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의 힘 - 끊임없는 자극이 만드는 극적인 성장
켈리 맥고니걸 지음, 신예경 옮김 / 21세기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 스트레스의 힘: 끊임없는 자극이 만드는 극적인 성장

 

 

 

 

『하나, 책과 마주하다』

 

대한민국에서 스트레스 안 받고 사는 이들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그만큼 스트레스는 삶에 있어서 많은 부분을 차지할 정도이다.

스트레스는 알다시피 만병의 근원으로서, 모두가 이 스트레스를 안고 싶어하지 않는다.

 

그런데 이 스트레스에 대해 스탠퍼드대학교의 심리학자인 켈리 맥고니걸 박사는 전혀 다른 주장을 펼치고있다.

스트레스는 분명 해롭기만한 독이지만 이로운 약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스트레스를 받게되면 우리 신체에서는 천천히 신호를 보낸다.

심장이 두근두근거리거나 손바닥이 축축해지는 등 이런 신체변화들이 일어나는데 이는 불안감에 의한 신체변화로 모두가 그렇게 생각한다.

하지만 저자는 오히려 이 반응이 또한 어려운 상황에 처해지는 우리를 돕고자 작동하는 자연스러운 신체작용이라고 말한다.

듣고보니 양면성이 있긴하다.

실제로 몸이 스트레스지수를 심하게 작용하는 경우는 스트레스가 해롭다는 믿음이 작용할 때였다.

이 전제조건이 있어야 몸에서 해로운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을 연구결과로 증명하였다.

즉, 반대로 스트레스 수치는 높아도 해롭다고 믿지않는 사람들은 몸에서 해로운 반응을 그에 반해 덜 일으켰다고한다.

스트레스 요소가 믿음과 결합할 때 몸에서 크게 작용하다니! 듣고보니 그 말이 맞다!

어떤 상황이 작용할 때의 그 전제조건은 내 마음, 내 생각에 달려있다고 전에 책에서 본 적이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스트레스를 어떻게, 이롭게 받아들여야 하는 것일까?

생각의 전환이다. 이 스트레스가 꼭 나쁘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이 일로 인해 내가 더 발전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마음을 갖는 것이다.

나야말로 이 생각의 전환이 필요한 것 같다.

나도 스트레스를 정말 많이 받는 편에 속한다.

전에 간단한 검사를 했었는데 내 스트레스 지수가 정말 높다는 결과를 보고 놀랐었다. 물론 예상은 하고있었으나 그렇게 높을 줄은 몰랐다;

잠깐 자는 낮잠도 항상 그렇게 꿈을 꾼다. 한번도 꿈을 안 꾼 적이 없을 정도로 매일매일 꿈을 꾸며 자는데, 이렇게 꿈꾸며 자는 것이 좋지않다고한다.

깊게 자지 못하기 때문에 항상 피곤함에 시달리고 계속해서 수면부족에 시달리는 것이다.

스트레스로 인해 두통과 어지러움에 시달리고 위도 많이 약해졌다. 무엇보다 이로인해 면역력까지 약해졌었다. 불면증도 왔었고;

그래서 나는 항상 매일매일 그런 생각을 한다. 그냥 흘러가는대로, 느슨하게 살자고. 완벽할 필요는 없다고.

한번밖에 못 사는 인생, 그렇게 스트레스받으며 몸까지 해칠 필요가 있냐고.

꼭 내가 스트레스받는 게 나쁘지만은 않았다.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원동력이 되기도했다.

저자말대로 스트레스에도 분명 힘이 있긴 있는 것 같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5-12-25 15: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aurorahana님, 메리 크리스마스,
오늘도 좋은하루되세요^^

하나의책장 2015-12-27 09:19   좋아요 1 | URL
서니데이님도 행복한 크리스마스 보내셨나요?^^
황금같은 금토일연휴가 금방 지나가는 것 같아요. 벌써 일요일이라니ㅠ
감기조심하시고 행복한 연말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