을 이야기했을 때, 제가 ‘착하고 이해심 많고 현명한 여자를 원했던 것은 눈이 높았던 것이었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배우자의 조건을 바꾸었습니다. 내가 집안일 하고 아내가 돈벌이 할 수 있는 여자를 구하자! 마침 여자 후배가 결혼을 하게 되었는데, ‘너처럼 능력 있는 애가 뭐 하러 결혼하니?’라고 물었더니 ‘약간의 남편 비위를 맞추면 편하게 먹고 놀며 살 수 있는데요.’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저의 결혼 기준에 대해 용기를 가졌죠.
여자를 소개받았습니다. 만남에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이상적인 배우자가 어떤 상이냐고 묻기에 별 이야기 안 했는데, 이 여자 분이 솔직히 말해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하고 싶지 않은 이야기 ‘나는 집안일을 하고 아내는 나가서 돈 벌었으면 좋겠다.’고 했더니 여자에게 차였죠.
다른 여자를 만났는데, 맞벌이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고 부부 중 남자, 여자에 관계없이 능력이 있는 사람 즉 수입이 좋은 사람이 바깥 활동을 하는 것이 좋겠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그런데, 상대편이 나의 배우자의 이상형을 물었고 위와 같이 이야기를 하니 남녀의 상관없이 능력이 있는 사람이 경제적 책임을 지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이야기하면서 그런데, 자신은 자기보다 돈벌이가 적은 남자와는 절대로 결혼하지 않을 거란다. ㅜ.ㅜ
이 이야기를 들은 후배는 만약 선배가 집안을 하고 형수님이 돈벌이를 할 때, ‘선배에게 고등학교 등의 동창 모임에 형수의 허락을 받고 가라고 하면 어떻게 할 거예요?’라고 묻기에 ‘요즘 아내들이 남편 허락받고 동창 모임에 참여하는지는 모르겠으나 나는 70대에 유년 시절을 보내 돈 버는 아내가 허락하지 않으면 외출하지 못하는 거지. (내가 돈을 벌지 않는다면)’
올해도 여전히 같은 질문을 받았습니다. 저는 위와 같은 의견을 이야기했더니,
직장 동료 여자가 웃으면서 하는 말, “그냥 혼자 사세요.”
직장 동료 남자가 심각하게 하는 말, “솔직히 이야기라고 할 때, 절대로 솔직히 말하면 안 되는 거야. 있는 인내심을 다해 꾹 참아야 돼. 그리고 일단 결혼을 해. 일 년 정도 지난 후 돈 못 벌겠다고 하면서 뒤로 나자빠지는 거야. 그러면 여자가 알아서 벌어.”
논제 마지막) 마립간은 언제가 결혼 할 수 있을까, 없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