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림픽의 몸값 1 ㅣ 오늘의 일본문학 8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은행나무 / 201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그러니까.... 난 이 책을 지레짐작했다. 워낙 유머스러운 소설을 맛깔나게 써대는 작가인지라 이 소설 역시 그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리라 생각했다. 그리고 '남쪽으로 튀어'의 매력적인 아니키스트가 등장하지 않을까 살짝 기대까지 했다. 올림픽 개최에 대한 으름짱으로 큰 돈을 벌어 멋지게 외국으로 도망가는 그런 소설이 아닐까....하는
그러니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했다. 그런데....이건 그렇게 쉽게 생각할 문제가 아니었다. 물론 오쿠다 히데오식의 시니컬함은 없어지지 않았고 속도감은 여전했지만... 그 속에 담긴 내용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아니 오히려 이런 식의 전개로 한 사회를 입체적으로 분석해 볼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까지 들었다. 뻔하게 보이는 패배임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긴장감을 놓지 못하게 하는 흡입력도 만족스러웠다.
소설의 무대는 도쿄 올림픽... 1964년이 배경이다. 아시아에서 최초로 열리는 올림픽을 준비하느라 정신없는 일본의 일상이 그대로 생생하게 묘사되고 있다. 사실 배경에 확실하게 공감이 가는 부분은 이미 서울 올림픽을 치루느라 우리도 역시 한번은 겪어본 일이기 때문이다. 서울 올림픽을 우리나라가 새롭게 도약하는 하나의 상징으로 삼았다면, 당시의 도쿄 올림픽도 전후 일본의 새로운 부흥을 확인하는 하나의 상징이었다. 이러한 올림픽을 인질로 삼아 도전하는 테러리스트가 있다.
테러리스트라고 하지만 세기가 바뀐 지금의 테러리스트와는 틀리다. 그리고 전문적인 군사훈련을 받거나 체제에 대한 무조건적 반항을 하는 사람도 아니다. 그는 일본 동복부지역의 가난한 농촌마을에서 머리하나 뛰어난 이유로 도쿄대 경제학부에 재직하는 대학원생일 뿐이다. 그런 그에게 커다란 변화가 일어난다. 바로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형이 사망한 것. 원인은 심장마비다. 그 형의 궤적을 따라 올림픽 건설을 위한 현장에서 직접 노동을 수행하면서 그의 인식에 변화가 시작된다.
전후 한국전쟁을 통해 경제부흥의 기틀을 닦아나가던 일본은 60년데 들어서 본격적인 성장을 일구어 낸다. 전쟁이 끝난 후 19년만에 다시 경제대국으로 일어서려는 기틀을 다진 것이다. 물론 전쟁에 대한 사과도 배상도 없다. 전 국민을 죽음으로 몰아낸 천황도 건재하다. 수도인 도쿄는 하루가 다르게 변해가고 발전해 가고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발전을 밑에서 부터 받치고 있는 사람들의 일상은 점점 비참하다. 생산과 발전에 따라 빈부의 격차는 다시 벌어지기 시작하고 이러한 불편함을 가리는 거대한 상징이 올림픽이었다. 그리고 올림픽은 모든 모순과 갈등을 지우는 마법의 지팡이가 되어버린 것이다.
비참한 바닥인생들을 겪으면서 사회에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했지만 순진한 청년이 점점 체제내에서 양같이 순한 사람들을 대변하는 지도자가 된다. 위임받지도 않고 협력하지도 않지만 더 이상 올림픽으로 상징되는 모순된 지배구도를 파괴하기 위한 활동을 시작하는 것이다. 거기에는 고된 노동으로 죽어간 형과 같이 노동을 하던 동료들... 에 대한 인간적인 동정과 올림픽을 위해서라면 바닥의 인생들이 죽던 다치던 신경쓰지 않는 지배층에 대한 분노가 더해진다.
한계가 뚜렷함에도 끝까지 자신의 길을 걸어간 한 사람의 이야기 속에서 민족과 계급, 이데올로기의 문제가 중첩되어 진행된다. 그때의 일본이 곧 지금의 일본으로 연결된다. 작가가 보기에 일본은 어떤 사회인 것일까? 그리고그가 바라보는 일본 학생운동과 좌익은 어떠한 사람들인가? 사실 작가의 기준을 알지 못하겠다. 냉소적으로 바라보면서도 따뜻함을 잃지 않는 그들의 행위가 작가가 좌익에게 갖는 애증이 아닐까?
일본 이야기다 보니 재일 조선인에 대한 이야기가 간간이 나온다. 놀라운 것은 재일 조선인에 대한 따뜻한 시선이 이 소설에 많이 보인다는 것이고, 이것 역시 좌파의 시각에 경도된 작가의 일단을 보여주는 것은 아닌가 한다. 소설 속에서도 재일 조선인에 대한 평가가 나올때나마 주의 깊게 바라보는 내 자신도 결국 민족적 한계를 벗어나진 못하나 보다.
평창 올림픽 유치가 국민적 이슈가 되고 있다. 지배층이나 언론이 표를 의식해서 국가적 행사로 만들려고 노력하지만... 이제 21세기다. 쉽게 먹혀들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그 영향력은 아직 건재하다. 소설의 주인공의 고향은 이번 원전으로 유명해진 일본 동북지역이다. 가난한 지역이다 보니 원전이 들어선 모양이다. 그리고 우리나도 역시 가난해서 힘든 지역에 원전이 들어서려고 하고 있다. 무엇보다 비핵 평화의 문제에는 계급적 문제가 스며있다. 그리고 지배자들은 자그만 부를 통해 빈자들에게 가장 위험한 물건을 던지려 한다. 그리고 그 전후관계를 모르는 사람은 그저 고마워할 뿐이고 그것만이 살 길이라고 믿어버린다.
그것이 일본사회와 동일하게 움직이는 우리의 모습이고... 그렇게 무기력하게 끌려가면서도 저항한번 제대로 못하는 양들의 사회가 우리 사회임을 이 소설은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