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을 공유하시겠습니까? - 셀카 본능에서 잊혀질 권리까지, 삶의 격을 높이는 디지털 문법의 모든 것
구본권 지음 / 어크로스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시대의 문법이 바뀌었다. 세상은 하루하루 눈부시게 변해가고 있고 변화를 따라 잡기에도 허덕이는 시대다. 특히 빠르게 발전하는 디지털 세상은 조금만 방심하면 뒤쳐지는 느낌을 갖게 한다. 이 변화를 일견 긍정적이기도 하고 한편으론 부정적이기도 하다. 모든 사람들이 지식과 정보를 손쉽게 접하고 거리를 지우고 언제나 만나고 싶은 사람과 연락할 수 있으며, 이전보다 자신을 대중앞에 드러내기 쉬운 시대이기도 하지만 그에 대한 숙고 없이 지내다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당하고 거대 권력으로 부터 자신의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당하는 시대이기도 하다.

 

정보의 확산과 공유는 디지털 시대의 정신이기도 하다. 이러한 디지털 정신은 개개인에게 이전과는 다른 권력을 주었다. 거대 권력기과에 맞서는 개인의 힘은 과거에 비해 커졌지만, 동시에 국가기관의 힘도 비약적으로 커졌다. 우리들이 1984를 끊임없이 되뇌이는 이유다. 


실제 모든 정보는 충분히 약탈되고 공유될 수 있다. 이러한 세상에서 살아가기 위해 해야 할 개인적인 지침은 무엇일까? 일단 디지털 세상에서 자신의 존재를 지우는 방법은 없다. 심지어 과거의 행적도 지울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과거는 포기하는 것이 좋다. 웹상에 공개된 정보를 지우기보다는 향후 자신의 행적을 통제하는 것이 현명하다. 문제는 향후 자신의 행적을 디지털 세상에서 드러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기기들을 버려야 한다는 것이다. 스마트폰부터 외부와 접속하는 모든 기기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심지어 교통카드기 되는 신용카드마저도....


이러한 것은 결국 세상으로 부터 철저하게 고립되는 것이다. 이건 사실상 현실적인 대안은 아니다. 이 시대는 자신을 스스로 노출하는 시대이지 자신을 감추는 시대가 아니다. 이미 SNS를 통해서 자신을 모든 사람들에게 노출하는 것을 아무런 문제의식없이 행하고 있다. 이미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는 초기 설정부터 스스로를 노출하도록 초기화 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는 결국 어디론가 흘러가 어떻게 사용될 지 아무도 모른다. 다만, 최근 빅데이터 이론을 보면 이렇게 모집된 정보는 국가나 기업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고 실제 활용된다는 것이다. 


이제는 페이스북의 글이나 트위터의 글이 법정의 중요한 증거로 채택되고 있다. 개인의 생각을 증명하는 주요한 자료가 된다. 결국 아무생각 없이 그때 그때의 소회가 자신을 얽매는 동아줄로 변할 수 있다. 그 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자신이 느끼지 못할 뿐이다. 디지털 시대에 잊혀질 권리가 대두되는 이유다. 


이 책의 장점은 단순하게 정보 통신에 대한 안내뿐만 아니라 디지털 시대의 삶의 풍경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 가를 고민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삶의 태도와 행태가 달라지고 있다. 시간에 대한 감각에서 부터 교육문제까지 이 책이 전달해 주는 이야기는 간단하게 여길 수 없다. 


정보화 시대에 개인이 살아가는 방법은 무엇일까?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 개인이 최소한도로 알아야 할 지식은 무엇일까? 이 정보화 시대가 인류를 어디로 이끌고 갈 것인가?

이 책은 장미빛 미래라고 칭송되는 정보화 시대의 어두운 일면도 친절하게 가르쳐주고 있다. 그 어두운 일면을 인식하지 않고 정보화시대를 말하는 것은 스스로를 족쇄로 채우는 일이다. 


디지털시대의 노예로 살 것인가 주인으로 살 것인가? 시대의 흐름에 떠밀려 갈 것인가 현명하게 항해해 갈 것인가?

다시 한 번 묻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