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의 도시국가는 위기 때 함께 대처하고, 같은 수호신을 모시는 공동체였습니다. 따라서 고대 신전은 신을 모시는 공간이었을 뿐 아니라 시민들의 공동체 의식, 즉 애국심을 결성하는 공공의 장소였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그리스의 도시와 신전, 그리고 정치는 서로 복합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것입니다. 신전은 산 속이나, 바닷가, 혹은 시장이나 극장이 이뤄진 도시의 한 가운데 세워졌습니다. 그러나 어디에 세워지건, 신전은 언제나 시민의식의 지향점이였으며, 그리스인들은 신전의 건축과 조각을 통해 국가의식을 공유하고 과시하였습니다.
최근의 미술사 연구는 미술을 독립적으로 다루기보다 정치,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그 참 모습을 찾아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우리 수업에서는 아테네의 파르테논 신전을 통해 신전과 정치의 관계를 추정하겠는데, 그러기에 앞서 새로운 형태를 위한 건축가들의 창안과 경쟁적인 노력을 살펴보는 것부터 시작해야겠습니다. 그리스 건축이라 하면 당연히 신전의 기둥 장식에 따라 도리아식(도1, 4), 이오니아식(도2, 5), 코린트식(도3, 6)과 같은 세 가지 양식이 떠오를 것입니다. 그러나 고대 건축에 있어서 柱式 (order)이 단순히 주두장식의 차이만을 일컫는 것은 아닙니다. 그들은 이러한 양식의 차이에 따라 각 부분의 비례와 조각의 배치 방법들까지 달리하였습니다.
|
 |
|
 |
 |
도1 도리아식 주두 |
기원 전 447-438년 |
아테네의 파르테논 신전 |
|
| |
|
 |
 |
도2 이오니아식 주두 |
프리에네의 미네르바 폴리스 |
|
|
| |
|
 |
 |
도3 코린트식 주두 |
로마 파르테논 신전 |
|
|
| |
|
| |
 |
|
 |
 |
도4 도리아식 주두 |
기원 전 450년 경, |
실라로의 보물창고, 파에스툼 |
|
| |
|
 |
 |
도5 이오니아식 주두 |
기원 전 500년 경 |
아테네, 페스토 박물관 |
|
| |
|
 |
 |
도6 코린트식 주두 |
기원 전 4세기 |
아스클레피오스 신전 |
|
| |
|
|
|
|
|
 | |
|
|
|
|
|
|
 |
파르테논 신전이 우리 눈에 균형 있게 보이는 데는 건축가의 섬세한 계산이 있었던 결과입니다(도14). 건축가는 기둥의 가운데 부분이 가늘게 보이는 착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둥에 배불림(엔타시스)을 주고 기둥 윗부분을 조금 안쪽으로 기울여 안정감 있게 보이도록 세심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
 |
 |
|
 |
 |
도14 파르테논 신전 정면, 기원전 447-438년, 아테네 아크로폴리스 |
|
|
|
|
| |
| |
지금은 관광유적일 뿐이지만, 기원전 5세기의 당시를 상상한다면 아테네의 모든 시민이 줄지어 신전에 봉헌하며, 범 아테네 축제를 벌이는 모습이 실로 장관이었을 것입니다. 당연히 그 곳은 종교적인 역할을 넘어 도시국가(police)로서의 공동체를 인식하는 정치적인 공간이기도 하였습니다. 실제로 파르테논 신전의 건축은 그리스 연맹이 페르시아에 승리한 후, 연맹을 주도하던 아테네가 정치력을 확고히 하려는 의도에서 추진하였습니다. 페리클레스는 이같은 거대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연맹의 군자금까지 전용했다고 하는데, 아테네가 신전의 건축과 조각에 이렇듯 큰돈을 들인 것은 미술이 민심을 결집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 여겼기 때문일 것입니다.
|
|
 | |
|
|
 |
파르테논 신전의 위치와 신전 안팎의 조각들을 살펴보면 신전의 정치적인 중요성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신전은 아크로폴리스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해 도시의 어디에서나 보이며 사방의 길이 이 곳을 향하게 되어 있어서 파르테논 신전은 당시 아테네 사회의 중심이었습니다.
|
 |
|
|
|
 | |
|
|
|
|
|
|
 |
이 같은 주제에서 우리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즉 아테네를 지킨 神과 영웅을 善에 놓고 그와 싸운 트로이나 아마존, 거인족, 반인반수의 켄타우로스를 惡에 놓은 기본 구조가 그것입니다. 아래, 아폴로 신전의 프리즈 부분인 <아마존을 내리치는 그리스 병사> 역시 같은 맥락일 것입니다(도25).
|
 |
 |
|
 |
 |
도25 아폴로 신전, 프리즈 <아마존을 내리치는 그리스 병사> |
기원 전 420-410,년, 높이 64cm, 런던 대영박물관 |
|
|
|
| |
| |
그리스를 위협하였던 적들은 되도록 혐오스럽고, 동물 같은 존재, 혹은 여성으로 그려내고 있는 반면 이들과 싸운, 즉 아테네를 중심으로 한 그리스는 건강하고 보기 좋은 젊은 영웅의 모습으로 그려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범 아테네 도시 연방 외부의 적들은 아테네의 문명화된 질서와 신성을 위협하는 파괴적인 존재라는 무언의 이미지라 할 수 있습니다. 현대의 우리는 고대 그리스의 미술 생산품들을 미적인 범주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지만, 그리스신전 건축과 조각은 도시국가의 정치와 분리하여서는 생각할 수 없는 대상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될 것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