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모두 식인종이다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지음, 강주헌 옮김 / arte(아르테) / 2015년 9월
평점 :
품절


♡ 우리는 모두 식인종이다

 

 

 

 

『하나, 책과 마주하다』

철학, 꼬리에 꼬리를 물고 생각하는 것, 정답이 없는 그래서 결론내리기 어려운 학문. 그런 매력에 나는 철학을 좋아한다.

1989년부터 2000년까지 저자가 이탈리아 한 일간지에 기고했던 글을 모아서 만든 책이다.

『우리는 모두 식인종이다』​는 현재 우리가 보여주고있는 야만적인 문명을 비판하는 내용을 다루고있다.

야만적인 문명이라고 칭한 것은 저자가 글을 쓴 기준을 보고선 그렇게 표현해봤다.

현 문명 및 앞으로의 문명은 예상치 못할정도로 빠르게 변화하며 물론 이점을 주기도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옛 것의 순수함이 변질되었다.

그로 인해 삭막해지고 그야말로 야만적으로 변해갔다.​

이 책은 꽤나 흥미롭다. 기고되었던 일간지를 읽은 이탈리아인들이 왠지 부러운 생각이 들 정도로 다양한 주제로 이야기를 하고있다.

산타클로스의 처형, 여성 할례와 대리출산, 신화적 사고와 과학적 사고, 우리는 모두 식인종이다, '미친 소'파동의 교훈…….

주제만 놓고봐도 몇 날 몇 일을 생각하고 생각해도​ 결론이 나지않을 주제들이다.

일관된 관점이 아닌,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본다는 것. 그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항상 인문·철학서를 볼 때마다 깨닫게 되는 것 같다.

우리를 식인종으로 분류하는 이들과 그렇지않은 이들의 대립되는 의견을 각각 들어보면 두 의견 모두 고개를 끄덕이게 만든다.

여기서 자기의 의견은 이쪽이라고 피력하는 순간 반대되는 의견은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무조건 틀렸다고본다.

그런데 정말 각각의 의견들을 다 돌이켜보면 이 말도 맞고, 저 말도 맞다.

​한 주제를 철학적인 관점에서 봐야한다면,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봐야 하는 게 가장 중요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