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身邊雜記 170119

- 수학과 진학

 

며칠 전에 대학 친구를 만났다. 친구 아들이 옥스퍼드 대학 수학과 입학 허가 통지를 받았다고 한다. (이 학교에 진학 여부는 원서를 접수한 미국의 대학 입학 허가라는 변수가 있지만, 친구의 생각에는 이 학교 입학을 기정 사실화하고 있다.) 친구 아들을 아이 초등학생 시절에 몇 번 봤고, 이후로 보지 못했는데,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생 시절에 아이의 관심이 정치 외교에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러던 중 고등학교 1학년 말 쯤에 아이가 수학을 전공하고 싶다는 이야기를 했고, 내 친구는 내게 자문을 구했다. 인문계에 대한 공부를 하던 아이가 대학 입학 2년 전에 수학으로 진로를 바꾸는 것이 가능한가 하는 것을 물었다. 수학에 필요한 자질, 기본 바탕이 되는 능력과 아이의 열정 등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수학을 전공하는 것이 낫겠다고 했다. 무엇보다도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지만, 아빠인 친구는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어 말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다.

 

2년 전 서울대 수학과에서 입학한 (또 다른 친구의 아들) 아이와 함께 수학을 전공하는 아이를 보니 가슴이 뭉클했다. 내가 수학과 진학을 격려했던 두 아이 모두 그 길을 택했다. ‘그래 사람은 하고 싶은 것을 하고 살아야 되지.’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가만히 생각해 보면 그래 사람은 하고 싶은 것을 하고 살아야 되지.’라고 생각하는 것이 맞나 싶다. 내 경우를 보면 내 학력고사 성적으로는 수학과에 입학할 수가 없었다. 그 해는 대학 입시 요강이 변할 때라 하향 안전 지원으로 대학교 입학 학력고사 커트라인이 매우 낮았다. 유행하는 말로 폭망한 커트라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트라인 거의 떨어지지 않은 자연계-이과 계열 5개 학과 중의 하나가 수학과다. (이 글에 대해서는 학력고사 입시 제도에 대한 직간접 경험이 있어야 공감할 듯.)

 

다른 예로 바꿔보자. 어느 아이가 가수가 너무 되고 싶어 한다.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확률적으로 인기 있을 확률이 낮다. 그저 노래를 부를 수 있다는 것에 만족할 수도 있지만, 유명 가수가 될 그 무언가를 가지지 못했다면, 직업적인 가수가 되라고 격려하는 것이 옳을까?

 

뱀발 ;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수학과는 자연-이공 대학에 속해있지 않고 인문-문리 대학에 속해 있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립간 2017-01-19 07: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번에 시드니에 있는 UNSW 의대에 합격한 친구 아들 DW, 대원 외국어 고등학교에 입학한 또 다른 친구 딸 SH, 모두 축하한다. 수고 했다.

hnine 2017-01-19 08: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만약 저라면요, 아이가 가수가 너무 되고 싶어한다면, 아니 가수가 아니라 그 무엇이 되고 싶다해도, 되라고 격려하지도, 하지 말라고 반대하지도 않을 것 같아요. 그렇다고 아이 혼자 결정하게 구경만 한다는 뜻은 아니고요.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최대한 알아보고 아이에게 알려주는 것. 그러니까 그 직업에 대해 제가 가지고 있는 선입견을 잠시 누르고 현 시대에 맞는 새로운 그 직업 상황이 어떤지, 장단점은 어떠한지 등을 아이에게 알려주고, 마지막 결정은 아이가 하도록 두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요. 그래야 나중에 부모 탓하는 뒷탈도 막을수 있고 (^^), 앞으로도 자신의 미래와 관련된 결정은 자기 스스로 하고 책임져야 한다는, 더 큰 가르침의 기회가 되게 하고 싶어서요.
옥스퍼드, 대학원도 아니고 오히려 학부과정 어드미션 받기가 더 어려운 것으로 알고 있는데, 친구분 아드님 장하네요.

마립간 2017-01-19 11:11   좋아요 0 | URL
저 역시 hnine 님과 같은 가치관으로 행동합니다.

초등학생인 제 딸의 경우, 지금도 가능한 거의 모든 경우에 결정권을 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교육 없이 지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에게 무엇을 기대하기 보다, 아이에게 제 자신의 (恨보다는) 願을 숨기지 않고 이야기합니다.

오거서 2017-01-19 08: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상한 분임을 알겠습니다. 친구 아들의 진로 조언( 아니면 상담)해줄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되겠습니까. 인생이 뜻대로만 풀리면야… 그래서 더 열심히 살아야한다고 어른들이 말하곤 하죠. 그래도 가수가 되는 것과 유명 가수가 되는 것은 별개라고 생각합니다. 음악회, 뮤지컬 등 공연을 찾아다니고 복면가왕, 팬텀싱어 등의 TV 프로그램을 즐겨보면서도 느끼지만 유명가수가 아니더라도 자신만의 매력으로 노래를 부를 때 큰 감동을 주더군요. 또한 정의로운 검사를 목표로 공부하였다는 전 민정수석은 권력은 정점이었지만 국민의 지탄을 받고 있죠. 유명해지고 타이틀이 전부는 아니라고 새삼스럽지만 생각해봅니다.

마립간 2017-01-19 11:14   좋아요 1 | URL
제가 자상한지는 제가 판단하기 어렵고, 두 아이의 경우는 제가 수학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조언을 구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가수가 되는 것과 유명 가수가 되는 것은 별개이지만, 제가 다시 그 시절로 돌아가도 제 역량을 고려하여 여전히 고민할 것 같습니다.

qualia 2017-01-19 09: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수학의 노벨상이라는 필즈상은 40세 이하의 젊은 수학자들한테만 시상하기로 돼 있다고 하죠. 그만큼 수학은 나이의 지배를 많이 받는 학문이라는 것이죠. 다른 학문 분야도 대체로 그렇지만 독창적 아이디어, 혁신적 이론 따위를 제시하고 수립했던 수학자들 대부분이 아주 젊은 나이(그러니까 40대 훨씬 안쪽)에 그런 학문적 성과를 대부분 이뤘다는 것이죠. 그런 사실은 ① 뇌활동이 최고조에 이르는 연령대, ② 기존 이론 습득/흡수가 가장 빠른 연령대, ③ 새것(새 이론)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심이 가장 신선하게 분출하는 연령대, ④ 계산력, 논리력, 추론력, 분석력, 기상천외한 상상력, 이 모든 걸 종합적으로 통합하는 체계통합력 등등 따위가 가장 뛰어난 연령대, ⑤ 이 모든 것을 몸과 마음이 가장 효율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즉 체력과 정신력이 가장 강한 연령대가 10대 후반에서 40대 안쪽이라는 것을 직간접으로 증거하는 듯합니다. 수학자들이 대략 그렇게 판단하고 필즈상을 40대 안쪽 학자들한테만 주기로 했던 모양입니다. 물론 더 독창적이고 더 위대한 성과를 대망하며 젊고 특출난 학자들을 조기 발굴해 격려한다는 의미도 있었죠.

그러나 수학사를 보면 (수학에 거의 관심이 없거나 별다른 능력을 보이지 않았던 사람이) 40대가 넘어서 수학사에 남을 만한 탁월한 업적을 이룩한 경우도 적지 않다고 합니다. 이런 경우는 뇌가 뒤늦게 ‘트인’ 경우로 볼 수도 있겠죠. 비유하자면 뇌가 장기간 일종의 동면에 들어갔다가 어느 날 갑자기 깨어나 왕성한 활동을 재개한 경우랄 수 있을 겁니다. 40대 이상 나이 든 사람들도 얼마든지 (보통이 아닌 아주 큰) 희망을 품을 수 있다는 겁니다.

윗글에서 마립간 님이 들려준 이야기는 이런 점에서 시사하는 점이 크다고 봅니다. 즉 제가 먼저 상기한 ①, ②, ③, ④, ⑤ 등등의 조건은 그것들이 서로 긴밀하게 맞물리며 최적화되는 시점이 사람마다 얼마든지 다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다만 지나친 확대 해석은 경계해야 하겠죠. 즉 ①~⑤ 등등의 조건은 필즈상의 규정과 확률적으로 가장 크게 맞아떨어질 것이라는 얘기죠. 예외적인 경우가 분명히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예외적인 경우에 너무 의존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랄 수 있습니다.

마립간 2017-01-19 11:19   좋아요 0 | URL
저는 qualia 님 말씀에 동감합니다. 그러나

(수학에 거의 관심이 없거나 별다른 능력을 보이지 않았던 사람이) 40대가 넘어서 수학사에 남을 만한 탁월한 업적을 이룩한 경우도 적지 않다고 합니다. ; 라는 것에는 동의하지 않는 사람도 꽤 있더군요.

대표적으로 ≪어느 수학자의 변명≫의 반례(예외)로 ‘에르되시‘가 언급되는데, 나이가 들어서 세운 업적이 젊은 나이에 세운 업적에 비해 미미하기 때문에 반례가 되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Boltzmann 2021-11-08 00: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수학도 예술의 일종이라 생각합니다. 고로 수학자나 예술가는 본인이 하고 싶은 일을 업으로 삼은 사람들이고 동시에 예술을 하는 사람들인데 이들은 하고싶은 일은 하되 평균적으로 배부른 직업은 아니라고 하더군요.

마립간 2021-11-08 11:57   좋아요 0 | URL
닉네임이 멋지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