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시 노동자들이 고공으로 올라갔다.

지상에서 싸우는 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기에 마지막으로 농성을 행해야 하는 곳으로 ...

지상에서 추방된 자들은 땅 속으로 죽어 들어가거나 살기위해 높은 곳으로 올라가야 했다.

 

한겨레 기사 : http://www.hani.co.kr/arti/society/labor/668927.html?_fr=mt1

 

스타케이컬이 그렇고 한진이 그랬으며 씨앤앰 노동자들이 그랬다.

그리고 쌍용이 또 추가되었다.

 

대한항공 김현아 부사장의 슈퍼갑질에 세상이 시끄럽다. 하기야 그들의 부를 창출하고 유지하고 지탱시켜 주는 노동자들에게 인격이 없는 물건취급을 했으니 비난 받아 마땅하다고 하자. 하지만 그렇게 슈퍼 갑질을 하도록 허용한 것은 누구일까?

 

IMF시절 한보의 정태수는 직원을 머슴으로 칭했다. 이른바 노예로 여긴 것이다.

자본주의가 발전하고 사용자와 노동자는 형식적이나마 계약관계 임을 전면 부정하고 아직도 봉건제에 살고 있음을 깨우치는 일갈이었고 수없이 많은 사람들에게 분노를 일으키게 한 말이었다.

그 시절 이후 얼마나 많은 것이 바뀌었을까?

 

87년 체제 후 민주화가 많이 진행되었다고들 한다. 사실 변화된 것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변하지 않은 것이 있다. 자본가와 노동자의 관계.. 이 관계는 변하지도 않았고 오히려 불평등한 권력관계가 더 심화되고 있다. 시대가 변해서 대놓고 노예라고 머슴이라고 칭하지 않지만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서 모욕하고 상처주고 굴욕을 주고 있고 이러한 행위는 하늘이 준 천부인권적 권리로 생각하고 있지 않은가? 자신의 노력없이 세습받은 부와 지위로 타인을 모욕하는 그 천박한 행태는 이 사회에서 용인받아 왔기에 행할 수 있었다.

 

다시 한 번 생각해 봐야 할 것은 우리 스스로도 이런 천박한 행위를 용인하고 있지 않은가 하는 점이다. 비정규직을 용인하는 것, 정리해고를 용인하는 것.... 인간이 인간답게 살 수 없는 조건을 계속해서 허용하고 있는 것, 노동이 상품임을 용인하는 것...

 

이제 다시 고공으로 올라간 노동자들에게 전해줄 이야기는 무엇이어야 할까?

지상에서 추방되어 하늘 가까이에 올라가 이 엄혹한 바람을 맨몸으로 버텨야 하는 이들에게 이 사회가 주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

노동의 문제가 삶의 문제라서 그런걸까?

아직 쉬운 해답이 보이질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