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스 : 누구나 알지만, 아무도 모르는
제나 새터스웨이트 지음, 최유경 옮김 / 해피북스투유 / 2024년 11월
평점 :
출판사 [해피북스투유]로부터 도서제공을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본서의 소개는 아주 화려한데 ‘2024년 올해 가장 기대되는 소설’, ‘2024년 참신한 공상과학 소설’, ‘2024년 독자들이 가장 기대하는 미스터리&스릴러’, ‘2024년 최고의 데뷔소설’, ‘이달의 베스트 심리스릴러 신작’, ‘2024년 가장 기대되는 공상과학&판타지 소설’ 등 소설에 주목하기에 부족하지 않은 미사여구다. 최고의, 기대되는, 참신한, 미스터리&스릴러, 심리스릴러, 공상과학&판타지로 정리될 텐데 리뷰를 미리 스포일러 하자면 이런 수식어들이 전혀 과장되지 않은 소설임에 분명하다는 것이다.
[신스]의 원제는 [MADE FOR YOU]다. 영어 제목을 그대로 번역해서 한국어 제목으로 삼았다면 그다지 첫 이끌림은 없는 책으로 인식되었을 것 같기도 한 제목이다. 그래서인지 소설의 주요 소재이자 전체 흐름과 대미를 장식하는 근본적인 주제를 담은 소재인 ‘신스’ 자체를 제목으로 삼은 듯하다. 책 소개글을 조금이라도 보셨거나 이 리뷰를 보시기 전 입소문이라도 들어보신 분이라면 이미 아실 것이듯 ‘신스’는 인조인간을 지칭하는 이 소설에서의 용어다. 소설의 주인공은 인조인간 즉 신스인 여성, 줄리아다.
소설은 줄리아의 탄생과 함께 시작된다. 그녀는 자신을 ‘사랑을 찾으러 왔다’고 소개하기도 한다. 소설은 과거와 현재가 번갈아 가면서 반복되며 전개된다.
과거부터 설명하자면 그녀는 조쉬라는 한 남성의 연인이 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조쉬가 출연하는 조쉬를 차지하기 위한 여러 여성들의 서바이벌 연애 프로그램인 [더 프로포즈]에 출연하는 것이 그녀가 탄생 후 최초로 갖는 업무이다.
그리고 현재에서는 이미 남편이자 딸아이의 아버지이기도 한 조쉬는 여행을 갔다가 소식이 없고 이야기는 금세 조쉬의 살인 사건에 대한 미스터리 서스펜스로 이어진다.
과거와 현재는 각 한 챕터씩 순환하며 반복되는 데 ‘과거’라는 이름의 장들은 줄리아와 조쉬의 [더 프로포즈]에서의 첫 만남과 이어지는 방송에서의 달콤한 연애담이 이어진다. 결국 줄리아가 조쉬를 쟁취하며 둘의 결혼과 함께 순조로운 연애 이야기가 펼쳐지는 것 같지만 결혼을 앞두고 조쉬의 엄마가 줄리아가 신스인 것을 문제 삼아 결혼을 반대하며 이 연인들의 관계에 균열이 가기 시작하고 말기암 진단을 받은 조쉬의 엄마 문제로 조쉬가 스트레스를 극심히 받으며 완벽한 외모의 매력적이기 이를데 없는 연애 상대인 조쉬의 본색이 서서히 드러나기 시작한다. 신스지만 기증된 난자로 배란을 이어가고 있는 줄리아는 이미 조쉬의 아기를 임신하였다는 걸 알고는 이 사랑의 결말이 이렇게는 안 된다는 심정과 함께 운명에 끌려가듯 결혼을 하고 임신 초기부터 조쉬의 엄마인 말기암 환자 리타를 돌보기 시작한다. 하지만 이미 바닥을 보이기 시작한 매력적인 연애 상대 조쉬는 리타가 사망하자 자신의 부정성을 극한으로 드러내기 시작하며 이야기는 끝간데 없이 전개된다.
과거와 교차 순환하는 ‘현재’라는 이름의 장에서 결혼 후 1년 몇 개월이 넘은 현실이 펼쳐지고 홀로 여행을 떠난 조쉬를 기다리는 줄리아는 이미 애널리라는 아기의 엄마이기도 하다. 결국 조쉬에 대한 실종 신고를 하려던 그녀에게 방문한 경찰 미첼은 살인 사건을 의심하는 발언을 하고 줄리아는 자신을 제작한 앤디와, 가끔씩 그녀가 애널리를 맡기는 베이시터 에덴, 그리고 수상쩍은 이웃 밥, 그리고 [더 프로포즈] 방송 당시 난입해 자신을 공격했던 데보라를 용의선상에 놓고 의심한다.
이 소설에서 묘사되는 줄리아는 처음에는 여느 순수한 여성과 다를 바 없는데 그녀가 신스라는 인조인간으로 사람과 다르다는 인상을 받게 되는 건 초반부에는 그녀를 향한 공격자 데보라와 경찰 미첼의 적대적 반응과 선입견이 다일 것이다. 후반부에 와서야 에덴이 그녀에게 행한 일들 그리고 앤디를 향한 마지막의 그녀의 반응과 대응이 최종적으로 그녀를 신스구나 하고 차이점을 인식하게 한다.
이 소설은 미스터리 서스펜스와 공상과학 판타지로서 충분한 재미를 가져다주고 결말에 가까워져서는 심리스릴러로서도 완벽한 소설이라는 감상을 갖게 한다. 스포일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자세히는 적을 수 없지만 순수하던 그녀가 앤디가 했던 마지막 말처럼 완전히 고장나 버렸다는 것을 소설의 맨 마지막에 그녀가 애널리 방에 가져다 놓아야겠다는 무엇으로 인해 알 수 있다.
이 소설에서는 가해자와 피해자의 경계가 선명하다가 결말로 가서는 모호해진다. 그녀를 그리 만든 것이 앤디라는 에덴의 말도 신뢰할 수 없다. 에덴의 계획에 줄리아와 앤디가 희생당한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기도 하다. 앤디는 줄리아가 자신에게 왜 이러는지 아무것도 몰랐지 않은가? 앤디가 줄리아에게 어떤 욕동을 프로그램한 것이 아닐 수도 있고 모든 건 웨크테크사의 CEO 자리를 빼앗기 위한 에덴의 계략이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에 대해 이 소설은 명백하게 드러내지 않는다.
소설은 달콤한 연애와 현실인 결혼 그리고 가정 폭력 속에서도 대외적으로는 멋진 부부를 연출해야 하는 모습 등의 대비를 보여준다. 타인들이 보기에 멋진 연애 상대인 조쉬와 현실에서는 쓰레기인 그가 대비되듯이 그리고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인플루언서이자 신스라는 이유만으로 대중에게 폭력과 차별의 대상이 되는 줄리아를 통해 이 시대의 차별철폐 주의를 강조하려 한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무엇보다 소설 초반에 등장하는 그녀가 결말의 그녀로 남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거북하지 않게 잘도 묘사해낸 작가로 인해 줄리아에게 한마디로 단언하기 힘든 묘한 감상이 남기도 한다.
공상과학 판타지이자 미스터리 서스펜스이기도 하지만 또 심리스릴러이기도 한 이 소설은 가볍고 쉽게 페이지를 넘기는 중에 자각하지 못하면서 마지막 페이지를 넘길 때 내가 언제까지나 순수 속에 있기에는 세상은 많이 난해한 곳이구나 하는 감상을 갖게 할 것이다.
사람도 인공지능도 똑같이 이렇게 고장날 수 있을 것 같다는 무섭도록 현실감을 주는 소설이다. 재미 삼아 읽기에도 뛰어나고 이 시대에 내가 돌아보지 않으려던 현실을 새삼 주시하게 해 준다는 데서도 탁월한 책이 아닌가 싶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08/pimg_711942183456319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