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8주부터 지금까지 르네상스 시대의 미술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럼 이러한 미술품을 제작한 화가나 조각가 또는 건축가들은 어떻게 미술을 배우고 사회적으로는 어떤 지위에 있었을까요. 14세기 초에서 16세기 중엽에 이르는 250여 년 사이에 미술인들의 지위는 장인에서 예술가로 승격되었습니다. 14세기 중엽의 안드레아 피사노(Andrea Pisano: 1290년경-1348)가 지오토의 종탑에 새긴 <조각>(도1)을 보면 조각가의 모습을 돌을 쪼아 인물상을 만들고 있는 수작업 광경으로 나타낸데 반해 16세기 중엽의 조각가 바치오 반디넬리(Baccio Bandinelli: 1493-1560)는 자신을 깨끗한 스튜디오에서 작품구상의 데생을 가리키고 있는 귀족적인 모습의 작가로 나타내고 있습니다(도2). 화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여서 안드레아 피사노의 <회화>(도3)에서는 제단화를 그리고 있는 제작실의 화가인 반면 16세기 중엽의 조르지오 바자리(Giorgio Vasari: 1511-1574)는 <자화상>(도4)에서 붓을 들고 있는 것으로 화가임을 암시할 뿐, 품위 있는 의상에 금목걸이를 하고있는 귀족의 모습으로 자신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250여 년 동안 미술가는 장이에서 귀족적인 예술가로 변모한 것입니다.
|
 |
|
 |
 |
도1 안드레아 피사노, <조각> |
1334-1342년, 부조 |
피렌체. 델오페라 델 두오모박물관 |
| |
|
 |
 |
도2 바치오 반디넬리, <자화상> |
1530년, 유화 |
보스턴,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미술관 |
| | |
|
 |
 |
도3 안드레아 피사노 <회화> |
1334-1342년, 부조 |
피렌체, 오페라 델 두오모박물관 |
| |
|
 |
 |
도4 조르지오 바자리 <자화상> |
유화, 피렌체, 우피치 |
|
| | |
|
 |
 | |
|
|
|
|
|
|
|
|
 |
 |
미켈란젤로는 제작의 어려움이나 장애요인, 힘든 노동들은 회화나 조각이 품격을 지니는데 하등 방해요인이 되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에게는 천함과 고귀함은 육체노동과 정신노동의 차이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궁극의 목적이 천하면 노동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이며, 궁극의 목적이 품위 있으면 반대로 노동 또한 품격이 높아진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그에 의하면 물체를 초월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바로 知性(intellettuale)의 비전에 따라 움직이는 손에 작용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의 유명한 詩 「아무리 위대한 예술가라도…」는 육체노동과 정신의 관계에 대한 그의 생각을 매우 정확하게 나타내주고 있습니다.
“아무리 위대한 예술가라도 관념을 가질 수는 없으며, 대리석 또한 덩어리가 충만해도 스스로는 어찌할 수 없으니 知性을 따르는 손에 의해서만이 가능한 것이다.” |
미켈란젤로에게 있어서 손노동은 더 이상 추한 것이 아니고 지성의 모습을 구체화하는 구현자인 것입니다.
|
 |
|
 |
 | |
|
|
|
|
|
 |
 |
지금까지 우리는 14세기까지만 해도 장이의 신분이었던 화가와 조각가가 16세기 중엽에는 지성적인 예술가가 되는 과정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를 위하여 손노동임을 부정하고 정신노동임을 강조하는 화가와 조각가의 이론화 작업은 실로 끊임없는 투쟁이었습니다. 그 결과 미술은 자유 인문학과 같이 고상한 수준으로 상승하고, 미술가는 궁정인에 이르는 신분상승을 하였습니다. 그들의 소속도 직업조합인 길드에서 엘리트들의 문화, 교육기관인 아카데미아에 속하는 변화를 갖게 된 것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