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단상 동문선 현대신서 178
롤랑 바르트 지음, 김희영 옮김 / 동문선 / 2004년 11월
구판절판


부재에는 항상 그 사람의 부재만이 존재한다. 떠나는 것은 그 사람이며, 남아있는 것은 나 자신이다.-30쪽

그러므로 부재를 말한다는 것은 곧 주체의 자리와 타자의 자리가 교환될수 없음을 단번에 상정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사랑하는 것만큼 사랑받지 못한다는 것을."
그 사람의 부재를 말하는 남자에게는 여두 여성적인 것이 있음을 표명하는 결과가 된다. 기다리고 있고, 또 그로 인해 괴로워하는 남자는 놀랍게도 여성화되어 있다-31쪽

이 잘 견디어낸 부재, 그것은 망각 외에는 다른 아무것도 아니다. 나는 간헐적으로 불충실한 것이다. 그것은 내가 살아남을 수 있는 조건이기도 하다. 망각하지 않는다면 죽을 것이기에.
하나의 (고전적인) 단어가 육체로부터 우러나와 부재의 감동을 말해준다. 즉 갈망하다란 단어가. 그런데 그것은 '육체의 현존을 갈망하는' 것을 뜻한다. -32쪽

부재는 지속되고, 나는 그것을 견디어내야만 한다. 그래서 나는 부재를 조작하려 한다..... 부재는 능동적인 실천, '분망함'(다른 일은 아무것도 못하게 하는)이 된다. -34쪽

부재는 결핍의 문형이다. 나는 동시에 욕망하며 욕구한다. 그런데 욕망이 욕구에 짓눌린다. 바로 거기서 사랑의 감정의 집요한 사실이 있다. -35쪽

그 사람의 부재는 내 머리를 물속에 붙들고 있다. 점차 나는 숨이 막혀가고, 공기는 희박해진다. 이 숨막힘에 의해 나는 내 '진실'을 재구성하고, 사랑의 다루기 힘든 것을 준비한다. -36~37쪽

사랑의 고뇌도 이와 마찬가지인 것처럼 보인다. 그것은 사랑의 출발점, 내가 매혹되었던 그 순간부터 이미 치러졌던 한 장례에 대한 공포이다. 그러므로 누군가가 내게 이렇게 말해 줄 수 있어야 한다. "더 이상 괴로워하지 마세요. 당신은 이미 그를 (그녀을)잃어버렸는걸요"라고-54쪽

어느 날인가 그 사람을 정말로 단념해야 하는 날이 오면, 그때 나를 사로잡는 격렬한 장례는 바로 상상계의 장례이다. 그것은 하나의 소중한 구조였으며, 나는 그이/그녀를 잃어버려서 우는 것이 아니라 사랑을 잃어버렸기 때문에 우는 것이다. -56쪽

독창성의 진짜 처소는 그 사람도 나 자신도 아닌, 바로 우리 관계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러므로 쟁취해야 하는 것은 독창적인 관계이다. 대부분의 상처는 상투적인 것에서 온다. -62쪽

내가 그를 진정으로 사랑한다면 그가 잘되기를 바랄 의무가 있고, 그러나 그렇게 되면 나 자신은 상처받을 수 밖에 없고. 함정이다. 나는 성인이 되거나 괴물이 되도록 선고를 받았다. 하지만 성인이 될 수 없고, 괴물이 되기는 원치 않는다. 그리하여 나는 얼버무린다. 나는 내 정염을 조금만 보여준다. -71쪽

최고선을 믿는 것은 최고악을 믿는 것만큼이나 어리석은 짓이다.

충족된 연인은 글을 쓸 필요도, 전달하거나 재생할 필요도 없다. -89쪽

실상 그 외침은 여전히 사랑의 외침이다. "나는 나를 이해하고 싶고, 나를 이해시키고 싶고, 포옹받게 하고 싶고, 누군가가 와서 나를 데려가기를 바란다." 바로 이것이 당신의 외침이 의미하는 것이다. -95쪽

나는 양자택일의 두 가지 사이로 끼여들려 한다네. 다시말해 "난 아무 희망도 없다네. 그렇지만..." 또는 "나는 선택하지 않는 것을 완강하게 선택한다네. 난 표류를 선택한다네. 그래서 계속한다네."-96쪽

나는 내게 상처를 줄 수 있는 이미지들(질투, 버려짐, 수치심)을 연신 떠올리면서 스스로를 자해하려 하며, 천국으로부터 추방하려 한다. -121쪽

내가 놓치고 싶어하지 않는 그 전화가 또 다른 예속의 계기를 가져올 것이기에....나는 예속되는데 얼이 빠져 있으며, 하지만 더 묘한 점은 이런 얼빠진 자신에 대해 부끄럽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사랑의 영역에서의 하찮은 것은 "나약함"도 "우스꽝스런 것"도 아닌, 하나의 강력한 기호이다. -124~125쪽

사랑/정념은 힘이다 ("이 격렬한, 이 끈질긴, 제어할 수 없는 정념")-12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