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학의 황금시대
오경웅 지음 / 천지 / 1997년 10월
평점 :
품절


사실 이 책의 내용을 아직 마음으로 다 소화해내기가 어렵다는 것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토를 다는 것이 사족이 됨을 모르는 바 아니지만, 인간 존재의 깊은 본질에 대한 깨우침을 가졌던 대 선사들의 마음 속으로 들어가는 것은 우주와 같은 그들의 마음을 내 마음 속에서 찾게 해주기도 하지만 늘 나를 겸손하게 하고 모르는 마음으로 돌아가게 만든다.  그것은 그들의 마음을 내 마음의 그릇으로밖에 담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저자인 존 우와 홈즈 대법관의 선학에 대한 언어적 정리는 그들이 마음 속에서 체험하고 증득한 사실들을 될 수 있는 한 흩어지지 않게 담아내었다는 점에서 나는 가없는 존경을 감출 수 없다.

사실 선이란 내가 나됨이다. 선의 나침반을 따라 움직이는 것은 참된 나됨의 과정을 밟는 것과도 같다. 그래서 한바퀴를 완전히 돌게 되면 온전히 나 자신이 되는 것이다. 나는 있는 그대로이며 세상도 있는 그대로의 진리가 된다. 하지만 이제야 비로소 꿀단지를 본 벙어리가 되어버린 나는 그저 갈 뿐이다. 이미 되돌릴 수 없는 선의 나침반 속에 한 걸음을 디디고 섰고, 꿀 맛도 보지 못하고 꿀단지만 본 벙어리처럼 세상이 오직 꿀단지로만 보이는 경험이 나에게서 일어나고 있다.

얼마나 어처구니없는 일이랴! 마치 세상도 모르고 꿀맛만 쫓는 철부지 아이처럼 나는 그렇게 나도 잊고 세상도 잊어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디딤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그 과정이 없이는 나는 나도 아니기 때문이다. 삶을 온전하게 사는 것은, 우리가 깨달음을 얻는 목적은 바로 나 자신을 바로 보고 나 자신으로 온전히 살기 위함이다. 따라서 나 스스로가 전도되고 없어지고 뒤틀리고 변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은 그것이 나를 진리의 길로 인도할 것임을 믿기 때문이다. 그래서 원래부터 내가 가지고 있던 그것을 보고 내가 오랜 나그네의 방황을 마치고 고향집에 돌아가게 될 것임을 믿기 때문이다.

세상도 없고, 마음도 없고, 나도 없는 그 문을 지나 나무닭이 울고, 돌 사람이 눈물을 흘리는 길을 지나 비로소 차가워진 겨울날 다 떨어져버린 앙상한 나뭇가지에 새싹이 쭈삣쭈삣 올라오는 모습을 보게 되는 것이리라. 온전한 내가 아님으로써 가져야 하는 마음 속의 의문덩어리가 해소되어 걸림없고 자유로운 세상을 맞이하게 되는 그 날까지 오직 갈 뿐이다. 그래서 먼 훗날 태양이 솟아오르고 사위가 밝아오는 그 날에 세상을 날려버리는 큰 웃음 한 번 지어보리라.


댓글(5)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여우 2004-12-14 23: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선불교에 관한 글인가봐요...저처럼 생각이 짧고 다혈질인 사람에게 필요한듯 하군요...

달팽이 2004-12-18 17: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런걸요. 그런 자신과 직접 대면할 수 있는 용기가 있는 사람이라면 잡을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kleinsusun 2004-12-15 12: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절판된건 아니죠? 품절 표시가 되어 있네요. 번역자 소개나 책 소개도 없구요.

그래도....달팽이님의 리뷰를 보니 신뢰가 생기네요. 이 책 읽어보고 싶어요.

달팽이 2004-12-15 13: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군요...제가 작년인가 알라딘에서 주문한 것으로 아는데....그래도 주변 서점에서는 구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요...

다만 인연이 있어야만 이 책을 끝까지 읽을 수 있을거라는 생각이 들어요...

수선님의 삶의 경험들이 쌓이고 쌓인 그 마음을 스스로 들여다볼 수 있을 때....

그 때 세상은 나에게서 다시 펼쳐지는 경험들이 생기리라 생각합니다...

어둔이 2004-12-19 15: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경서원에서 출판된 '선의 황금시대'입니다.이 책의 번역은 불교문화사, 천지등의 출판사에서 예전에 번역된 것이 있는데 모두 번역이 시원찮고 경서원의 류시화님의 번역이 그래도 지나친 자의적 의역이 내비치긴하지만 원서가 영어판이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읽는데 뜻이 통하지 않는 곳은 없습니다. 류시화씨는 함부러 책을 번역하지는 않으니까...경서원의 책을 한번 읽어보시기를...아마 달팽이님도 경서원 책을 읽고 이곳에 서평을 단 것은 아닌지....??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