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들의 웃음판 - 한시로 읽는 사계절의 시정
정민 지음, 김점선 그림 / 사계절 / 2005년 5월
평점 :
절판


  한시는 한자로 쓰여진 시다. 그것을 우리말로 옮기면서 한시가 주는 느낌을 최대한 살려내어야 비로소 그 맛을 음미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그렇다 하더라도 표현언어가 다름으로써 생기는 미세한 맛의 차이는 어쩔 수가 없다. 그런 이유로 번역문을 실어놓았다 하더라도 원문을 따로 실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한자로 쓰여진 시는 우리말로 옮긴 것보다 더욱 간결하고 운율이 살아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따라서 한시를 제대로 음미하려면 한문에 빨리 익숙해지게 되는 것이 필요하다. 나는 한시를 읽으면서 시와 한문 둘 모두를 공부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 물론 욕심만큼 책을 덮고 난 후 만족스럽지는 않다. 아직 문맥속에서의 한자를 제대로 해석해내지 못하고 있고 옛 사람들이 자연을 보고 대하며 느낀 시정 역시 단번에 내 가슴을 파고 들지 못하는 작품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주룩들지는 않았다. 비록 수백년 수천년 전의 시라고 하더라도 그들이 가슴속에서 느꼈던 그것이 오늘날의 우리들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내가 봄꽃이 만발한 숲에서 한잎 한잎 떨어지는 꽃잎을 보며 느낀 감정들, 바람불어 잎새는 떨고 있는데 대지위로 무수히 내리는 빗방울을 보며 느끼는 가슴떨림은 비록 그것이 언어적 표현으로 바뀌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 이전의 가슴떨림의 기억으로 남아 있음을 알기 때문이다. 좋은 사람과 함께 있을 때의 즐거움과 행복함을 어찌 다 말로 하랴. 늘 그대로 있던 세상이 어느 순간 별안간 내 마음에서 새로운 것으로 바뀌고 아름다움으로 승화될 때의 느낌을 어찌 그대로 표현할 수 있겠는가? 하지만 그런 가슴떨림을 모두 표현할 수 없다고는 해도 어찌 글조차 남겨두지 않고 떠나보낼 수가 있겠는가?

  모든 대상은 마음 속으로 반영되고 그 마음의 빛깔을 통해 다시 가슴 속으로 들어간다. 가슴 속으로 들어가서 이루어진 일들은 때로 다시 어떤 마음을 만들어내고 행동으로 드러나기도 하고 언어로 표현되기도 하며 음악과 그림 등 예술적 형태를 통해 드러나기도 한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의 시발점은 마음에 있다. 우리가 격물하는 순간의 마음포착이 이후의 결과를 만들어내는데 큰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인간이 가진 온갖 감정들과 느낌들이 빚어내는 결과물로서의 세상을 대하면서 우리는 다시 돌고 도는 세상의 이치를 깨닫게 된다.

  내 젊은 날의 마음에서부터 지금까지 지속되어 온 변하지 않은 정서가 하나 있다. 그것은 기쁨과 행복감, 즐거움에서 느끼는 가슴떨림도 물론 좋지만 쓸쓸함과 외로움이 가슴 속에서 애잔하게 울리는 떨림을 더욱 선호하는 면이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내가 새디스트나 매조키스트가 아니다. 쓸쓸함과 애처로움이 그 자체만이 아니라 가슴 속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아름다움으로 변화시킬 수 있게 만드는 마음의 작용이 내 가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쓸쓸함과 고독함이 방울방울 혈관을 타고 굴러 내 온몸을 그것으로 채우는 동안에도 그것을 수용하고자 하는 마음의 내성은 삶의 슬픔 밑바닥에서부터 깨닫게 되는 삶의 비밀의 문을 찾게 한다. 그 문을 통해서 우리는 삶을 바라보는 여유와 지혜를 추구하게 되고 그때에야 비로소 누구나가 꼭 거쳐야만 하는 그 문들을 통해서 우리는 우리 인생의 목표에 보다 가까이 갈 수 있게 됨을 알게 된다.

  한시를 보더라도 알 수 있다. 뼛속 깊숙한 곳에서부터 느껴지는 외로움, 쓸쓸함, 그리움, 슬픔, 눈물없이 시대를 초월해서 사람을 울리는 문학양식이란 것이 어떻게 존재할 수 있었겠는가? 인간 존재의 심연 그 보이지 않는 바닥에는 어쩌면 슬픔의 강이 흘러 그 물로써 삶의 기쁨과 행복의 꽃을 피우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여우 2005-06-17 2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담번에 주문할 책이었어요. 앞선 어느분의 리뷰를 보고 보관함에 넣었는데
님도 읽으셨군요.

달팽이 2005-06-18 07: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랬군요..요즈음 전 한시, 옛시에 빠졌나봐요.
뭐랄까, 옛시를 읽고 있으면 그 풍경속으로 내 몸과 마음이 쏙 들어가는 느낌...
아무래도 난 우리 나라에서 선비로 살았던 기억이 있나봐요. ^^

어둔이 2005-06-18 09: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友人會宿

滌蕩天古愁
留連百壺飮
良宵宜淸談
皓月未能寢
醉來臥空山
天地卽衾枕

-李白

꽃들의 웃음판을 읽은 기념으로 달팽이님에게 번역을 구함!!!
전생에 선비로 글공부하며 살았던 시심을 되살려 ^.^


달팽이 2005-06-18 11: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억겁 윤회의 시름이 씻어지도록
연거푸 백 잔의 차를 들이키네
좋은 밤 맑은 문답은 깊어만 가고
밝은 달은 미망에 빠지지 말라 하네
어지러운 마음 허공 속에 묻으니
천지 모두가 부처님 법문 아닌 것 없구나

어줍잖은 솜씨로 어둔이님의 요구에 응해봅니다.
어둔이님도 생각하고 계신 번역이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어둔이 2005-06-18 10: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벗들 모여 이 밤에

오래 쌓인 시름
모두 씻어버리고자
연거푸 백 병의 술을 마신다
이 좋은 밤
때묻지 않은 이야기로 밤을 새니
휘영청 밝은 달도 아직
잠을 못 드네
거나하게 취한 뒤
벌렁 누워버린 이 빈산
아! 하늘이 이불이고
땅은 배게로다

-이백의 시를 어둔이 옮기다

로드무비 2005-06-18 12: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두 분의 번역 모두 좋네요.(앗, 실례!^^)
존재, 심연이라는 단어에 끌려 왔습니다.

달팽이 2005-06-18 12: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무비님...요즘 잘 지내시죠? 서재 마실 한번 가야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