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 왜 민주주의에서 마음이 중요한가
파커 J. 파머 지음, 김찬호 옮김 / 글항아리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좀 특이한(?) 책을 만나는 경우가 있다. 뭐라고 할까.. 너무 뻔한 내용을 굉장히 심오하게 서술한 것 같은 느낌이 들게 하거나 뻔한 내용임에도 책을 읽는 가독성이 너무 떨어지는 경험을 하게 하는 책이 있는데... 이 책은 간만에 나를 헤매게 만든 책이다.

책 모임에 선정된 책이 아니었으면 아마 읽다가 포기 하지 않았을까? 오로지 모임에 나가기 위해서 완독을 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읽었으니까... 그렇다고 이 책의 내용이 허술하거나 깊이가 없다고 보지는 않는다. 오히려 민주주의에 대해 깊이 고민하거나 민주적 일상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효용이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럼에도 나는 왜 이 책을 접근하는게 힘들었을까?

아마도 그건 너무 미국적인 문화를 토대로 민주주의를 설명하기 때문일테다. 미국식 시민운동과 미국식 윤리주의, 미국식 민주주의 운영에 대한 시각이 낯설지 않으면서도 뭔가 가슴에 와 닿지 않는 부분이 있었던 듯하다. 더구나 미국식 기독교적 영성에 대한 저자의 체험과 그런 문화적 아우라는 개인적으로 나와 맞지 않는다고 해야 하나...

 

사실 이 책은 이전부터 구입해 놓고 읽어보려고 했었다. 그리고 선거시즌이 오면서 책모임 성원들이  선거를 어떻게 맞이하는 것이 좋을까 고민하면서 선택한 책이었다. 그리고 편잡자의 훌륭한 제목선정에 너무 쉽게 이 책을 선정했다.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이라니... 정치는 비통한 자들을 위무하는 행위하고 생각하고 그런 내용을 전달할 것이라고 그리고 우리는 이번 선거에서 비통한 자들을 위해 일하는 사람들을 뽑아야 하지 않을까하는 단순한 생각이 책을 읽게 된 이유였다. 어차피 또 다시 기득권의 선거판이 되리라 생각했기에... 위로가 필요하고 격려가 필요했던 모양이다.

 

책을 펼치고 읽어나갈 수록 고루한(?) 이야기가 나온다. 개인적으로 자신에 대해 돌아보면서 사회적으로 공동체를 형성하는 활동을 이루어나가고 차이에 대해 공포를 가지지 말고 상대방을 굴복시키기 보다 깊은 논의를 통해 이해하고 새로운 방안을 창조적으로 이뤄 나가야 하며, 타자에 대한 환대를 통하여 이 사회를 더 폭넓고 다양하게 발전해 나가야 하며, 조급해하지 말고 공동체에 헌신하는 방안을 찾아 나가야 하고, 이미 미국은 미국을 세운 선조들로부터 민주주의를 실현한 도구와 방안을 물려 받았으니 그것을 끝까지 밀고 나가야 한다는 내용인데... 구구절절 맞는 내용이 왜그리 읽기 힘들었을까

 

민주주의는 단순한 절차가 아니라 공동체 안에서 상대방에 대한 치열한 투쟁과 이해와 용기와 결단과 그 속에서 부서지는 마음의 애통함을 끌어안아야 한다는 말이 마치 도덕책 속의 바른 이야기처럼 들려서 그런 것일까?

 

이번 총선을 통해서 나는 눈물을 보았고, 기만을 보았으며 결단을 보았고, 회피를 보았으며, 절차도 지키지 못하는 불의를 보았고, 나서지도 못하는 사람들의 설움을 보았으며, 이유없는 적의를 보았고, 민주주의를 외피를 쓴 정파의 만행을 보았고, 민주주의를 가장한 숭배를 보았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이 혼합되어 아직도 멀고 먼 길을 가야 함을 느꼈고, 그 속에서 민주주의에서 마음이 차지하는 무게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난 왜 이 책의 내용을 그리 더디게 더디게.. 헤매고 있었던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