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은 동물의 자매다. 식물도 동물처럼 먹이를 먹고 자손을 낳으며 살아간다. 식물을 알고자 하면 동물을 들여다보는 것만큼 확실한 방법이 없고, 동물을 이해하자면 식물의 본성을 살피는 것만큼 빠른 방법이 없다.


"식물은 폴립으로 이루어진 폴립 모체와 같다." 식물은 단일 존재가 아닌 집합적 존재다. 끈끈하게 결합하여 하나로 이어진 개체의 연합이며, 서로 도움을 주고받고 전체의 번영을 위해 일하는 공동체다. 식물도 산호처럼 살아 있는 벌집이며 모든 일원이 공동의 삶을 살아간다.


노동은 모두 잎이 무성한 새 가지, 즉 그해에 돋아난 가지에 온전히 맡겨진다. 이 가지가 공동체를 부양한다. 뿌리를 통해 흙에서 빨아올리고 잎을 통해 대기에서 끌어내린 원료를 배합해 끈적한 수액을 만든다. 식물 세계에서는 모든 것이 이 수액으로 창조된다. 해가 바뀌면 한 해 동안 수고한 가지는 말하자면 은퇴를 선언하고 휴식에 들어간다. 그리고 지금의 눈이 잎과 가지로 자라서 이듬해 새로운 눈이 대체할 때까지 부지런히 공동의 일을 수행한다. 그렇다면 나무는 여러 세대가 해마다 차례대로 업무를 이어받는 조직체와 다름없다.

나무의 세대는 몸통인 줄기에서 시작해 큰 가지를 거쳐 가장 최근에 자라난 잔가지까지 단계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잎을 달고 있는 새 가지는 현제 세대다. 식물의 주요 업무가 모두 이 세대에서 일어난다. 다음으로 눈은 가까운 장래에 모습을 드러낼 미래 세대다. 나무가 지금 고생을 자처하는 것도 다 이들을 위해서다. 마지막으로 나무줄기와 그 아래쪽의 굵은 가지들은 과거 세대다. 이 한물간 세대는 활동을 멈추었다. 심지어 죽은 것도 있다. 하지만 산호로 따지자면 폴립의 모체와 같아서 젊은 세대를 위한 토대 역할을 기꺼이 자청한다.


세포는 식물을 건설하는 벽돌이다. 특별한 순서에 따라 모아놓으면 식물의 어느 부위든 문제없이 만들 수 있다.

…… 예를 들어 강낭콩은 한창 자랄 때면 한 시간에 최소한 2,000개의 세포를 만든다. 생산된 세포는 곧장 적절히 포장되어 적재적소에 분배된다. 호박은 하루에 무게가 1킬로그램도 넘게 늘어난다. 세포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알갱이가 매일 1킬로그램씩 만들어진다는 뜻이다.


오직 식물만이 최초 공급원에서 재료를 직접 흡수할 수 있다. 식물은 먹을 수 없는 것들에서 먹을 것을 만든다. 식물은 숯과 공기와 물을 먹고 기적처럼 동물의 식량으로 바꾼다. 그러므로 탄소, 산소, 수소, 질소를 조합하여 유기물질을 만들고 지구의 모든 창조물에 꾸준히 성찬을 베푸는 것은 바로 식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