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과학자의 글쓰기
최병관 지음 / 지식여행 / 2019년 3월
평점 :
품절
♡ 과학 글쓰기도 쉽게 쉽게, 『과학자의 글쓰기』 ♡
『하나, 책과 마주하다』
과학이라고 하면 천체 분야외에는 크게 관심이 가지 않아 등한시했던 것이 사실인데 요즘은 기본적인 과학상식이 교양상식에 포함되기 때문에 일부러 기본 개념에 대해 공부한 적이 있었다.
눈 한 번 깜빡하면 변하는 게 세상이다. 요즘은 세상이 너무 빠르게 변하기에 우리 또한 급변하는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그에 맞게 알고 이해해야 한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갖고있기에 우리가 알아야 하는 것이 바로 과학이다.
어느새 AI시대가 도래하였고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세상 또한 변하고 있다.
그래서 과학의 역할에 대해 잘 알지 않던 이들도 과학기술의 발전, 변화의 중요성에 대해 깨닫고 있다.
그런 말이 있다. 고등학교 2학년에 올라가기 전 문과, 이과 선택을 할 때 우스갯소리로 과학과 수학을 좋아하면 이과를 선택하면 되고 사회와 국어를 좋아하면 문과를 선택하면 된다고.
물론 예외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이공계열이나 과학자들은 글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결국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우리 사회는 글 쓰는 과학자를 찾고있지만 우리나라에는 아직 글 쓰는 과학자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저자는 글쓰기의 두려움과 공포를 겪은 과학자에게 '힘이 되는 '책'을 전해주고자 이 책을 썼다고 한다.
그렇다면 저자가 말하는 글쓰기 공부는 어떻게 해야 효율적인 것일까?
글쓰기 실력을 키우려면 우선은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연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글쓰기 공부를 20시간 한다면, 1년에 걸쳐서 조금씩해서는 효과를 볼 수 없으며, 실력이 좋아지지 않는다. 하지만 한두달만 집중적으로 공부하면 글쓰기 실력이 쑥쑥 늘어나는 것을 스스로도 느끼게 된다.
지금은 어떤 교육방식으로 가르치는지 잘 모르겠지만 학교다닐 때 방과 후 특강으로 논술 수업만 있었지 따로 글쓰기 교육은 갖춰지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어쨌든 저자가 말하는 단기 집중 연습에 동감하는 게 실제로 내가 어렸을 때 공부했던 방법이다.
어렸을 때도 독서하는 것을 좋아해서 무작정 동화책을 써보고싶다는 생각에 선생님께 찾아가 글은 어떻게 써야 하는지 방법을 물었더니 지금처럼 책을 많이 읽고 2시간씩 글쓰기 연습을 하면 실력이 늘 것이라고 머리를 쓰다듬으며 말해주셨던 게 기억이 난다.
그 때 고작 7살이였는데 무슨 오기인지 하루에 2시간씩 꼬박 앉아서 글을 썼는데 지금까지도 평일 밤이나 주말에 글을 쓰는 걸 보면 좋은 버릇이 된 것 같다.
단, 주의할 점은 과학 글쓰기는 인문적 글쓰기와는 다르다. 과학 글쓰기에 인문적 글쓰기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면 실패할 수 있다.
글쓰기의 목적부터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접근 방법을 달리해 차이점을 인지하고 글쓰기 공부를 해야한다.
또한, 과학 글쓰기는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객관적 사실을 올바르고 정확하게 전달해야 하며 글을 쓰는 최종적 목표가 무엇인지 생각해야 한다.
한 나라의 두드러진 경제적 성장을 얻고자 한다면 과학기술이 필요하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이 다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가 과학기술이었기 때문이다.
이제는 과학기술이 한 나라의 존망을 결정할 수 있는 핵심요인이 되었다.
우리나라의 미래 또한 과학기술에 달려있다. 과학 글쓰기 역시 미래를 만드는 하나의 요소이다.
더 나아가 말하자면 글쓰기는 미래가 될 수 있다. 변화하는 시대에 가장 필요한 덕목이 바로 '읽기'와 '쓰기'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