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우리는 이기적일까 - 인문학으로 풀어보는 너, 나, 우리의 16가지 고민
송가연 지음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20대, 우리는 이기적일까: 인문학으로 풀어보는 너, 나, 우리의 16가지 고민

 

 

 

 

 

『책에서 마주친 한 줄』

 

우리가 "현실적으로 산다"라고 할 때의 현실은 진짜 현실일까? 어쩌면 이런 현실이야말로 동굴 속이지는 않을까?

혹시 우리는 우리의 발과 목에 묶인 쇠사슬을 더욱 견고하게 조이고 동굴에 비친 그림자에서만 즐거움을 찾으려 하고 있지는 않은가?

동굴에서의 삶이 전부라며 말이다.

 

끝없이 차오르는 진로에 관한 질문들을 늘 고민하고 또 대답해야 하지만, 어느 시기가 지나면 어미를 따르고 싶어도 따르지 못하고 어미를 보고도

알아채지도 못하는 새끼 거위보다, 때를 놓쳐 평생 언어를 제대로 배울 수 없었던 지니보다, 그래도 우리가 더 나은 것 같지 않은가?

적어도 우리는 스스로의 진로 문제에 대해 언제나 물을 수 있고, 또 그에 따라 얼마든지 새로운 결정을 할 수 있으니까.

 

문제를 해결할 때에는 자신에게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가 있느냐 없느냐, 이것만 확실히 알면 된다.

 

경험이 반드시 필요한 마지막 하나는 뭘까? 그것은 바로 '실패하는 것'이다.

 

모 아니면 도. 이런 극단적 결과는 아주 중요하다. …… 이후에 미련이 남지 않도록 현재에 충실하는 것, 이것은 더 확실한 성공과 더 분명한

실패를 위해 꼭 필요하다.

 

우리는 종종 잊는다. '나는 실패했다'라는 문장 뒤에 '나는 성공했다'라는 문장을 이어 쓰기 위해 중간에 필요한 접속사는 '하지만'이나 '그러나'가 아니라,

'그래서'나 '그랬기 때문에'라는 사실을. 이것만 기억하면 된다. 나는 실패했다. 그래서 성공했다.

 

우리 삶에 대한 책임이 부모에게 전이되고, 부모가 우리 삶을 책임지는 듯 보이는 것은 허상일 뿐이다. 부모는 결코 우리를 책임질 수 없다.

어떤 이유에서건, 레비나스의 주장이건 부모와 우리의 끈끈한 관계이건, 타인을 책임지는 것과 타인의 책임이 전이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스스로의 삶에 대한 책임은 결코 자신을 벗어나지 못한다.

 

그런데 나를 사랑하게 되는 모든 과정을 거치고 난 뒤 깨달은 것은 있다. 그건 바로 '자신을 사랑하라'라는 문장이 결코 진부하지 않다는 것이다.

 


 

『하나, 책과 마주하다』

딱 지금 내 나이 또래인 20대를 위한 책이다.

대한민국에서의 20대의 삶, 청춘들의 삶은 (희망의 끈을 놓치고 싶지 않으면서도) 참 우울하기도하다.

취업난으로 허덕이는 요즘, 학점과 토익, 국가자격증 보유는 필수인 것 같다. 또한, 학비와 자기계발을 위해 아르바이트는 필수이다.

그렇게 대학생활을 보내고 어쩌다 취업을 하게되면 그것으로 끝이 아니다. 대출받은 학자금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3포세대라고 불리었지만 지금은 7포세대라고 부른다. 꿈과 희망까지 포기해야 하는 세대에 이른 것이다.

 

사회문제에도 관심없는 이기적인 세대라는 꼬리표까지 달고있다고 한다. 신경쓸 틈도 없이 정말 바쁜 걸지도 모른다.

책에서 언급한 '이기적인 세대'라는 꼬리표는 소수에 해당되는 것 같다.

사회문제에도 관심이 없어서 그런 꼬리표가 붙은 것인데 나는 바쁘긴해도 사회문제에 대해 고개돌린 적은 없다.

선거권을 얻은 나이때부터 짬을 내서라도 투표는 꼭 하였고 서울시에 의견을 내기도 하는 등 모른 척 하지는 않았다.

잘 생각해보면 이 사회가 우리를 떠밀리듯 이기적인 세대로 바뀌고 흐르게 놔두는 것이 아닌가싶다.

 

이틀전에 전화 한 통이 왔다. 토크콘서트의 주제가 '청년들의 꿈'이라고 한다.

지난번 토크콘서트때 참가자들에게 꿈이 크고 열정있는 친구를 입장권 뒷편에 쓰라고 했나보다.

 

(지금 생각해봐도 어떤 친구가 썼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 입장권 뒷편에 내 이름과 연락처가 기재되어 전화했다는 것이다.

자료는 많이 수집할수록 좋아 나에게 잠깐이나마 시간을 내서 인터뷰를 해달라는 것이다.

망설여졌다. 물론 내가 이루고자 하는 꿈은 많고 열심히 노력한다고는 하나 딱히 아직은 해줄 말이 없기때문이다.

학교생활은 참 올바르고 착실하게 해왔지만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는 가지못하고 항상 엇비슷하게 나갔었다.

그래도 여기까지 왔다는 것은 끈기와 인내심때문이 아닐까싶다.

경험이 반드시 필요한 마지막 하나는 뭘까? 그것은 바로 '실패하는 것'이다.

막상 대면하면 마음아프지만 실패해봤기에 단단해짐을 느끼긴한다.

20대들이 느끼는 고민은 지금 20대가 아니고서야 알지 못할 것이다. 그런데 정말 분명한 건 단단해져야한다. 나 자신을 믿고 더 많이 단단해져야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