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와 독점재벌간의 전쟁(?)이 언론소비자주권으로 다시 한번 불 붙을 예정이다. 언소주활동에 적극적인 지지를 보낸다. 자동차 보험 갱신 때 터져줘서 한 힘 보태게 생겼다...ㅎㅎ

조중동에 광고를 하는 기업에 대한 불매운동을 진행하고 있는 언론소비자주권국민캠페인(언소주)이 광동제약에 이어 삼성그룹 5개사를 그 대상으로 겨냥했다.

언소주 김성균 대표는 11일 카페에 공지를 통해 "불매운동의 2호 기업으로 삼성그룹 5개 계열사를 선정했다"며 "우리는 오늘부터 해당 기업에 대한 온라인 서명운동을 시작으로 불매운동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삼성은 너무나 거대하고 버거운 상대"라면서도 "거대 삼성이 골리앗이고 우리 국민 다수가 다윗이 되는 싸움"이라고 전했다 

언소주가 지목한 5개 계열사는 삼성전자, 삼성화재, 삼성증권, 삼성생명, 에버랜드다.

이에 대해 삼성은 "삼성은 소비자에게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짧은 공식 논평만 내놓은 상태다.

한편, 검찰은 언소주의 활동을 예의 주시, 기업에 피해를 입힌다면 법률적인 제재를 검토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언론소비자 주권 국민캠페인’(언소주)이 조중동 광고 집중 기업에 대한 불매운동에 돌입하자마자 이들 신문과 광고주들로부터 반발이 분출하고 있다. 반면 언론의 책임성을 요구하는 불매운동은 민주사회에서 소비자가 자신의 선택권을 표현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인정받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 불매운동을 보는 시각

조중동은 10일치 신문에서 언소주 불매운동을 겨냥한 비판들을 쏟아냈다. 조선은 “‘광고주 마녀사냥’ 또 시작…자유시장경제 근본 흔드는 폭거”라고 성토했고, 동아와 중앙은 각각 사설을 통해 “광고주들이 협박에 굴하면 시장도 기업도 죽는다” “광고 핑계 불매운동은 조폭적 행태”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기창 고려대 교수는 “표현의 자유를 누리는 대신 사회적 책임을 요구받는 언론을 향해 소비자들이 불매운동 외에 어떤 방법으로 책임성을 요구할 수 있느냐”며 “언론소비자운동은 소비자가 일상생활에서 민주적 가치를 표현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기업들이 차용하는 ‘지속가능한 경영 및 윤리경영’ 개념도 소비자들이 정치적·윤리적 이유로 자신들의 소비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파생됐다는 설명이다.

언소주 운동은 지난해 촛불시위 과정에서 ‘보수언론 왜곡 보도’의 피해자가 ‘다른 사람이 아닌 자신’이란 사실을 경험한 누리꾼들이 폭발적으로 참여해 태동시킨 한국 사회 최초의 언론소비자운동이다. 촛불시위 당시 5만7천여명에 달했던 언소주 회원은 올해 초 법원의 1심 유죄판결 후 5만2천명 선으로 줄었다가 최근 불매운동에 돌입하면서 5만3천명을 넘으며 다시 증가하고 있다.

■ 기업 반발

하지만 기업 쪽 반발도 만만치 않다. 한국광고주협회는 9일 성명을 내어 “광고 불매운동은 기업의 경영활동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이자 기업 존립에 대한 위협”이라며 “기업뿐 아니라 나아가 국내의 모든 기업과 국가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광고 관련 불매운동은 조속히 중단돼야 한다”고 밝혔다. 광동제약 관계자도 “기업은 광고 효과를 고려해 마케팅 전략에 따라 광고를 집행한다”며 “조중동 광고보다 텔레비전과 무가지 광고가 더 많고 조중동 광고 기업 중에서 대기업도 많은데, 우리 같은 중소기업을 선택한 이유는 잘 이해가 안 간다”고 말했다.

■ 위법 논란
검찰의 수사 검토로 이번 불매운동을 둘러싼 법리 논란도 불가피해 보인다.

광고불매 사건 1심 재판부는 판결문을 통해 “광고주들에게 조선·중앙·동아일보에 광고를 게재하지 말도록 하기 위해 의사를 전달하고 홍보하며 광고주 리스트를 게재하는 등 각종 방법에 의한 호소로 설득 활동을 벌이는 것은 허용된다”고 밝히면서도 “광고 게재 여부의 결정을 상대방(광고주)의 자유로운 판단에 맡기는 한”이라는 단서를 달았다.

이에 대해 서울중앙지법의 한 부장판사는 “업체가 시민단체의 요구에 겁을 먹고 광고 방침을 변경했다면 ‘위력’으로 볼 여지가 있고, 따라서 법리상 업무방해죄 적용이 불가능해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기창 교수는 “현대 사회에서 기업은 소비자들의 윤리적·정치적 표현까지도 받아들여야 하는 상황”이라며 “기업은 경영 여건 등을 고려해 그런 요구를 받아들일지 여부를 자발적으로 판단하면 된다”고 밝혔다.

■ “운동 방식의 변화 꾀할 것”

김성균 언소주 대표는 “우리가 조중동을 대상으로 불매운동을 벌이는 것은 그들의 논조와 관점을 인정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그들의 왜곡보도 때문”이라며 “언론소비자운동은 조중동의 왜곡 보도에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마지막 방법”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논란을 빚고 있는, 조중동 집중 광고 기업에 대한 불매운동에 대해선 “언소주가 불매운동 1호 기업으로 선정한 광동제약 건도 소비자와 기업이 서로의 의사를 확인하며 합의에 이른 전례 없는 사건”이라면서도 “불매운동의 목적이 특정 언론에 광고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 돼서는 안 된다는 회원들의 의견이 있어 앞으로는 조중동 광고 중단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라고 밝혔다. 불매운동의 철회 조건으로 조중동과 동등한 광고를 <한겨레>와 <경향신문>에 내도록 요구하는 것은 운동 취지에 오해를 부를 소지가 있다는 이유다. 김 대표는 “광동제약과의 합의로 빠른 성과를 냈다는 격려 전화와 함께 ‘불매운동이 특정 언론에 광고 내주기 위한 운동이었냐’는 항의 전화도 적지 않게 받았다”고 전했다.

송경재 경희대 교수는 “소비·정보 사회가 진행될수록 독자와 시청자는 신문과 방송이 제공하는 정보의 일방적 수용자에서 주체적 의식을 가진 소비자로 바뀌게 된다”며 “언소주 운동을 놓고 이는 반발은 언론권력을 결국 시민이 감시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한국 사회가 받아들이지 못하면서 발생하는 논란”이라고 지적했다.

이문영 석진환 기자 moon0@hani.co.kr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9-06-12 09:4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