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의 얼굴 - 총을 들지 않을 자유와 양심의 명령
김두식 지음 / 교양인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커다란 주제는 평화이고 주요한 문제의식은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에 대한 인권침해이다.
정전상태의 한반도와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는 역사적으로 계속 충돌될 수 밖에 없고, 특정종교단체에 국한된 문제로 축소되면서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은 일종의 인권의 사각지대에 놓여 고통을 받을 수 밖에 없었던 과거를 정리하고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들의 대체복무에 대한 논의들을 이끌어 내고 있다. 저자 스스로가 기독교인이기에 기독교적 신앙에 따른 병역거부에 대한 논의들이 대부분을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느끼는 가장 커다란 울림은 누구나 이야기하는 '평화'가 사실상 실천으로 옮겨지는 순간 얼마나 사람을 위협하는 위험한 사상으로 둔갑해 버리는가에 대한 역사적 사실이었다.  

아마 주변에 전쟁을 선호하거나 폭력을 선호하는 사람들을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그러나 폭력과 전쟁에 대해 무조건 반대하는 사람을 찾아보기도 힘들 것이다. 그 미묘한 차이는 전적으로 폭력과 전쟁을 거부하는 사람들에게 항상 위협적인 요인이었다. 자신과 타자를 나누는 근대적 세계관으로 볼 때 타자의 위협은 극대화되기 마련이고 이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폭력과 전쟁은 용인해야 한다는 논의들이 대세를 이루기 때문이다. 여기에 절대적 평화를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몽상가들이거나 심지어 배반자로 낙인 찍히게 되고 그들이 사회의 동질화를 거부하는 순간 바로 경계로 밀려나 버리게 된다.  

이미 서양의 역사는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에 대한 대체복무나 병역면제에 대한 조치들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한반도에서는 남이고 북이고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에 대해 매우 강경한 조치들을 취하고 있다. (이런거 보면 한민족이 맞나보다) 군사적 대치와 전쟁의 기억으로 인한 정신적 외상과 군사독재정권의 배경까지 같다보니 병역거부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가지는 모양이다. 남쪽은 종교적 덧칠까지 칠해져 있다. 주류 기독교 자체가 권력과 야합하면서 군대에 목사까지 파견하는 실정이고 적들의 섬멸을 기도하는 종자들이라 그들이 말하는 그리스도의 평화는 불신자를 박멸하는 폭력을 허용하고도 남는다. 오히려 교리가 다른 여호와의 증인들이 신앙을 위해 병역거부를 할 때 더욱 혹독하게 몰아붙이는 경향까지 있고,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대체복무까지 특정종파 보살피기로 파악하는 편협한 이기주의를 보이고 있다.  

기독교인으로서의 저자는 기독교 내부의 평화전통을 되살리고, 기독교야 말로 평화의 종교임을 그리고 평화를 위해 양심적 병역거부를 선언한 사람들을 보호해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사실 양심적 병역거부가 문제가 되는 것은 시민혁명의 발발과 관련이 있다. 국가가 일정 나이의 국민을 징집하여 전쟁을 벌이는 근대에서야 양심적 병역 거부의 문제는 전면화 된다. 누구든지 국가의 부름을 받으면 나가야 하는 획일화된 행동패턴은 그 이외의 사고와 행동을 용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사람을 죽일 수 없다는 신념과 평화를 원하는 마음에 대한 확고한 견해는 바로 탄압의 빌미가 될 수 밖에 없었다. 적들이 너의 가족을 죽이고 유린하는데 너는 아무 저항도 하지 않을 것인가..... 이것이 국가의 주문이었다.   

'정당한 전쟁'이론도 있다. 그러나 사실상 대량학살이 발생되는 현대의 기계전에서 과연 민간인이 희생을 당하지 않는 정당한 전쟁이라는 것이 존재할 수 있는지 의아스럽다. 정당한 전쟁은 용인하는 순간 정당한 전쟁에 대한 논의를 진행해야 할 것이고 정당한 전쟁의 요소들을 아무리 치밀하게 구성한다해도 전쟁으로 무고한 사람이 죽는다고 한다면 결국 정당성을 인정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정당한 전쟁은 내부 모순으로 무너지고 만다.
어쩌자는 말일까.... 전쟁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병역을 이행하면 된다. 다만, 자신의 양심상 병역을 이행하지 못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그 사람의 견해와 양심을 존중하여 대체 복무의 길을 열어 주자는 이야기다. 그리고 그에 따른 일체의 차별을 없애자는 것이다.  

수긍할 수도 있고 거부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평화에 확고한 인식을 가진 사람들에게 대체목무의 길을 열어 주는 것이 합리적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연애인이 군대가는 것을 '노블리스 오블리제'라고 찬양하는 덜떨어진 국회위원이 존재하는 이 땅에서 군대는 영원한 정신적 외상일 수 밖에 없고 대체복무에 대한 논의는 병역회피의 좋은 구실로 여겨질 수 밖에 없는 구조인 듯하다. 

서양에서 먼저 진행되어 건너온 논의라 서양의 사례가 중심이 될 수 밖에 없고, 기독교 문명이 강하다보니 양심과 종교의 자유에 따른 병역거부가 중심이 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지만, 종교적 이유말고 이데올로기와 사상에 따른 병역거부의 사례가 좀 더 많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그건 그냥 욕심이고 투정일 뿐이라는 것도 알고 있다.) 

종교와 군대와 양심과 평화와 무엇보다 인간의 실천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