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로 세운 집 - 기호학으로 스캔한 추억의 한국시 32편
이어령 지음 / arte(아르테)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언어로 세운 집: 기호학으로 스캔한 추억의 한국시 32편

 

 

 

 

『책에서 마주친 한 줄』

 

엄마야 누나야 _김소월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 빛,

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광야 _이육사

 

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모든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해 휘달릴 때도

차마 이곳을 범하던 못하였으리라

 

끊임없는 광음을

부즈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

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지금 눈 나리고

매화향기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다시 천고의 뒤에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이 있어

이 광야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나그네 _박목월

 

강나루 건너서

밀밭 길을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길은 외줄기

남도 삼백 리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놀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하나, 책과 마주하다』

​진달래꽃, 광야, 향수, 청포도, 서시, 자화상, 풀……. 학창시절 누구나 다 배웠을, 외웠을 시들로 모르는 이들이 없을 것이다.

학창시절 배웠던 수학공식들은 까먹었어도 문학시간에 외웠던 시와 사회시간에 외웠던 나라이름과 수도는​ 선명히 기억난다.

또한 문학작품을 배울 때, 개인적으로 시를 너무 좋아해서 당시 제목만 봐도 글쓴이부터 소재, 주제 등등 줄줄이 읊을 수 있을 정도였다.

그래서 평소에도 시는 놓치지 않고 꼭 읽는 편이다.​

로맨틱 한시 → http://blog.naver.com/shn2213/220425025776

사랑은 시가 되고 이별은 별이 되는 것  http://blog.naver.com/shn2213/220468075205

​노래로도 입가에 맴돌 정도로 누구나 다 아는 '엄마야 누나야'라는 시에 대해 모든 것을 아는가?

같은 식구를 부르는 것인데 왜 엄마와 누나만 찾을까? 이 말에 남녀를 구별하는 젠더공간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는가?

'엄마야 누나야'의 여성공간은 겉으로 드러난 텍스트이고 아빠와 형은 뒤에 숨어있는 텍스트라고 한다.

즉, 젠더 공간을 안에 숨기고 있기 때문에 눈치채지 못한 것 뿐이다.

또한, 이 구절은 여성공간​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부재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엄마와 누나를 부를 때, 다 같이 '야'라는 호격조사가 붙기 때문이다.

​무언가를 부를 때는 현존하는 공간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듯 한 구절에도 깊은 의미가 숨겨진 시인데 정말 나는 그저 맛보기만 봤다는 생각이 들 수 밖에 없었다.

시를 읽는 다는 것, 단지 그 뿐이였다. 아니, 그 뿐인 줄 알았다. 시에 대한 줄거리와 느낀 점, 시의 소재, 주제만 안다면 그것으로 끝인 줄 알았다.

그러나 이어령 선생님의 『언어로 세운 집』을 보고선 내가 시에 대해 모든 것을 알지 못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시에 대해 한 층 더 많은 것을 알게되었고, 요즘은 윤동주 시집을​ 다시 꺼내서 읽어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