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 어디에서 왔니 - 탄생 ㅣ 한국인 이야기
이어령 지음 / 파람북 / 2020년 2월
평점 :
♡
한국사의 고개를 넘어, 『너 어디에서 왔니』 ♡
『하나, 책과 마주하다』
인생 일장춘몽이 아닙니다. 인생 일장 한 토막 이야기인
거지요. 산속에서 길을 잃고 헤매다가 선녀와 신선을 만나 돌아온 나무꾼처럼 믿든 말든 이 세상에서는 한 번도 듣도 보도 못한 옛날이야기를 남기고
가는 거지요. 이것이 지금부터 내가 들려줄 ‘한국인 이야기’ 꼬부랑 열두 고개입니다. _이어령
뿌리에 대한 인문서를 읽으며 ‘역시 이어령 선생님이구나!’를
느꼈다.
여태껏 이어령 선생님의 책을 뭘 읽었나 북리스트를 확인해보니
『언어로 세운 집』, 『이어령의 지(知의 최전선)』, 『길을 묻다』, 『한국인의 손, 한국인의 마음』을 읽었었다.
그만큼 믿고 읽는 이어령 선생님이기에 이번에 출간된 『너 어디에서
왔니』는 읽기 전부터 기대감에 부풀었었다.
보통 한 나라 혹은 한 국가에 대한 역사를 배울 때면 대부분 주요
인물들의 중심으로 역사가 펼쳐져 나간다.
한국사는 어떨까?
저자는 한국의 역사는 ‘그’ 또는 ‘그’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말한다.
총 열두 고개(태명 고개, 배내 고개, 출산 고개, 삼신 고개,
기저귀 고개, 어부바 고개, 옹알이 고개, 돌잡이 고개, 세 살 고개, 나들이 고개, 호미 고개, 이야기 고개)로 각 고개마다 세 개에서 다섯
개의 꼬부랑길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태명인 쑥쑥이의 이야기로 시작해 이야기 고개를 넘어 꼬부랑 할머니가
꼬부랑 고개를 넘는 이야기로 이 책은 마무리된다.
말 그대로 하나의 탄생부터 마지막까지의 이야기를 담았다고 해야 할
것 같다.
우리는 대개 아이를 임신하게 되면 아이에게 불러줄 태명부터 짓게
된다.
초기에는 성별을 알 수 없으니 성별에 구애받지 않는 태명으로 태어나
이름 짓는 그 순간까지 불리게 되는데 이후 이름이 생겨도 애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요즘이야 쑥쑥이, 튼튼이, 행복이, 축복이, 사랑이같이 애정을 담아
태명을 짓지만 과거에는 개똥이, 삼순이, 말순이, 언년이, 끝순이로 불렀다고 한다. 덧붙여 그렇게 부른 태명이 이름으로까지 이어졌다고 한다.
그래서 우리네 할머니들이나 할아버지들을 보면 그런 이름들이 많은 것이다.
한자가 들어오기 전에는 당연히 우리말로 이름을 지었지만 우리의
고유명이 오늘날과 같이 한자명으로 바뀌게 된 것은 통일신라시대인 경덕왕 때부터라고 전해진다.
잠시 태명 고개에 대한 줄거리를 언급했는데 이렇듯 언어의 역사적인
부분에 대한 설명까지 첨부되어 있어서 읽는 내내 새로운 것에 대해 알아가는 재미가 있다.
개인적으로 정말 재미있게 읽었던 장을 꼽으라면 바로 이야기
고개이다.
호랑이 담배 먹던 시절의 이야기인데 문득 이 장을 읽고 나서
초등학교 때 읽었던 전래동화 전집이 읽고 싶어져 낑낑 대며 전집을 다 꺼내 책탑을 쌓아놓고 삼십 여분 이상을 앉아 다
읽어버렸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의 생활도 오롯이 기록되고 있는 역사의 한
부분이다.
책에 나온 이 모든 이야기도 우리 역사의 한 부분인데 문득 모르는
사람들도 많겠구나 싶었다.
어렸을 때, 동생과 나이차가 있어 부모님이 늦게 들어오시면 내가
재우곤 했었다.
그럴 때마다 항상 책을 읽어주거나 옛날이야기를 들려주곤 했는데 이
모든 이야기를 잘 기억해 놨다가 훗날 내가 아이를 낳으면 꼭 들려줘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