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처럼
가네시로 카즈키 지음, 김난주 옮김 / 북폴리오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몇몇 일본 작가들의 소설은 내용을 떠나 무조건 집어들게 만든다.  
일단 미미여사와 게이고 그리고 오쿠다 히데오.. 히데오의 <남쪽으로 튀어>는 제일 맘에
드는 소설 중 하나이다. 미미여사나 게이고는 작품이 너무 많아 뭐라고 평하기도 힘들다
더불어서 이 책의 저자인 가네시로 가즈키... 유쾌한 듯 하면서 그 속에 애잔한 슬픔을
품고 있는 그의 소설은 따뜻하면서도 희망차다.  

일본에서 얼마나 대중문화가 사람들을 사로 잡는지는 몰라도 우리 사회보다 좀더 대중문화
의 위력을 실감한 사회임에는 틀림없을 것 같다. 서구 좌파가 정치, 경제 분석에서 문화로
자신의 이론적 분석틀을 확장한 이후 그리고 포스크모더니즘이 이 땅에서 극성을 부린 이 후
문화에 대한 많은 관심들이 확장되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영화가 있다.
<시네마 천국>을 보고 나서 느낀 따뜻하면서 왠지 쓸쓸한 느낌의 소설들이 연작으로 이어져
있는 소설들이다. 그리고 소설의 중심에는 <로마의 휴일>과 <정무문>이 있었다.  

일본에서 재일한국인이란 위치는 어떠할까? 솔직히 모르겠다. 다만 서경식 선생의 글을 접하며
그들이 가진 존재의 정체성의 위기에 대해서는 순전히 감으로만 느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위치에서 오는 불안정성은 현재에 매몰되어 있는 나의 안이한 사고를
흔들어 놓는다. 생활 뿐 아니라 남북으로 분단된 정치 상황에서 오는 긴장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
이전에 난 <금단의 땅>이란 소설을 읽고 깜짝 놀란적이 있었다. 분단과 한반도의 이데올로기적
대립을 그렇게 현실감 있게 형상화한 소설을 처음 접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그런지 재일한국인이란 항상 무언가 어둡고, 불안정한 사람이고 그것이 작품으로 반영
된다는 편견을 가지게 되었다.  

그런 편견을 깨준 사람이 가네시로 가스키다. 그의 소설은 유쾌했고, 주변에 머물러 있어도
중앙에 대한 우월감을 인정하지 않는다. 다만 자신의 삶을 위해 유쾌하고 치열하게 횡단해
버린다. 그것이 소설이고 허구일지라도 같이 횡단하는 독자들은 유괘하고 즐겁다.
그러면서도 그들이 횡단이 얼마나 힘든일인지 마음 속 깊이 깨닫게 된다.
원래부터 출발선이 틀린 그들이 그 출발선에 연연하지 하고 세상 속으로 뚜벅 뚜벅 걸어가는
모습은 잔잔한 감동을 준다.  

이 책은 퍼즐같은 책이다. <로마의 휴일>이 상여되는 시민회관의 공간속에 들어오는
군상들이 각기 다른 이야기들을 펼쳐 놓고 있다. 그러나 주제는 동일하다. 근 군상들은
자신의 과거의 아픔을 정화하고 그리고 그 아픈 기억 속에 잔잔한 감동을 주었던 영화를
보러온다. 거기서 대중문화와 추억과 기억과 치유의 순간이 전개된다.
추억과 기억으로서의 영화.....
그 영화속에서의 과거와 미래....
소설은 대중영화처럼 해피엔딩으로 끝난다. 미래 묵시론적인 만화가 아니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