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지개와 별 -1


 무지개를 일곱 빛깔로 인식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인간의 인식의 한계에는 네 가지 이상을 인식하기 힘듭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등급은 셋 혹은 넷으로 나눕니다. 보통 공부를 잘하냐는 질문에 상, 중, 하로 나누고 국민의 계층은 상류층, 중산층, 빈민층으로 나눕니다. 양쪽 끝에 극단적인 경우를 고려하여 등급에 포함시키면 5단계로 나눕니다. 의학에서 네 단계가 많이 사용됩니다. 암 질환의 병기stage의 대부분이 4 단계로 나누며, 등급grade도 네 단계를 나누는 것이 보통입니다. 기업에서는 1년 12달을 4분기로 나누어 3개월 단위로 실적을 평가합니다. 간혹 6단계로 나눈 경우가 있는데, 이는 어떤 것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두 부분으로 나누어 결과적으로 3+3의 6단계 형태를 갖게 됩니다. 한 예가 심잡음heart murmur의 경우는 6단계를 나누는데, 수축기 떨림thrill여부에 따라 1-3단계, 또는 4-6단계를 나누고 다시 강도에 따라 삼등분합니다.

 무지개 색이 일곱인 이유는 색의 분별할 수 있는 인간의 능력에서 4가지 색을 인식하고 그 중간색을 인식하면서 ‘일곱 빛깔 무지개’라는 말이 생겨났습니다.


 별 모양에 대한 인식은 세계 보편적인데, 이에 대한 설명으로는 황금비 즉 (√5 +1)/2로 설명합니다. 오각형의 대각선이 ★의 모양에는 여러 길이에서 황금비를 갖고 자기 복제적인 황금비가 사람의 인식에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세계 곳곳에 흩어져 있는 많은 사림이 공통적으로 별을 그리라고 하면 이렇게 ★ 그립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립간 2005-03-11 22: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개인이 느끼는 바를 남이 뭐라 할 수 없기도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그 모호함에 당혹감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무지개가 일곱 빛깔이 아니고 주관적이며 상대적일 때, 별모양 또한 상대적이라고 한다면 보편성이 어디에 있는 것일까?
마냐님이 <카트린 M의 성생활>에 대한 리뷰'서늘한 섹스담'의 글을 읽고 슬쩍 마냐님에게 물어 보았습니다. 문제가 되는 성이 무엇인가? 이에 대한 답변으로 '자발적 의지, 합의, 비난이 없고, 담담하다면...' 만약 성매매가 자발적이며, 합의가 되어 있고 서로 비난하지 않고 담담하면 받아들이만한 것인가... ㅜ.ㅜ 미혼자들이 성에 대해 억누르지 않고, 속으로는 곪아터지지 않는 방법이 있을까? (성매매와 낙태도 배제하며, 여성의 존중을 고려한.)
사실 남녀 논쟁이나 성담론은 모호함의 일반적인 원리의 한 현상으로 생각합니다. 보다 본질적으로 저는 선과 악이 혼란스러운데... 그래서 저는 괴델과 에셔가 좋습니다.

조선인 2005-03-11 22: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결론이 꽤 마음에 듭니다. 즉 성매매에서 당사자 2인만을 두면 공정하고 합리적인 계약관계가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만약 성 외에도 다른 이로부터 재화를 획득할 수 있는 수많은 방법이 있다면, 굳이 성 매매를 택할 것인가 라는 애둘러 가는 방법으로 논쟁이 보다 선명해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이상을 가집니다. -.-;;

2005-03-12 00: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 무지개와 별

 

 부제 - 모호함에 대하여


 누구에게 무지개 색깔이 몇이냐? 혹은 무엇이냐 물어 본다면...

 아마 빨강, 주황, 노랑, 녹색, 파랑, 남색, 보라라고 이야기할 것입니다. 그러나 혹시 알라디너 중에서 무지개 색깔을 실제로 확인해 보셨는지요.


 무지개 색은 연속적입니다. (물론 양자역학에 의한 것은 불연속일수 있으나 사람들이 실감할 수 없으니 이것을 무시하고.) 따라서 무지개 색은 빨강, 노랑, 파랑, 보라의 네 가지 색일 수 있습니다. 주황은 빨강과 노랑의 중간색, 녹색은 노랑과 파랑의 중간색, 남색은 파랑과 보라의 중간색으로 여겨도 아무런 문제점이 없습니다. 또한 빨강과 주황의 사이 색에 이름을 붙이면 무지개 색은 일곱 가지 색깔이 아니라 13가지 색깔도 가능합니다. 무지개 색은 연속적이므로 무지개를 보는 사람이 얼마나 세분하게 나누느냐에 따라 무지개의 색깔의 갯수는 결정됩니다. 즉 무지개 색깔은 인식을 바탕으로 (즉 사회의 교육에 의해 강요된 무지개 색의 가지 수로) 일곱 색깔이 결정되었다고 합니다.


 혹 하늘의 별을 보셨는지요. 별을 그리라고 하면 누구나 이렇게 ★ 그립니다. 그러나 하늘의 별은 ★ 방식을 즉 다섯 방향으로 빛을 발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섯 방향일 수도 있지만 일곱 방향, 또는 열 방향일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세계 모든 사람이 다섯 방향으로 빛을 발하는 ★을 별로 그립니다. 그리고 별은 많은 국기에 포함되어 있을 만큼 보편적입니다. 일부 학자들은 별에 대해 ★라고 느끼는 것 역시, 인식을 바탕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립간 2005-03-11 21: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글은 마냐님의 리뷰"서늘한 섹스담'을 읽고 저의 고질병인 '모호감에 대한 불쾌감'이 도져 페이퍼를 씁니다.

물만두 2005-03-11 21: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나도 모르겠어요 ㅠ.ㅠ

아영엄마 2005-03-12 0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저도 일전에 실제 별은 그렇게 안 생겼는데(원래 모양이야 원모양이고..) 왜 다섯개의 꼭지점이 있는 모양으로 그릴까 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애들도 그렇게 그리도록 교육을 받아서 그런가 별 하면 별다른 이의없이 ★ 모양으로 그리네요..

갈대 2005-03-12 11: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연과학자의 인문학적 이성 죽이기'에서 저자가 무지개를 아름답다고 느끼는 것과 실제 무지개의 물리적 성질을 이해하는 것은 완전히 별개라고 했던 게 기억나네요. 오감에 의한 직관적 인식과 사고만을 이용한 객관적 인식의 차이겠지요.
 

* 부부유별夫婦有別

 제가 (이미 박물관에 들어갔다고 생각되는) 오륜五倫을 처음 들은 1970대에 해석은 ‘남녀(부부)에는 구별이 있다.’는 것입니다. 지금과는 비교하면 남녀 차별이 매우 심했지만 점차 양성 평등의 기조가 형성되고 있었습니다. 당시 산하제한의 구호가 ‘아들 딸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였고 실천적으로 또는 감정적으로는 양성평등이 아니지만, 명목상으로 또는 이성적으로는 양성평등이 지향하였습니다. (제 생각) 이런 사회적 상황에서의 부부유별은 남편(아버지)이 해야 할 일과 아내(어머니)가 해야 될 일은 구분된다는 것입니다. 사회 활동을 하면서 경제를 책임지는 남자와 가사를 이끌어나가는 여자의 의미로 다가왔습니다.


 그런데 얼마 후 삼강三綱이라는 알게 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부위부강夫爲婦綱이었습니다. 이는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자강父爲子綱과 함께 수직적인 도덕을 강조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삼강오륜이 강조되던 조선 유교 사회에서의 부부유별은 남편이 우선이고 또는 지배적 위치에 있어야 하고 아내는 남편의 지도에 따라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조선시대의 유별은 구별이 아니고 차별로 해석될 수 있음을 알았습니다.


 그리고 한참이 지난 후 라디오 방송에서 어느 교수님의 이야기를 듣게 되었는데, 부부유별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의 의미는 혼외 성관계를 금한다는 뜻으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부부 A씨와 a씨, 그리고 다른 부부 B씨와 b씨 사이에는 구별이 있어야 한다. 즉 성관계를 부부 내에서만 해야지 부부의 경계를 넘어서 안 된다는 뜻이었다고 합니다.


 부부유별은 처음에는 혼외 성관계의 금지에서, 남녀의 위계질서로, 그리고 남녀의 역할 분담으로 의미가 변천되었습니다.


* 삼불거三不去


 (박물관으로 간 이야기를 하는 김에) 대개 사람들이 조선시대에 아내를 버릴 수 있는 (즉 이혼 사유가 되는) 칠거지악七去之惡이 있다 것을 알고 있는 것에 비해, 삼불거는 널리 잘 알려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

 삼불거는 시부모를 위해 삼년상을 치른 경우, 혼인 당시 가난하고 천한 지위에 있으나 후에 부귀를 얻은 경우, 이혼한 뒤 돌아갈 친정이 없는 경우는 이혼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립간 2004-11-13 09: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삼강오륜이나 칠거지악은 1970대 사극도 많이 방송되었고, 현대극이라고 해도 무자無子로 인한 가정내 갈등을 그리는 드라마가 많아 어쩌다가 들을 수 있는 말이었는데, 이제는 정말로 박물관에서 찾아 봐야 될 용어가 되었네요.

진/우맘 2004-11-13 11: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말씀 잘 새기고....혼외정사 금지라, 거 참.^^ 같은 말이라도 시대상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는군요.

조선인 2004-11-13 2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부유별에 그런 의미변천사가 있었군요. 배우고 갑니다. 꾸벅. 추천.
 

 * 물과 기름

 제가 어렸을 때 어른들에게 들은 이야기는 물은 물끼리 모이고 기름은 기름끼리 뭉친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한동안 그것을 사실로 알고 지냈습니다. 그러나 과학지식을 습득하면서 이야기는 잘못된 것임을 알았습니다. 물은 극성 분자로 한 분자 내에 양극을 띤 부분과 음극을 띤 부분을 갖습니다. 양극과 음극은 서로 인력이 작용하여 한 개의 그룹을 만들기도 합니다. 그래서 오각수 육각수라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물과 기름을 섞어 놓으면 극성을 띤 물 분자는 서로 뭉치고 또 무거워서 아래로 가라앉게 되어 기름은 물의 배타성에 의해 기름끼리 모이게 됩니다. 물론 비중에 의한 차이에 의해서 나눠지지만 인위적으로 물과 기름을 혼합하여 흔들어도 물과 기름은 에멀션emulsion의 형태로 존재하지 진정으로 용해될 수 없습니다.


 참고> 마태우스님 2004년 9월 1일자 페이퍼 ‘그냥’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weetmagic 2004-09-09 15: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그래서 알콜이 필요하다는 ~~ =3=3=3
 

* 순결과 정조

부제 : 기독교적 가치관으로 메우고 있는 가치관의 흠집2


- 간음하지 말지니라.You shall not commit adultery.  <출애굽기Exodus 20:13>


A : 제가 성性에 대해 알기 시작할 때 순결과 정조에 가치관은 매우 간단했습니다. 남녀 모두 ‘결혼 전의 순결은 당연하다.’ 그리고 ‘결혼 후의 외도는 당연하게 불가하다.’였습니다.


B. 어떤 라디오 드라마에서 미망인과 젊은 청년과 아가씨, 이렇게 세 사람이 삼각관계였는데 내용 진행으로 보아 미망인과 청년이 결혼했으면 하는 상황에서 미망인이 마치 양보하는 분위로 청년과 아가씨가 결혼하도록 하고 이야기는 끝났습니다. 당시(70년대 전) 사회분위기는 미망인과 미혼남의 결혼이 일반적이지 않고 드라마의 극적인 분위기를 위한 결론이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여기서 순결에 대한 가치관을 수정해야 했는데, 미망인(홀아비)이나 이혼녀(남)을 포함하여 배우자에게 고지된 것은 용인해야 한다. 그러나 순결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결혼 후에 그렇지 않는 것을 알게 되는 배우자는 배신감을 느끼게 되고 가정이 평화롭지 못할 것이다 생각했습니다. 따라서 속이는 것이 안된다고 생각했습니다.


C. 한참 후 어떤 글에서 읽은 것인데 : 한 여자가 남자를 사귀는데 자신의 조건을 거짓으로 이야기했습니다. 편모 슬하였는데, 양부모가 있다고 하고, 대학을 다니지 못했는데, 대학을 졸업했다고 남자를 속였다는 것입니다. 여자는 처음부터 남자를 속일 생각은 없었는데, 잘 모르는 남자에게 자신의 약점을 있는 대로 이야기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시간이 지나 그 남자를 좋아하게 되었지만 거짓을 바로 잡을 기회가 없었습니다. 막상 사실을 밝히려 하니 남자와 헤어질 것 같다는 것입니다. 이야기에서 여자의 사회적 조건을 순결로 바꿔 생각하면 더욱 고백하기 힘들겠죠. 여기서의 가치판단은 혼란스러웠습니다. 여자의 심정을 이해는 가지만 내가 당사자가 되면 어떤 결정을 하게 될까.


D. 90년대 중반 남자 후배가 결혼을 하게 되었는데, 이야기를 하다보니 혼전 순결에 대해 이야기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그 후배의 가치관은 요즘 같은 세상에 여자에게 혼전 순결을 강요하는 것은 사회적 분위기도 맞지 않을뿐더러 확률적으로 혼전 순결을 지키고 있는 여자와 결혼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물었지요. 너는 배우자의 순결이 없는 것에 대해 초연할 수 있냐고. 그러자 후배는 그럴 자신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무슨 말이냐고 했더니. 배우자가 막상 자신과의 결혼 전에 성경험이 있다는 감정을 자신이 조절하지 못할 것 같으나 확률적으로 그런 배우자 찾기 힘드니 배우자에게 혼전 순결에 대해 묻거나 이야기를 꺼내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E. 90말 대중매체에서는 한 동안 성담론이 유행이었습니다. 대체적 결론은 '성은 개인적인 것이다.'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반드시 개인적일까요. 역사적는 성도덕이 문란할 때 사회가 부패하고 쇄락의 길로 접어든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론에 이르는 중간 단계에 가정의 파괴가 있습니다. 가정의 가치에 당위성을 준다면 성도덕(순결과 정조)에 가치를 두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요즘에는 남성이 필요 없는 가정(알라디너 한분도 이와 같은 댓글을 남기신 분이 계시다.)을 포함하여 새로운 가정의 개념이 대두되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리고 실제로 불가능하더라도, 지향점을 버리면 안된다는 생각으로 다시 전환되었습니다.


- 또 간음치 말라 하였다는 것을 너희가 들었으나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여자를 보고 음욕을 품는 자다마 마음에 이미 간음하였느니라 “You have heard that it was said, 'Do not commit adultery.' But I tell you that anyone who looks at a women lustfully has already committed adultery with her in his heart.  <마태복음Matthew 5:27-28>


* 한편의 시조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

     산은 산이 아니요 물은 물이 아니로다.

     산은 물이요 물은 산이로다.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


* 에피소드


 제가 대학생 시절 학생회 일을 하면서 여관을 예약해 할 상황이 있었습니다. 주의에 시간이 적당한 사람인 여학생(학생회 간부)에게 여관을 예약을 부탁했는데, 그 여학생은 말없이 부탁을 들어주었습니다. 그런데 그일 마친 후 다른 남학생 간부들과 이야기를 하던 중, 여학생에게 여관을 예약하게 한 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입니다. 왜 하필 여학생이냐고. 시간이 적당하게 맞는 사람이 여학생이니 여학생을 시켰다고 이야기하니. 여관에서 여자(그 여학생)가 나오는 것이 보기 좋으냐고. 그래서 저는 대답했죠. 아니 그러면 남학생이 나오는 것은 보기 좋으냐고. 그 당시 생각에 여관에서 여자가 나오는 것은 보기 좋지 않고 남학생은 그 보다 낫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아들에게는 성도덕을 관용적으로 대하고 딸에게는 더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과 같으며, 아들에게 엄격한 성도덕이 교육되지 않으면 딸의 성도덕도 지켜지지 않는다는 것이 저의 생각이었습니다. 이런 이중적 잣대로 생각하는 너희가 잘못된 것이며, 내 생각이 잘못된 것이 아니고, 항변하였지만 30분 넘게 저는 친구들에게 야단을 맞아야 했습니다. - 후에 이런 가치관은 용도 폐기 처분하였습니다. 아무도 설득하지 못하고 사회도 이런 생각대로 움직이지 않으니...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태우스 2004-08-12 21: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의 글은 언제나 이런 스타일이어요. 눈에 잘 들어오고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쏙쏙 들어옵니다. 이런 게 잘쓴 글이겠지요... 근데 에피소드 부분은 동의하지 못하겠어요. 여자가 여관서 나오는 것보다야 남자가 나오는 게 훠어어얼씬 낫다고 생각합니다.

마립간 2004-08-13 07: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당시(학생시절)에는 기계론적 양성평등론자였습니다. 사회에서 남녀에 있어 성도덕이 기준을 다르게 적용하는데 예를 들면 사회적으로 문제를 일으켰던 O양 비디오 사건같은 경우 저는 남자의 이름도 모릅니다. 이런 문제의 해결로 기계론적 양성평등을 주장했는데 지금에는 전술한 바의 같이 성에 대한 가치관을 다른 것으로 바꾸었습니다.

水巖 2004-08-13 08: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느해인지 기억은 안나지만 한 여대생이 자살을 했습니다.
종로 3가(당시 창녀촌) 뒷골목에서 나오는 것을 본 같은 학교 학생.
소문에 소문이 펀져 나갔답니다. 견딜 수 없어 자살은 한것이죠.
그 학생은 종로 3가에 있는 천주교 성당을 다니는 독실한 신자였답니다.
마립간님의 에피소드를 보고 문득 그때 생각이 떠오르는군요.

마립간 2004-08-13 1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태 그 여학생(친구임)에게 미안한 느낌이 없었는데 수암의 글을 읽고 나니 조금 미안해 지내요. 직접적으로 그에 대해 이야기 나눈적은 없지만 그 친구는 저의 생각을 알았기 때문에 저 한테는 별 다른 이야기가 없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