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떤 약속
소르주 샬랑동 지음, 김민정 옮김 / 아고라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말더듬이 자크>으로 조금 호기심이 있었던 "소르주 샬랑동"의 소설을 드디어 만나보게 되었다.
아동문학인가 싶었던 <말더듬이 자크>의 실체를 접해보기도 전에 그의 신작이 소개되어
<어떤 약속>으로 그의 작품세계에 처음으로 발을 들여놓게 되었다.
기자라는 작가의 경력이 나에게 색안경을 끼게 한거 같다.
재치있는 경쾌함이 묻어나는 소설이려니 하는 터무니없는 예상을 하고 책을 집어든 것이다.
하지만 읽어나가는 동안 다시 한번 작가의 소개글을 뒤적여본다.
내가 생각한 기자라는 이미지가 잘못된 것일까?
냉철하고 풍자적일 거란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갔고 그 기분 좋은 빗나간 예상 대신 나는 따스한 이야기를 만나게 되었다.
'나도 저렇게 늙었으면' 싶은 노부부의 이야기로 시작된 <어떤 약속>
그저 소소한 생활의 단편을 훔쳐보는 것 같은 기분이었다.
낱말맞추기를 하는 아내와 집안을 둘러보기도 하고 수집한 우표를 들춰보기도 하는 남편.
평범한 노부부의 평화로운 일상.
그런데 알콩달콩 여전히 행복해 보이는 노부부에게 누군가가 찾아오고
그들 부부는 이미 누군가의 방문을 예감하고 있었다.
하지만 노부부는 문을 열어주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는다.
그리고 발길을 돌리는 방문객.
마을사람들과 벽을 쌓고 살아가는 노부부인가 싶었지만
사실 노부부는 벽은 커녕 마을 사람 모두에게 더 없이 친절한 다정한 사람들이었다.
이때부터 슬슬 무슨 일이지 싶은 긴장감이 들었고 가벼운 궁금증을 안고 계속 이야기에 빠져들었다.
그리고 밝혀진 "어떤 약속"의 진실.
사실 이 책에서 중요한 것은 약속 그 자체가 아니라 약속을 지켜나가던
마을 사람들 한 명 한 명과 부부의 인연과 추억들
소박하지만 그래서 더 와닿는 아름다운 추억들
바로 이런 이야기들이 중심이고 작가가 우리들에게 들려주고 싶었던 이야기다.
"약속"을 통해서 다시 만나는 노부부와 사람들의 이야기.
램프에게 웃음소리를 들려주고 발소리를 들려주고 램프를 속여야 해
램프를 속이면 사랑하는 사람을 그 기간 동안 곁에 둘 수 있어.
이게 무슨 동화같은 이야기인가 싶지만 어쩔때는 현실도 동화처럼, 아니 동화보다 더 아름다울 수 있다는
그런 따스함을 <어떤 약속>에서 되새겨 볼 수 있었다.
과장되거나 억지스럽지 않은, 생활속에서, 우리 주변에서의 작은 하지만 당사자에게는 잊지 못할 정도로 큰 소중한 따스함을.
그리고 이 소설에는 주인공이 없다. 아니, 모두가 주인공이다.
우리들이 자신의 삶에서 각자가 주인공임을 보여주듯이 인물 하나 하나의 이야기에 소홀함이 없다.
책을 다 읽고 나서 다시 표지를 들여다보니
얼굴없는 신랑 신부의 모습이 미래의 나를, 혹은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을 떠올리게 해준다.
누구라도 할 수 있는 아름다운 어떤 약속과 함께.
*띠지의 -기상천외한 약속을 둘러싼 가슴 따뜻한 이야기와 놀라운 반전-이란 말은 잊고 책속으로 빠져들기를 바래본다.
자극적이고 극적인 이야기들의 호들갑에 지친 사람들에게 깊게 스며들 수 있는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