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멸감 - 굴욕과 존엄의 감정사회학
김찬호 지음, 유주환 작곡 / 문학과지성사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성이냐 감정이냐?

예전 같으면 무조건 이성이 우위라고 말하겠지만, 지금은 감정이 우선한다고 말해야겠다. 감정의 힘은 이성을 복종시킨다. 강정이라는 강력한 엔진으로 인해 벌어진 행동을 이성은 사후적으로 합리화한다. 인간은 이성적이라기 보다 감정적인 동물이다.

 

감정의 흐름이 개별적인 것만은 아니다. 물론 개개인의 감정은 온전히 그 사람만의 것은 틀림없지만, 개개의 감정도 사회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여기서 이 책은 심리학적인 분석에서 사회학적인 분석으로 넘어간다. 한국 사회에서 유력하게 나타나는 감정적 키워드는 무엇일까? 저자는 '모멸감'을 키워드로 삼았다.

 

모멸감...모욕과 멸시를 합친 말이다. 저자의 주장에 따른면 이 사회는 모멸감이 넘실거리는 사회다.

모멸은 모욕하고 경멸하는 거, 즉 마음으로 낮추어 보거나 하찮게 여기는 것이다. 다시 말해 다른 사람을 의도적으로 또는 무심코 격하시키고 그 존엄성을 부정하는 것, 상대방을 비하하고 깔아 뭉갬으로써 수치심을 유발하는 행위다. 그러한 대접을 받는 사람이 느끼게 되는 감정이 모멸감이다.

모멸은 인간이 모든 것을 다 포기하고 내준다 해도 반드시 지키려는 그 무엇, 사람이 사람으로 존립할 수 있는 원초적인 토대를 짓밟는다. 그런 처지에 몰리면 인간이 처할 수 있는 가장 밑바닥에 떨어졌다고 느끼면서 자신 또는 남을 죽이고 싶은 충동마저 일어날 수 있다.

 

모멸감을 유발하는 상황은 매우 다양하다. 저자는 모멸감을 느끼는 범주를 비하, 차별, 조롱, 무시, 침해, 동정, 오해 등 7가지 범주로 나누어 설명한다. 물론 이는 개념적인 분류일 뿐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다름 범주들이야 이해가 간다 해도 '동정'의 경우는 좀 의하할 지 모른다. 힘들게 살아가는 사람을 보면서 가슴 아파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그러나 타인의 상황에 대한 단정과 피상적인 감정이입이 정작 당사자들에게는 지극히 불편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어쩌면 우리는 값싼 동정으로 타인을 이해했다고 하면서 잊어버리는 것인지 모른다. 그들의 존재가 단지 나의 행복을 확인하는 배경으로만 여겨진다면, 그들은 한낱 대사이나 수단에 머물고 만다. 나와 그들 사이에 인격적인 관계는 성립하지 않는 것이다.

 

이 책에서 특히 많이 등장하는 것은 '감정노동'이다. 소비자는 왕이라는 구호가 실질적인 지위확인으로 등장하는 이 사회에서 감정노동자는 노동자라기 보다는 노예이다. 모든 사람이 노동자이고 소비자인 사회에서 소비자의 지위로 타인을 억압하는 풍토가 만연하다는 것은 아이러니한 일이자 내면화된 경쟁의 부작용이 표출되는 현상일 뿐이다.

 

물론 대안은 있다. 모두가 다 알고 있는 대안, 사회를 구조적으로 변경시키고 내면의 힘을 길러야한다. 항상 그렇듯이 대안이 대안으로 작동하려면 실천이 중요해진다. 그리고 항상 그것이 문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