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
최인호 지음 / 여백(여백미디어)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오랜만에 현대 소설로 돌아온 최인호...
초반기에 현대 소설로 시작한 작가는 역사 소설을 우회해 다시 현대소설로 복귀했다고 서문에서 밝혔다. 더불어 병고 끝에 청탁으로 쓰는 소설이 아닌 자신이 쓰고 싶은 소설을 썼다고 한다. 그것도 짧은 시간안에.... 그는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었을까..
솔직하게 난 이 소설을 이해하지도 몰입하지도 못했다. 소설의 화자가 느끼는 일상의 이질감을 그저 단순하게 '소외된 현대인'이라 규정하기에도 애매하고 그 낯섬과 낯익음의 극단적 대비가 이끄는 소설의 형식은 반복적이면서 이질적이어서... 계속 같은 자리를 헤매고 있다는 느낌만 든다.
가장 익숙한 사람들마저 알 수 없는 타인처럼 느껴지는 그 순간 일상의 모든 일은 수상한 일이 된다. 아내도 자식도... 심지어 자신의 정체성마저도 그는 의심할 수 밖에 없다. 결정적으로 자신에 대한 확증이 필요한 화자는 자신의 정체성과 이질적으로 변한 현실을 이해하기 위해 길을 떠난다.
그 길에서 그가 발견한 겻은 몽환적 환상이다. 더불어 모든 차이가 지워진 사람들의 모습이다. 더불어 자신과 동일한 또 다른 자신의 발견이다. 그 분신과 자신의 합체야 말로 자신의 정체성을 찾을수 있는 유일한 방법일테다. 그런데.... 이런 이야기 들이 난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이다. 분열된 자아가 가지는 그 의미의 복수성을 떠나 왜 작가는 이러한 분열과 통합을 이야기 해야 했을까?
그 분열과 통합에 대한 나의 이해는 더 이상 진전되지 못하고 마치 말장난처럼 보이기 시작하면서 이야기 속에서 난 길을 잃어 버렸다.
낯익은 타인들... 모두가 똑 같이 보이는 사람들... 거기서 자신의 정체성을 잃어버린 사람의 원환운동을 자신으로 복귀하기 위한 이성의 회귀로 이해해야 하는 것인지... 그럼 작가는 어디서 출발해서 어디로 회귀하고 있는 것인지...
잃어버린 길에서 헤매다 보니 글도 횡설수설이다.
어쩌면 난 작가에게 요즘의 나의 횡설수설에 대한 책임을 떠넘기는 건지도... 어지러운 날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