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수도사들에게는 ‘아케디아Akedia‘라고 부르는 상태가 있었다. 아케디아는 ‘정오의 악마‘라고 불리기도 했는데, 이 악마는 수도사들에게 어느 오후면 찾아와, 온 세상이 멈추어버린 것처럼 느끼게 만들었다. 창밖에 지나가는 구름, 저녁을 향해 가는 태양이 거의 정지 상태와 같이 느리게 흘렀다. 수도사들은 어느 순간 그 정체된 느낌을 더 이상 견딜수 없어 방 밖으로 뛰쳐나가고, 태양만을 쳐다보며, 자신을 둘러싼 수도 생활 전체에 염증을 느꼈다.

작은 일상이 부드러워질 수 있는 건 어쩌면 그러한 거대함과 연결되어 있을 때가 아닌가 싶다. 작은 것일수록 거대한 것과 만난다. 작은 기쁨일수록 거대한 것에 뿌리내리고 있다. 작은 마음들이 알고 보면 거대한 마음으로부터 온다. 그 사실을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자주 거대한 것을 잊는다. 그래서 거대한 것과 나를 이어주는 것들을 좋아한다. 음악, 영화, 문학, 풍경 중에서도 그런 거대함의 감각을 일깨워 주는것들을 말이다. 그런 것들과 함께 남은 생도 살아가고 싶다.

행복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발굴하거나 발명해야 하는 것 같다. 내가 아는, 행복을 누리는 모든 사람이 그렇다. 심지어 타고난 천성으로 모든 걸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행복을 느끼는 것처럼 보이는 사람도, 오래전부터 자기만의 행복을 발굴한 결과 그런 삶을 얻었다는 걸 알았다. 그에게는오랜 싸움의 과정이 있었다. 그리고 삶의 어딘가에 숨어 있던 행복을 끄집어내어 드러나게 하고, 삶 속에 안착시키는 법을 알게 되었다.

삶에 대한 근본적인 믿음, 자기 자신에 대한 신뢰 같은 것 이 키워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옛날보다 돈이 많아져서도, 잘생겨져서도, 대단한 성취를 이루었거나 사랑을 많이 받아서도 아니다. 그보다는, 어쩌면 내가 어떤 ‘시간‘을 만들어낼 수 있는 사람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그런 마음이 길러진다는 느낌이다.

인간이건 동물이건, 우리는 감각에서 시작되어 감각에서 끝난다. 처음 눈으로 부모를 확인하고 살결을 느끼며 삶은 시작된다. ‘엄마‘와 ‘아빠‘를 소리 내어 부르면서, 세상은 언어로 체계가 잡혀간다. 인생에 대단한 의미를 부여하고들 하지만, 실은 우리 삶의 가장 중요한 순간들은 동물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인간과 나누는 가장 중요한 순간 역시 동물과 나누는 그것과 그리 다를 게 없다. 바라보고, 만지고, 부르고, 함께 웃거나 울던 나날은 모두 감각의 기억이고, 그 장면들은 그 자체로 온전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9-09-03 21: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나의 책장님, 감기는 조금 어떠세요.
이번주에는 비가 계속 온다고 하는데, 바람이 조금 차갑습니다.
빨리 좋아지셨으면 좋겠어요.
편안한 밤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