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영어책 할당량을 읽기 위해 나는 토요일 오후, 책을 들고 까페로 향했다. 집에서는 좀처럼 책을 읽을 수가 없다. 왜그럴까. 이 영어책과 번역본과 아이패드와 사라 아메드의 책을 모두 짊어지고 집을 나서노라니 가방이 넘나 무거워서, 나는 왜 이러는 것인가... 한탄하였지만, 그게 나였다. 발걸음도 무거웁게 나는 일단 교보문고로 향했다.
교보문고에 일단 들른 까닭은, '아니 에르노'의 《젊은 남자》를 읽기 위해서였다. 분량이 적다고들 하니 서서 다 읽고올 셈이었다. 사지 말고, 서점에서 살짝 읽고 오자! 도서관에 신청하면 신간이라 내게로 오기까지 시간이 걸릴 터였다. 그렇게 교보문고에 가서 책을 똭 찾았는데, 어쩌면 그렇지 않을까 했는데 역시나 그랬다. 그래, 비닐 포장이 되어 있었던 거다. 하하하하하.
그래, 이게 맞지, 이게 맞아. 나같은 사람이 있으니 이렇게 얇은 책은 비닐 포장을 하는게 맞지. 나는 책을 제자리에 내려놓고 도서관에 대출예약을 신청했다.
그리고 서점 옆의 까페로 향해 따뜻한 아메리카노를 주문해두고 책을 꺼냈다. 자, 읽자!
아.. 뽀대나는 책상.
여러분, 토요일 오후에 공부하는 중년 여성 어떤데? 매력 쩔어..
이번에 읽은 챕터2 에서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는 전립선암에 걸린 38세의 남자 이야기를 해줬다. 그는 자신이 사랑에 있어서는 운이 좋지 않은 사람이라고 말했다.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을 행복해주기 위해 정말 최선을 다했지만, 그런데 그들을 행복하게 해주지 못했고, 그래서 자신은 아마 앞으로도 그렇게 하지는 못할거라고, 자신은 그들을 행복하게 해주는 것보다 그들을 떠나는 쪽이 더 쉬웠노라고 말하는 거다. 이에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는 사랑을 다르게 정의하는 게 어떻겠냐고 그에게 묻는다. 사랑이 한 여자를 행복하게 만들어주는게 아니라면? 대신에 사랑을 거기 있어주는 것이라고 정의하면 어때?
I asked him a question that he had apparently never thought about: What if love wasn't making a woman happy? What if, instead, we defined love as being there? We know we really cna't make someone else happy all the time. What if your gauge was off, what if simply being there really made them happy, in the long run?" -p.31
오늘 아침 읽은 사라 아메드의 책에서도 행복이 분위기에 휩쓸리기도 한다는 것을 언급한다. 그러니까 기분 나쁜 사람과 함께 있으면 그 기분이 전염되고 기분 좋아하는 사람과 있으면 그 기분에 전염되는 것. 우리가 어딘가에 도착했을 때 그곳의 분위기가 즐거웠다면 나 역시 그곳에 도착해 즐거울 수 있다는 것을 얘기하는 거다.
나는 사람이 다른 사람을 행복하게 해주는 일은 어렵다고 생각한다. 행복하게 만들어줄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할 확률이 더 많다. 모두 알겠지만 행복이란 것은 내가 느끼는 것이기 때문이다. 밝은 아침의 새소리와 환한 빛 만으로도 행복을 느꼈는데, 그건 누가 내게 해준 것이 아니다, 내 스스로 한 것이다. 반면에 온갖 짜증을 품고 있는 사람을 만났을 때 내 감정은 그 짜증을 따라가게 된다. 이런 비극적인 분위기에 나를 두고 싶지 않은 마음이 당연히 생긴다. 그 사람을 피한다.
나는 존재의 행복을 알고, 그리고 믿는다. 그러니까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나에게 무엇을 해주어서가 아니라, 그저 그 자리에 존재하는 것 만으로도 나에게 행복을 준다. 그들이 내게 무엇을 해주어서가 아니라, 그 무엇도 '나를 위해' 하지 않고 그저 자신의 삶을 사는 것만으로도 나는 행복하고 나는 정말로 그것이면 충분하다. 내게 더 무엇을 해주지 않아도 된다. 오히려 내게 무엇을 해주려고 시도할 때 내가 뒤로 물러나기가 더 쉽다. 자신의 삶을 그저 충실히 살아가는 존재, 나는 그것만으로도 충분하고, 내가 그 존재를 알고 떠올릴 수 있다는 것이 내게는 행복이다. 그러므로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의 사랑은 그저 존재하는 것이라는 말은 나에게는 참이다.
그러자 몇해전 읽었던 소설, '요시다 슈이치'의《타이베이의 연인들》이 떠올랐다. 외국으로 일하러 가게 되어 남자친구와 점점 소홀해지게 되었고 이제 그것이 더는 사랑이 아닌 것 같았던 주인공은, 그런데 자신이 외국에서 오래 버틸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존재 그 자체 때문이었던게 아닐까, 생각하는 거다.
"앞으로는 좋은 친구로 지내자는 식으로 괜히 멋진 척하는 말은 하고 싶지 않아. 그래도 앞으로 서로 각자의 길을 열심히 걸어 가서 또 언젠가 어디에서 소중한 친구로 재회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해."
하루카는 시게유키의 말을 묵묵히 들었다. 지금까지는 "그런 생각은 말고 병을 고치는 데 전념하면 좋겠어"라고 응해왔는데 왜 그런지 더 이상 그런 말이 나오지 않았다. 시게유키의 진지한 이야기를 들으면서 하루카의 머릿속에는 내내 사실은 시게유키가 아니라 자신이 그에게 더 기댔던 게 틀림없다는 생각이 맴돌았다. 칠 년 동안 타이완에서 열심히 일할 수 있었던 것은 분명 시게유키라는 존재가 일본에 있었기 때문일 거라고. (p.491)
정말 그렇다. 존재가 주는 힘이라는 게 있다.
나는 세상 모든 사람들이 '나는 널 위해 해줄 수 있는게 없어' 라고 자신을 자꾸 밑바닥으로 끌어당기지 말고, '열심히 살아가자, 두 발을 땅에 단단히 딛고 있는 사람이 되자!'라고 생각하며 살아갔으면 좋겠다. 내가 단단하게 잘 사는 건, 결국 내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해줄 수 있는 최고의 사랑의 표현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나에게는 존재만으로 힘이 되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이 그냥 거기에 있어서, 자기 삶을 묵묵하게 잘 살아주어서 고마운 사람들이 있다. 그들이 나에게 무얼 더 하지 않아도, 나는 그저 그 존재들만으로 그들을 사랑한다.
영어책 할당량을 다 읽고 이제 집에 가려고 일어서다가, 내 테이블을 보고 빵터져버렸다. 나란 사람..
왜 잠깐 동안 책 읽었는데 테이블 위는 또 이렇게 가지런하질 못할까? 왜 한시간 있었어도 뒤메질 테이블이 되는거야? 왜 이모양인거야, 왜? 휴.. 어쩔 수 없어 나란 사람... 결혼하고 싶어진다. 스트레스 받지 않고 내 뒤 따라다니면서 정리정돈 해줄 사람과...
그러고보니 토요일밤에 유퀴즈 에서 김희애가 한 말이 생각났다. 이부자리 정리정돈을 제발 잘 하라는 잔소리를 자녀들에게 한다는 거였다. 자기는 공부하라는 잔소리는 안하는데 이부자리 정리하라는 잔소리는 한다고. 그 때 갑자기 반성이 뽝- 찾아왔다. 나는 이부자리를 정리 안하는 사람.. 그냥 몸 싹 빠져나오는 사람이거든.. 하아- 또 내가 이거 쓰는 순간 즐찾 빠져나가겠지. 으악 이부자리 정리도 안하다니!
사실 이부자리 정리에 대해서는 딱히 생각 없이 살았다. 이부자리 정리를 하지 않는 나 자신에 대해 불편함을 느껴본 적도 없었다. 김희애는 집에 돌아와 침실에 들어갔을 때 정리된 이부자리를 보면 선물을 받은 기분이지 않냐, 정리하는데 1분도 안걸린다, 라고 하는데 이 모든 말은 참이다. 그러나 나는 딱히 거기에 대해 생각이 없었던 거다. 티비에서는 김희애가 이부자리 정돈하는 자료화면이 나왔다. 여행갔을 때 다른 이들과 방을 함께 쓰고 아침에 깨서는 바로 이부자리를 정리하는 모습이었다.
그 모습을 보자 그동안의 내가 떠올랐다. 나는 한 번도 저렇게 일어나서 이부자리를 정리한 적이 없었는데. 그러니까 가족들, 친구들, 연인들. 누가 됐든 함께 잤을 때 일어나서 내 스스로 이부자리를 깔끔하게 정돈했던 적이 없었던 거다. 그걸 한 번도 인지하지 못하고 여태 살아왔는데, 그 자료화면을 보자 불현듯 나와 함께 잠을 자야 했던 그 수많은 사람들이 떠오르면서, 어쩌면 그들중에 누군가는 그런 나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았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 거다. 그들도 내게 말한 적 없지만, 자신들이 정리하거나(혹은 안하거나) '쟤는 왜 지가 자고나서 정리를 안하지?' 같은 생각을 했을 수도 있겠구나, 싶어지는 거다. 확실히 정리를 하지 않는 것보다 정리하는 쪽이 더 좋은 인상을 주지 않나. 오, 신이시여. 저는 어떤 삶을 살아온 겁니까?
오늘 아침에 밥을 먹으면서 엄마에게 이 얘기를 했다. 김희애 얘기 듣고 이부자리 정리 안하는 내 자신에 대해 반성을 많이 했다고. 그러자 엄마가 웃으시면서 "그래서 오늘은 정리했어?" 물으시길래 내가 답했다.
"아니. 반성만 했어, 반성만."
흠흠.
반성만 하고 몸만 쏙 빠져나왔다. 어쩌면 이것은 내가 첫째라서 그럴지도 모른다는 말도 안되는 변명도 생각해보았다. 그러니까, 누가 대신 해주는 거에 너무 익숙했던 거라고... 라기에 우리 엄마도 나랑 성격 똑같아서 이부자리 난리도 아니다. 내 침대에는 베개 옆에 읽을, 읽는 책이 몇 권 널브러져 있는데, 요즘 우리 엄마 침대의 베개 옆에는 영어 단어장이 널브러져 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걍 똑같은 사람들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자, 식물들의 성장을 지켜보자.
상추는 왜이렇게 힘이 없냐?
바질은 잘 자라고 있다.
이건 토마토인데 역시 잘 자라고 있다.
이건 치커리인데 자라는 속도가 무섭다. 다른 것들보다 늦게 심었는데 막 자라고 있음 ㅎㅎ
하아- 콩 어쩌냐 진짜. 너무 잘 자란다. 이거 지붕 뚫을 기세고, 여기 아마존인줄...
고추. 되게 단정하게 잘 자라고 있다.
이건 요즘 제일 예쁘고 귀여운 고수다. 다른 식물들과 차별하고 있다 내가. 특히 더 애정을 주고 있는데, 너무 귀여워. 그리고 보이는가, 본잎이 나기 시작했다!
이건 좀 더 가까이서 찍었다. 뾰족뾰족 본잎 나는 나의 고수. 정말이지 귀엽다. 아고 이뿌다, 아고 이뻐라~ 하고 있다. 으하하하.
그리고 월요일 책탑.
《연약한 선》은 다정한 알라디너로부터 선물 받았다. 사려고 벼르던 책인데 으하하하. 무려 마사 누스바움을 선물 받다니. 나는 마사 누스바움의 칸도 따로 마련해주고 있다. 마사 누스바움 읽은 건 《시적 정의》한 권 뿐인것 같은데, 책장에 따로 칸을 마련해둘 정도로 책은 여러권 가지고 있다. 욕심이 똥구멍까지 찼다. 그래도.. 퇴사하면 다 읽을거야. 언제 퇴사하느냐가 관건이다. 오늘도 출근하니 일을 또 한아름 주는 바람에 지금 퇴사할까? 고민하고 있다.
《아랍의 봄 그 후 10년의 흐름》은 김혜리 기자의 팟빵을 듣고 사게 되었다. 이 팟빵이 너무 좋은게 뭐냐면, 각 분야 지식인들을 게스트로 초대해 이야기를 듣는데, 김혜리 기자는 그 모두를 다 알고 있어서 대화가 된다는 사실이다. 그림이면 그림 음악이면 음악 역사면 역사, 누가 어떤 말을 해도 김혜리 기자는 모르는 게 없이 대화가 된다. 나는 죄다 뭔말이야 싶은데 김혜리 기자는 어떻게 이렇게 다 알까? 지식과 지식이 만나서 대화가 되는 걸 듣노라니 겁나 짜릿해진다. 덩달아 나까지 지식인 될 것 같은 느낌적 느낌. 그런 한편, 김혜리 기자에 대해 내가 그동안 관심이 없어서 사실 전혀 아는 바가 없지만, 어린 시절부터 남달랐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릴 때부터 문화 자본이 나랑은 달랐을 거라는 그런 느낌이 드는 거다.
나는 보통 누군가 어떤 행동을 했을 때 '니가 하는데 나도 한다!' 라는 식으로 임하는 사람이기는 하지만, 그러나 누군가 어떤 행동을 했을 때, '내가 아무리 해도 저렇게는 안되겠구나' 하는 한계를 느끼기도 한다.
전현무가 파김치를 담갔을 때, 전현무도 하는데 내가 왜 못해? 하고 파김치를 담가서 토요일에도 삼겹살과 함께 맛있게 먹었지만, 정희진 쌤의 강연을 듣거나 책을 읽노라면 '내가 아무리 책을 읽어도 정희진 쌤처럼은 될 수 없다' 는 한계를 느끼게 되는거다. 김혜리 기자도 마찬가지였다. 김혜리 기자가 각 분야 전문과들과 자연스레 대화하는 걸 듣노라니, 저 사람과 나는 애초에 문화 자본이 달랐겠구나 싶어지고 내가 여기서 아무리 음악과 미술에 관심을 갖는다해도 저렇게 잘 알 수는 없을 거란 생각이 드는거다. 그저 들으면서 고개 끄덕이고 감탄하는 것 밖에는 도리가 없겠구나.
그렇다고 해서 내가 그런 내 자신이 못나게 느껴지고 나같은 건 쓰레기야 하게 되는 건 아니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뭐랄까, 똑똑이와 똑똑이가 만나 똑똑한 대화를 하는 걸 듣는게 너무 좋다. 이렇게 아랍의 봄도 사게 되고!! 지식과 지식이 만나 자연스레 대화가 되는 거 너무 큰 즐거움이다. 비록 참여자가 내가 아니더라도.
흄세의 책들은 인스타그램에서 이벤트 하길래 참여해 세 권 받았다. 껄껄. 덕분에 내가 가진 흄세 깔맞춤이 근사해졌다.
《견딜 수 없는 사랑》은 진짜 제목이 안살 수가 없는 제목 아닌가. 제목에 이끌려 며칠전 잠자리에서 들었는데 와 심장 쫄깃해지는 그런 어떤 긴장이 있었단 말이야? 그리고 어젯밤 자기 전에 읽은 부분에서는 완전히 예측을 벗어난 일이 벌어져버려서 아니 이게 뭐야, 정신 똑바로 차리자! 하고는 책을 덮었다. 만약 덮지 않았으면 내처 다 읽어버릴 것 같아서. 너무 궁금했거든. 아니, 이걸 이렇게 진행한다고? 그러면 그 뒤에는?
그간 이언 매큐언의 책을 《속죄》를 포함해 몇 권 읽었고, 읽은 것들 중에서는 《칠드런 액트》를 제일 좋아하긴 했는데, 견딜 수 없는 사랑을 읽고나면 아마 달라질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더 읽어봐야 겠지만. 여담인데,
그런데 이언 매큐언 읽으면서 나는 왜 이언 매큐언을 좋아하는 작가라고 말하지 않을까?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그의 작품이 후졌던 적은 없는 것 같은데, 그런데 왜 어떤 작가를 좋아하냐고 물어보면 나는 이언 매큐언을 떠올리지는 않을까? 사실 어제 쫄깃한 견딜 수 없는 사랑을 읽으면서도, 우와- 하면서 읽었지만, 뜬금없이, 누가 비교하라고 시키지도 않았는데, '그런데 나는 필립 로스가 더 잘 쓰는 것 같아' 라는 생각을 했다.
《악어의 눈》는 첫꼭지만 읽었고, 여기에 대해서는 할 말이 많아질 것 같아서, 나중에 더 읽다가 따로 페이퍼를 작성하는 쪽으로 하겠다.
이만 총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