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없는 나라 - 제5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이광재 지음 / 다산책방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라 없는 나라: 제5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사진수정중>

 

 

 

『책에서 마주친 한 줄』

 

-알고 싶구나. 정녕 그대의 이름은 무엇인고?

어쩐지 사내는 빚 받을 사람처럼 당당하였지만 대원군은 점점 매달리는 모양새가 되었다.

-어려서는 철로라 하였고, 병호라고도 하였습니다. 전봉준이라 쓰기도 하고, 김봉집이며 김봉균이 모두 이름이요, 자는 명숙이라 하며

동무들은 녹두라 부르기도 합니다. 탈 없는 세상이라면 무에 그 많은 이름이 필요하오리까? 항차 백성의 가슴에 새겨지고 그네들이 불러주는 이름이

차 이름이 될 것입니다.

 

-아비가 미안하다.
갑례가 고개를 숙이는데 방에 깔린 삿자리 위로 눈물방울이 툭 떨어진다. 전봉준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다시 돌아오거든 네가 시집가서 아들딸 낳고 사는 모습을 곁에서 지켜볼 것이다. 하나 만일 돌아오지 못하거든…….
말이 끊어졌다. 갑례는 손으로 눈물을 닦았다.
-살아남아라.

 

 

 

『하나, 책과 마주하다』

 

나라없는 나라, 동학농민운동이 배경인 이 책은 혼불문학상을 수상한 이광재 작가의 장편소설이다.

정치이야기가 시작되면 끝이 없는 것처럼, 나라를 이끌어야 하는 윗사람들의 행태는 예나 지금이나 다를게없다.
소설이기에 역사적배경을 근거하여 풀어썼기에 내용을 풀어나가는 과정은 당연히 허구적이다.
하지만 그 당시의 느낌은 그대로 전달되지 않았나싶다.

 

 

동학농민운동하면 당연히 전봉준이 떠오를 것이다. 다들 동학농민운동에 대해 분명 알 것이기에 내용은 생략하겠다.

나의 애국심이 내면에서 크게 작용하였는지 몰라도 읽는내내 울컥하면서도 심금을 울리는 부분들이 정말 많았다.

예나 지금이나 올바른 것을 잡고자 국민이 나설 때, 왜 윗사람들은 귀 기울여 듣지않는 것인가!

뽑아달라고, 국민의 옆에 있겠다고 갖은 동정과 호소로 자신에게 표를 던져달라고 할 때는 언제이고 싹 입 닫고 있는 것인가!

그들은 과연 국민과 나라를 위해 그 자리에 있는 것일까? 아니면 자신의 명예를 위해 그 자리에 있는 것일까?

국사단일화 문제로 시끌시끌한 요즘, 찬반여론이 뜨겁게 가열되고 있다.
여기서 정말 중요하고 중요한 것은국민의 의견이다. 정치인들의 의견만으로 결정될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보수적이건, 진보적이건 나라의 역사가 담긴 국사와 근현대사는 빠짐없이 사실에 근거하여 모든 내용이 기재되어야한다.

객관적인 입장에서 바라보아야 하는 것이지, 주관적인 입장으로 누군가를 높이고 낮춰서는 절대 안 될 문제들이다.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만 나라의 미래가 밝은 법인데, 어째서 어떤 것은 숨기고 어떤 것은 더 대두시키려고 하는 것인지;

나라는 정치인의 것이 아니다. 나라는 오롯이 국민의 것이며 국민의 터전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