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편해도 괜찮아 - 영화보다 재미있는 인권 이야기
김두식 지음 / 창비 / 2010년 7월
평점 :
이성과 논리도 중요하다. 하지만 감수성 역시 중요하긴 마찬가지다.
김두식교수의 목소리는 나직하고 설명은 조근조근하다. 그러나 그가 낮은 목소리로 말하는 내용은 힘차다. 너무 힘차기 때문에 가끔은 숨이 가빠지곤 한다. 항상 자신을 낮추면서도 글을 읽는 사람들에게 힘있게 설득하는 모습은 김교수가 가지는 힘이다.
제목부터 도발적이다. 불편해도 괜찮다니... 조금만 불편해도 사람들은 짜증내고 화내고 당장 무언가를 하지 않으면 못견디는 이 시대에 불편해도 괜찮다니... 편의성이 가장 우선시 되는 시절에 불편을 강조할 수 밖에 없는 사연은 간단하다. 모두 편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은 허상이고 정말 편한 세상을 위해서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것이다.
인권을 이야기 하는 책이다. 더불어 영화를 이야기하는 책이다. 다행스럽게 이러저러한 영화를 많이 본 덕분에 책의 맥락을 따라가기는 어렵지 않았다. 다만, 내가 본 영화와 이 책에서 설명하는 영화는 정말 같은 영화일 수 있는가 할 정도의 느낌이 틀릴 뿐이다. 그 차이가 바로 감수성의 차이고 감수성의 차이를 가로지르고 있었던 것은 '인권'이었던 것이다.
이 책은 다수자에게 소수자를 이해시키기 위한 책이다. 주류이고 다수자인 나는 이 책의 고민을 공유하지 않을 수 없다. 아니 내가 가지는 시각을 전면적으로 교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소수자와 다수자는 숫자를 가지고 나누는 것은 아니다. 숫자가 크다해도 이 사회의 약자들이라면 소수자일 수 밖에 없다. 청소년, 성소수자, 여성, 장애인, 노동자,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의 문제를 다루고, 더불어 사회를 어둡게 하는 사전검열과 인종차별, 제노사이드 문제를 다루고 있다.
주변에서 많이 보지 않기에 보이지 않는 사람 취급을 받는 이 소수자들이 어떠한 삶을 살고 있는지 어떤 처지에 있는지 결국 그들과 우리는 다르지 않다는 이야기를 많은 영화를 매개로 설명하고 있다. 영화만으로도 인권을 다시 생각할 수 있는 영상교재 커리큘럼을 만들 수 있을 정도다.
반드시 명심해야 할 경구들도 많다. 이를테면...
|
|
|
|
모든 사회문제는 이런 양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쪽 이야기만 듣고 그쪽 논리를 따라가면 오히려 속이 편하지만, 양쪽 이야기를 듣고 나면 머리가 아픕니다. 그런 헷갈리는 상황에서 기억할 만한 원칙이 바로 '의심스러울 때는 약자의 이익으로' 해석하라는 것입니다. |
|
|
|
|
똥파리에 나오는 대사도 인상적이다
|
|
|
|
아, 이나라, 씨발. 애비들은 아주 좆같애. 이게 븅신들 같은데 지 가족들한테는 아주 김일성같이 굴라 그래. 이 씨발놈들이. 니가 김일성이야. 이 씨발새끼야. 김일성이야. 이씨발놈아 |
|
|
|
|
가부장제와 폭력의 상관관계를 이렇게 노골적으로 말할 수 있을까?
김두식 교수는 인권을 아주 쉽게 정리한다면 결국 '남에게 대접받고자 하는 대로 남을 대접하라'는 황금율로 요약할 수 있다고 한다. 역지사지라고 남의 처지가 되어보지 않는다면, 그 사람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하기 힘들 것이다. 위치를 바꿔보는 것. 중요한 일이다.
사람들이 위치의 전환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오히려 생활하면서 끊임없이 위치의 전환을 시도할 것이다. 다만 그 위치를 위로 향하고 있다는 사실이 문제라면 문제일까? 낮은 곳에 위치한 사람들을 이해하기 보다는 패배자로 규정하고 연대하기 보다는 멀리해야 할 대상으로 여긴다. 자신은 그렇게 살지 않고 끊임없이 위로 가려고만 한다. 자신의 미래상에는 아래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설사 아래를 생각해도 그건 어느 정도 자신의 위치를 확보한 후에야 가능하다. 사람들도 낮은 위치에서 부르짖는 외침은 불평, 불만의 소리라고 치부하고 어느정도 기득권자가 주장하면 개혁적이라 평가한다. 웃기는 일이지만 현실이다.
김두식교수자체도 기득권자가 아니라 할 수 없다. 그는 이 땅에서 최고로 여기는 대학을 졸업하고 고시합격에 지금은 대학교수다. 현판으로만 따지면 어디하나 부족함이 없는 사람이다. 그런 사람이 말하는 인권의 가치를 보면 사람들이 고개를 끄덕일만 하다. 그러나 이 사람의 글 속에는 그런 오만함이 없다. 계몽적이지 않고 그저 현실의 부당함을 잔잔하게 끄집어 낸다. 그리고 자신의 고민도 그대로 투영시켜 낸다. 그래서 설득력이 더 있는지 모르겠다.
이 책의 저자는 김두식이나 기획은 국가인권위원회다. 인권을 생각한다면, 그리고 인권이 무엇을 뜻하는 것인지 생각해 본다면 결국 사람이란 어떤 존재인지를 생각해 봐야 한다. 그리고 사람과 사람의 관계란 어떠해야 할 지를 생각해 봐야 한다. 그런 관계에 대한 질문을 영화를 통해 풀고 있는 이 책은 어떤 인권 교과서 보다 구체적이고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그건 아마 김두식이란 사람이 품고 있는 진정성 때문이 아닌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