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이칼호에 비친 내 얼굴 ㅣ 끝나지 않은 한국인 이야기 3
이어령 지음 / 파람북 / 2024년 2월
평점 :
바이칼호에 비친 내 얼굴
저자 이어령
파람북
2024-02-26
지금은 별이 된, 대한민국 대표 지성의 상징인 이어령 선생님은 한국인을 이렇게 표현하셨습니다.
《한국인의 얼굴에 바이칼호의 추위가 서려 있다.》
우리 조상의 시작점은 어디일까요?
현생인류의 직계 조상은 아프리카에서 갑자기 출현해 이미 정착해 살고 있던 다른 모든 인종을 대체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1970년대 에티오피아의 한 지방에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라 불리는 원인의 화석 골격이 발견되었는데,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라틴어로 원숭이 사람을 뜻하며 아파렌시스는 아프리카의 남쪽 유인원을 의미합니다.
한국사를 공부해봤다면 들어봤을 법한 이름이 있는데, 딱 떠오르시나요?
300만 년 전 직립 원인의 화석인 루시는 인류의 직접적 조상이라 여겨집니다.
인류 화석은 루시가 살던 에티오피아뿐만 아니라 탄자니아 곳곳에서도 발견되었습니다.
인류의 조상이 된 유인원은 다른 유인원들과 달리 나무에서 내려와 평지에서 터전을 잡게 되죠.
아프리카 에티오피아, 탄자니아, 케냐는 사바나 지역입니다.
그러니깐 인류의 조상이 된 유인원이 숲에서 나와 초원에서 생활하는 데에 힘을 싣는 것이죠.
근 70년 동안 한국인의 모습 중 가장 많이 바뀐 부분은 무엇일까요?
바로 '얼굴'입니다.
1911년 조선총독부가 전국 남녀 4~8명씩 정면과 측면을 촬영한 사진과 1986년부터 조용진 얼굴연구소장이 수집한 3000명분의 얼굴 사진을 토대로 과거 한국인의 얼굴과 지금의 한국인 얼굴을 비교했을 때, 얼굴 자체가 많이 달라졌습니다.
얼굴 자체가 달라졌어도 그들과 우리가 가지고 있는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분명한 건, 아무리 세월이 흘러 달라졌어도 한국인의 얼굴은 변하지 않으며, 이를 알아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세계의 용모에 관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한국인만이 가지고 있는 네 가지 특성이 있다고 합니다.
눈이 세계 1등으로 작고 털이 없으며 두상이 크고 치아가 제일 크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특성은 어디서부터 시작된 것일까요?
바로 시베리아의 바이칼호입니다.
바이칼호는 시베리아의 진주라 불리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차가우며 가장 크고 가장 깊다고 알려졌습니다.
이 호수에서 시작된 우리 조상들의 대장정이 지금의 우리 얼굴 모양과 무관하지 않다고 합니다.
신몽골로이드만이 유일하게 영하 70도 추위를 이겨낸 민족입니다.
즉, 혹한이 만들어낸 조각이고 예술품이고 상징인 것이지요.
이어령 선생님은 말합니다.
"내가 해냈구나. 우리가 해냈구나. 그래서 겨울의 혹독한 추위를 겪어낸 인간의 얼굴을 하고 있구나. 그 어떤 짐승도 못 하고, 그 어떤 인간도 해내지 못한 영하 70도의 추위를 이겨냈구나."
우리 얼굴이 곧 자랑스러운 훈장이고 서사이고 조각입니다.
우리 안에는 시베리아의 추위가 남아 있고, 인간의 위대함이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을 모르는 인간들과는 견줄 바가 못 됩니다.
참고 견디며, 추위를 뚫고 나온 사람들이 바로 우리입니다.
얼굴은 생물학적 유전자의 증명서가 아닌, 얼굴은 문화입니다.
링컨이 말하길, 사람의 나이 마흔이 넘으면 자기 얼굴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습니다.
마흔이 지나고 나면 타고난 얼굴, 부모님이 주신 얼굴, 유전자의 얼굴이 아니라 문화의 얼굴, 역사의 얼굴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한국인의 얼굴 탐사라니! 참 색다르고 재미있지요.
과거부터 지금까지 우리 얼굴에 담긴 비밀과 함께 앞으로의 얼굴 완성법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점이 매우 흥미롭습니다.
결국 이어령 선생님은 우리에게 역사의 거울과 문화의 거울을 보아야 비로소 진정한 얼굴이 드러난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고 싶었던 게 아닐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