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와인에 대한 내 생각은 매우 부정적이었다. 학교에서 초청한 와인강사의 강의를 들었을 때도 와인 맛을 전혀 알지 못했는데, 그래서 난 테이블에 놓인 4병의 고급 와인을 거의 마시지 않고 놔뒀다 (지금 생각하니 집에 싸갈 걸 그랬다. 20만원짜리 와인도 있었는데). 하지만 그 이후 강의 내용이 떠올라 와인을 시켜 봤고, 참고 마시면 마실 수도 있다는 걸 알았다. 그리고 지금은, 와인 맛을 조금 안다. 지난 일요일엔 어머니와 둘이 와인을 마셔보기도 했다.
그렇긴 해도 밖에서 와인을 먹는 건 여전히 돈이 아깝다. 메뉴에 적힌 와인들 중 뭘 시켜야 할지는 여전히 난감하고, 가격을 보면 자꾸 소주 생각이 난다. 강사가 해준 말이다.
"잘 모를 때는 까소 주세요 라고 해라."
까소는 까--- 소---의 약자로, 그렇게 말하면 그래도 좀 아는구나 쳐준단다. 글쓰기 강의를 해준 강사분과 내 글을 실어줬던 크로스워드 편집자 이렇게 셋이서 와인바에 갔을 때, 난 뭐든지 하나 골라보라는 그분들의 권유에 까소를 시켰다. 돌아오는 미녀 종업원의 대답, "까소에도 종류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강사가 해준 말이 또 생각났다.
"요즘은 프랑스보다 미국이나 칠레 와인이 더 인기입니다. 소비자에게 더 친절하거든요."
일단 칠레 걸 시켰고, 가격은 2만9천원으로 정했다. 안주는 소세지를 시키고 싶었지만 다른 분이 "치즈 어때?"라고 해서 좋다고 했다. 한병은 금방 비워졌다. 두번째 와인을 시킬 때였다. 편집장의 말이다.
"아까 거보다 조금 더 비싼 걸로!"
3만2천원짜리가 나왔다. 난 머리속으로 지금까지 금액을 계산해 봤다.
'그래, 그냥 내가 내자. 두분 다 프리랜서인데 어쩌겠나.'
두번째로 시킨 와인이 맛있었던 건 나도 이제 와인맛을 안다는 증거일까. 그쯤해서 집에 가거나, 아니면 소주 집으로 장소를 옮겼으면 했지만, 그들은 세번째 와인을 시켰다.
"이거보다 좀 더 비싼 걸로..."
5만원이 넘는 와인이 나왔을 때, 난 마음을 정리했다. 그리고 글쓰기 강의를 해주신 분의 말을 떠올렸다.
"그 편집자, 프리랜서인데 일도 많고 돈도 많이 벌죠."
칠레가 고향인 아옌데 대통령과 네루다 얘기를 하면서, 그리고 한국 사회에서 진보란 무엇인가에 관한 얘기를 무지무지 유쾌하게 하면서 우리는 세병째의 와인을 비웠다. 나갈 때 난 편집자 뒤에 나갔고, 그분은 멋지게 카드를 냈다.
와인 맛을 알긴 했어도 12% 정도의 알콜 함유량으론 날 만족시킬 수 없었다. 집에 가서 혼자 소주에 2차를 할까 했지만 관뒀다. 잘한 것 같다. 내가 알콜 중독도 아닌데.^^ 한가지 더. 내가 편견이 있어서 그런지 몰라도, 남자 셋이 와인을 마시는 건 영 어색했다. 역시 와인은, 미녀와 마셔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