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제일명산 금강산 유람기 - 영악록 瀛嶽錄
정윤영 지음, 박종훈 역주 / 수류화개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나, 책과 마주하다』


금강산 찾아가자, 일만 이천 봉! 볼수록 아름답고 신기하구나 ♪

철 따라 고운 옷 갈아입는 산! 이름도 아름다워 금강이라네, 금-강-이라네 ♪


금강산을 떠올리면 어린 시절에 배웠던 노래부터 떠오른다.

그만큼 친숙하지만 갈 순 없어 괜스레 멀게 느껴지는 것이 금강산이다.

과거 우리 조상들이 여느 때나 갈 수 있는 곳이 금강산이었다. 지금은 분단 국가로서 중국을 통해서야 갈 수 있는 그곳이지만 책으로나마 여행해보는 것은 어떨까?

여행 일지 남긴 블로그를 찾아가 살펴보듯이, 금강산의 여정을 담은 『천하제일명산 금강산 유람기』를 읽다보면 옛날판 여행일지를 보는 느낌이 절로 들 것이다.


저자, 정윤영(1833~1898)은 경기도 화성 출신으로, 본관은 초계, 자는 군조, 호는 석화·후산이다.

임헌회의 문인으로, 이항로 학파와 교유하면서 심성이기론을 주기의 입장에서 피력했다. 또한 신사척사운동때의 소장에 연루되어 함경도 이원현에 정배되었다.

소중화 의식을 담아 《화동연표》 등을 저술했고 애국우민의 마음으로 《위방집략》 등을 썼다. 특지로 벼슬에 임명되었지만 나아가지 않은 채 포의로 일생을 마쳤다.




앞서 간단하게 저자에 대해 소개했듯이, 그의 작품을 보면 한평생 포의로서 척화에 대한 자신의 신념을 얼마나 굳건하게 지켰는지를 알 수 있다.

《영악록》에서도 물론 그의 생애 및 신념이 일정 부분 담겨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영악록》은 1897년 8월 16일 안성을 출발하여 10월 8일 귀향할 때까지의 총 51일 1700리 여정과 관련된 기록이다.

《영악록》은 <영악록서>와 <영악록>, <총론>, <[부]시편>, <[부]금강내외산정력> 순이며 <영악록서>는 금강산 유람 이후, 책을 엮으면서 쓴 글이다.


⊙ 안성에서 영평까지의 기록. (8월 16일 ~ 8월 27일)

⊙ 영평에서 장안사까지의 기록. (8월 28일 ~ 9월 1일)

⊙ 백천동을 지나 영원암에서 쉬다가 다시 장안사로 돌아오기까지의 기록. (9월 2일)

⊙ 장안사에서 백화암과 표훈사 및 정양사를 거쳐 다시 표훈사로 돌아오기까지의 기록. (9월 3일)

⊙ 표훈사에서 팔담과 보덕암을 지나 마하연암에 이르기까지의 기록. (9월 4일)

⊙ 마하연에서 원통암, 수미탑, 가섭봉을 지나 다시 마하연으로 돌아오기까지의 기록. (9월 5일)

⊙ 묘길상을 지나 안문령을 넘어 유점사에 이르기까지의 기록. (9월 6일)

⊙ 유점사에서 선담과 내원을 지나 고성에 이르기까지의 기록. (9월 7일 ~ 9월 8일)

⊙ 고성에서 신계사와 구룡연을 지나 만물초에 이르기까지의 기록. (9월 9일 ~ 9월 11일)

⊙ 만물초를 떠나 총석을 바라볼 때까지의 기록. (9월 12일 ~ 9월 17일)

⊙ 총석에서 안성으로 돌아오기까지의 기록. (9월 18일 ~ 10월 8일)


영악록서 瀛嶽錄序


평소 산과 물을 좋아했던 저자는 치악산, 칠보산, 속리산과 계룡산, 천마산과 수양산을 유람해 발자취를 남겼다고 하는데 가난과 병에 시달려 곳곳을 유람하지 못했다고 한다.

관동의 풍악산을 가보고 싶어 어느 가을에는 가파른 암벽을 밟고 잔도를 설치한 길을 건너 내금강과 외금강을 두루 유람했는데 당시 간략하게 기록해 두었던 것을 집으로 돌아와 베껴 쓰고서는 '영악록'이라 이름 지었다.




(저자의 입장에서 본) 안성에서 영평까지의 기록


시집 간 누이의 집에 잠시 들러 이틀을 머물고 다음 날 길을 나서 길을 포천에 도착했다.

포천에 도착하고선 최익현을 만났다.

꼭 오랫동안 만난 벗인 것마냥 최익현과 함께 그간 살아온 날들을 이야기하며 회포를 풀었다.

그리고 다음 날 길을 나서 영평에 도착했는데 그곳에서 살고 있는 이덕수 집에서 하루 묵게 되었다.

8월 25일, 창옥병을 거슬러 동쪽으로 2-3리 정도 가고 나니 산을 둘러 시내가 굽이쳐 흘러가니 그 경치가 매우 아름답고 시원했다.

또한, 시내 입구에 우뚝 서 있는 석벽을 보고 있으니 예전에 누군가에게 들었던 것처럼 활짝 트인 광경과 그윽한 광경을 동시에 만들어내 아름답고 오묘했다.

8월 26일, 아침 일찍 출발해 송경점에 도착했다.

그 길을 따라 20리 정도 간 후에 왼쪽으로 꺾어 쭉 걸어가니 화적연이 보였다.


예전에 바위의 모습이 볏짚을 쌓아둔 것 같으므로 '화적(볏가리)'이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들었는데, 큰 바위가 산에서 구불구불 내려와 물로 들어가려다가 갑자기 머리를 높이 쳐들고 마치 물을 건너려하는 것 같고, 꼭대기는 사슴 머리의 뿔처럼 갈라져 있었다. 산의 등과 옆구리 쪽에서 완만하게 나와 너럭바위가 평평하고 드넓으며 한 줄기 흰 선이 똥구멍에서 등뼈를 타고 올라간다. 바위의 좌우 옆구리 아래로 헤아릴 수 없는 깊은 연못이 있는데, 아마도 용이 사는 곳인가 싶다.


2-3리를 더 가 경허점에 도착했는데 그 길을 놔두고 동쪽으로 10여 리를 가니 삼부연이 나타났다.

물줄기가 길진 않지만 물과 바위가 굉장히 웅장했다.

물줄기가 용화동 입구에서 나와 서쪽으로 흐르다가 그 아래 바위를 만나 두 층의 못이 되는데 마치 검푸른 빛이 꼭 공포스럽게까지 느껴졌다.

아! 그 아래의 못까지를 아울러 삼부연이라 부른다고 한다.

시냇물을 따라 동쪽으로 좀 가니 산이 펼쳐보이고 평지가 나왔는데 뽕나무와 삼나무가 밭두렁을 이루었고 시야가 활짝 트여 이곳이야말로 무릉도원이 아닌가 싶었다.

그곳에는 호음 정사룡의 후손인 정기하가 거주하고 있어 잠시 들렀는데 하루 묵고 가라며 힘주어 말하는 통에 그 따뜻함을 이기지 못하고 그곳에서 하루를 묵게 되었다.






(저자의 입장에서 본) 마하연에서 원통암, 수미탑, 가섭봉을 지나 다시 마하연으로 돌아오기까지의 기록


9월 5일, 원통암으로 가기 위해 만폭동의 청학대 아래에서 왼쪽으로 길을 들어서 나아갔다.

조금 올라가니 바로 청호연이 나왔고 이어 용곡담이 보였다.

거센 물결이 내리 퍼붓는 모습을 보는데 그 둥근 것은 병 모양을 이루고 굽은 것은 용 모양을 이루었다.

용추 위쪽이 구류연이며 원통암이 거기에 있었다.

동북쪽으로 수미봉과 혈망봉, 망군봉 같은 봉우리도 보였다.

원통암에서 북쪽으로 향하면 만절담, 태상동, 자운담, 적룡담, 우화동, 청룡담이 보이는데 청호연, 용곡담과 함께 수미봉의 팔담이라고 칭한다.

아! 바위 모두에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

자운담에서 왼쪽으로 길을 나서니 진불암의 유허지가 나왔는데 들어갈수록 경치가 참 기이했다.

여기서부턴 돌 길이 꽤 험준했다. 이렇게 쭉 가보니 선암이 나왔다.

붉은 벼랑과 푸른 절벽이 좌우에서 빙 두르고 있어 선암 자리가 조망이 가장 좋은 곳이었다.

원통암을 지나 절벽 틈 사이를 따라 꽤 위로 올라가보니 수미암이 있었다.

수미암은 경치가 활짝 열려 있고 바위들이 꽤 가파랐다.

여의암이 내려다보였고 저멀리 능인봉과 다섯 수미탑이 앞쪽에 줄지어 있었다.

수미탑은 수미암에서 동쪽으로 꽤 올라가야 하는데 비탈진 돌길이 험하고 선암이 보인다.

켜켜이 쌓인 바위를 굽어보니 겹겹이 쌓인 영롱한 흰빛이 마치 민가에서 제기에 음식을 쌓아놓은 듯 했다.





바야흐로 SNS의 시대라, 우리는 여행지를 정하는 것부터 여행지의 명소, 맛집까지 인스타그램 혹은 유튜브 등을 통해 접한다.

예전같으면 해외여행은 물론 국내여행도 책을 통해 정보를 수집했지만 요새는 인터넷으로 쉽게 접하다보니 국내 여행지의 경우 책으로 정보 수집하는 수요도가 현저히 줄었다고 볼 수 있겠다.

해외 여행지의 경우는 (현재 코로나 상황을 감안하면) 간접적으로나마 여행하고 싶은 사람들과 더불어 곧 가려고 할 여행지라 생각하고 염두하며 보기 때문에 국내여행을 다룬 책과는 달리 그나마 수요도가 유지되고 있는 듯하다.

(여담이지만, 해외여행과 관련된 책을 굉장히 많이 읽는 편인데 이만큼 읽다보니 인기 있는 여행책들은 다 비결이 있었던 것 같다.)

유튜브에서 금강산 브이로그 한 편을 보는 듯한 느낌을 주고 싶어 간략하게 줄거리를 모아 짤막한 브이로그 영상을 만들까 했는데 소요시간이 길어지는 것 같아서 포기했다.

평소같으면 책에 대한 내용을 요약해 올리는데 이 책은 말그대로 여행일지라 요약할 것도 없어 대신 단답식으로 저자의 입장에서 본 일지를 옮겨보았다.


사계절의 절경을 흠뻑 느낄 수 있다는 금강산은 북한, 중국을 통해서나 볼 수 있으니 아마 앞으로도 볼 수 있는 가능성은 현저히 적다.

그러나 내게는 책이 있지 않는가! 책을 읽고 있으면 머릿 속에서 금강산의 절경이 한눈에 그려져 얼마나 아름다운 곳인지를 새삼 느낄 수 있었다.

등산은 못하지만 산은 좋아한다. 꼭 정상에 오르지 않더라도 산길만이라도 걷고 있으면 항상 보고 듣고 느끼던 것들이 어느새 잔잔함으로 가득 차 마음 속 짐이 쑤욱 내려간다.

깊게 들여마시고 싶은 맑은 공기 그리고 높이 뻗은 나무들이 주는 울창함과 그 속에서 들리는 짹짹 소리, 산 밑으로 졸졸 흐르는 물 소리까지! 산은 소리까지 완벽하다.

마지막으로 갔던 산이 청계산이었는데, 선선한 날씨를 벗 삼아 산행하기에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날이니 날을 한 번 잡아야 할 것만 같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붕붕툐툐 2021-10-28 19:3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노래 따라불렀어요!ㅎㅎㅎ 저도 금강산 너무 가보고 싶어요~ 얼른 종전 선언 되었으면!! 산은 진짜 완벽이죠! 정상이 아니면 어떻습니까~ 하나의책장님 날잡아 고고!!

하나의책장 2021-11-19 12:48   좋아요 0 | URL
저도 툐툐님만큼 등산 잘해봤으면ㅎㅎ
산 몇 번 안 가봤지만 그 몇 번 갔던 산들이 내려올 때 너무 비탈길이라 무서웠던 기억만 있어서 그런지 차라리 올라갈 때는 힘들어도 악착같이 올라갈 수 있는데 내려올 때는 그렇게 무섭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