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간의 스포일러가 있음
이 영화 불쾌하고 무겁다. 마치 바다에 가라 앉은 것처럼 온 몸으로 감당해야 할 무게가 스크린을 타고 넘실거린다. 영화가 끝나고 왜 이런 불쾌감이 드는지 곰곰히 생각해 보니 딱 지금의 우리가 갇혀있는 사회가 영화의 선박인 '전진호'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배부터 이야기 하자 '전진호' ... 한때는 잘 나가던 이 배는 선주가 폐선처리해야 할 정도로 낡고 고장이 잦다. 완전히 폐기하는 것이 더 이익일 수 있는 이 배... 모든 사건의 배경이 된다.
강선장.. 선장은 '전진호'를 끔찍하게 사랑한다. 이 배를 다시 살리기 위해서 무엇인든 할 마음의 준비가 되어있다. 그리고 그는 저질러 버린다.
선원들... 갑판장과 기관장 그리고 선원들은 강선장의 지휘 아래 있다. 강선장도 이들을 잘 챙기는 편이다. 그러나 그이 리더십도 한계가 있는 법. 전진호의 상황은 선장의 리더십이 더 이상 통할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는다.
그리고 유일한 홍일점인 홍매...조선족 밀항자인 그녀는 이 영화에서 피해자이자 구원자로 등장한다. 마지막으로 지켜야 할 것으로 때로는 모든 이들의 갈등을 폭발시키는 매개체로... 그러나 이 모든 상황은 그녀가 의도한 것은 아니다. 그렇기에 그녀는 피해자이나 구원의 상징이 되어 버린다.
스토리로 보면... 생존의 극한에서 벌어지는 우연적인 사고가 인간의 바닥을 보여주는 이야기다. 어디까지가 끝인지 모를 인간의 밑바닥을 이 영화는 보여주고 있다. 자 보라... 여기 인간이 있다.
불편했던건 '전진호'가 이 사회와 너무 비슷하다는 점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들은 결국 마지막 밑바닥을 보여야 함에서 생존하지 못하고 자멸한다는 점에 있었다... 고 난 느낀다.
시대적 배경도 IMF로 난리가 났던 때이다. 자본의 이동은 유래없이 자유로워졌지만, 노동의 이동으 극도로 제한되는 신자유주의 시발점이 된 그 시절에 '전진호'를 살리기 위해 강선장은 모험을 한다. 이른바 밀항을 시도한 것.
불행한 사고로 밀항자들은 모두 죽고 홍매라는 조선족 여인 하나만 살아 남는다. 사건을 외부로 알리지 않으려면 홍매를 제거해야 하지만 홍매를 사랑(?)하는 동식은 홍매를 구하기 위해 강선장에게 대항한다....
이 영화를 도식적으로 풀자면 신자유주의로 돌입한 이 사회는 자본의 이윤을 위해서라는 사회가 어떻게되던 상관없이 되어 버린다. '전진호'의 쇠락과 몰락이 상징하는 바다. 그러나 사회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인간들은 어떻게든 그 사회를 구해내야 한다. 그것을 대변하는 사람이 강선장이다. 그러나 이미 관철되기 시작한 신자유주의적인 질서는 호락호락하지 않다. 정상적인 방법으로 어림도 없다. 위험하더라도 무언가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 그 방법이 밀항이다. 이 밀항은 자본의 요구를 위해 노동력을 준비해야 하는 요구와 그 노동력이 아무런 보호도 받지 못하고 소모품처럼 쓰여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그리고 가부장적인 지도력의 파괴가 준비된다. 특히 선원들 중의 막내는 이시대의 청년과 연결된다. 선원 중 막내인 동식은 '전진호'가 무너지는 것이 안타깝지만 '전진호'를 위해 사람을 희생시키는 것에 대해 반대한다. 홍매로 상징되는 인간에 대한 사랑은 강선장의 리더십을 해치고 결국 '전전호'를 살리는데 방해가 되므로 철처하게 응징된다. 이때 동식은 싸울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지금의 청년들이 사회에 복종하지만 결국 버려지는 것에 분노하듯이 그는 강선장을 따르지만 마직막을 함께 하지 못한다.
신자유주의 시대에 대한 거대한 비유... 그 비유에서 느껴지는 현실감에서 느껴지는 불쾌함.
이 영화가 무겁고 아프지만 사랑스럽게 다가오는 이유다. 아직도 우리는 자욱한 해무 속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모르고 있다. 그 막막함에도 조금이라도 생존하기 위해 벌이는 싸움은 우리를 더 피폐하게 만들고 있다. 그리고 세월호 참사라는 거대한 비극에도 불구하고 다 잊고 새롭게 경제를 살리자고 떠들어 대고 있다.
이런 영화가 '명량'에 밀려 고전하는 것이 아쉽지만... 결국 시간의 이 영화를 가치를 평가할 거라 믿는다.. 조조로 봤더니 하루가 좀 어둡게 느껴지는 단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