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의 눈으로 3.1운동을 보다
강경석 외 지음, 이기훈 기획 / 창비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3.1운동과 촛불, 『촛불의 눈으로 3.1운동을 보다』

 

 

 

 

 

『하나, 책과 마주하다』

 

올해는 꼭 3.1운동이 일어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100주년이였던만큼 대한민국 국민들 모두가 독립운동가들에게 애도하고 감사함을 표했다.

3.1운동이라고 하면 "대한독립만세"가 자연스레 떠오를텐데 대부분 전·후 역사에 대해 아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는 않다.

3.1운동은 독립을 위해 일본으로부터 대항한 민족적 항일운동으로 3.1운동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어서 민족적 항일운동 뿐만 아니라 공화정을 추구한 민주주의 운동이라 할 수 있다.

이전부터 3.1운동에 대한 명칭을 바꿔야 한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대개 우리는 3.1운동이라 지칭하고 있는데 학계에서는 3.1혁명으로 바꿀 것을 제안하고 있다. 운동과 혁명은 뜻하고 있는 바가 하늘과 땅 차이다.

식민지배를 받았던 조선인들이 오롯이 '대한독립'을 목표로 만세시위를 벌인 것인데 이 사건으로 인해 목표에 달성했다면 혹은 달성하지 않았더라도 역사적으로 대전환이 일어났기에 '혁명'으로 부를 수 있는 것이다.

또 일각에서는 정치적 변혁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혁명이란 용어를 쓰기에는 한계가 있어 '운동'이 적합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 문제는 앞으로 국민 모두가 유심히 생각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3.1운동이 일어나던 시점에 태극기를 만들고 배포하는 일이 쉽지 않아 '태극기의 물결'은 자주 등장하지 못했다고 한다.

밤새 만든 깃발이 고작 100여 개의 불과했고 실제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마구 뿌려질 정도로 양이 많지는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서울에서 내려온 [독립선언서]는 그만큼 귀하고 귀했다.

2월 10일 선천에서 열린 평북노회 마지막 날, 3월 1일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배포하여 만세시위를 벌이자는 지침이 전달되었다.

학생과 신도들이 모여 태극기를 만드는 일까지 진행되었으나 정작 선언서가 돡하지 않아 2월 28일 의주양실학교에 20여명의 주동자들이 모여 시위에 대한 준비사항을 점검하던 중 선언서 문제가 나오게 되었다. 그렇게 누군가 다른 곳에서 발표된 선언서를 내놓게 되었고 그 선언서가 바로 「2.8 독립선언서」였다. 실제 오후까지 선언서가 도착하지 못하자 미리 준비한 「2.8 독립선언서」 등사본을 배포하였다. (이후 200장의 선언서가 도착하였다.)

이후 독립을 외치며 만세를 부르는 인식이 확산되자 「독립선언서」의 중요성이 점차 감소하게 된다.

당시 국민 모두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들고 일어난 운동이지만 3.1운동은 여성들의 활동 또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학창 시절 근현대사를 배울 당시 기생들에 관한 내용은 배운 적이 없었다. 이후 대학생이 되어 역사책을 이것저것 보던 와중에 기생들 또한 만세를 외치며 독립운동을 했다는 몇 줄을 볼 수 있었다. 3.1운동은 유관순 뿐만 아니라 다른 여성 열사들의 순국 또한 기억해야 한다.

최은희는 애국부인회사건을 3.1운동의 일부로 파악하고 만세운동의 연속선상에서 『근역의 방향』을 집필했다. 『근역의 방향』 첫 면에는 "삼일 동지 중 대구 감옥생활 삼년간 같이한 친구들"이라는 제목과 함께 김마리아, 김영순, 백신영, 신의경, 이정숙, 이혜경, 유인경, 장선희, 황애덕 아홉 사람의 사진과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3.1운동과 촛불혁명은 꽤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혁명 이후 사회에서 억압받았던 사람들이 목소리를 냈다는 점이다.

3.1운동은 우리 민족에게 굉장히 큰 사건이다. 우리의 역사이기에 자세히 알아야하며 당시 독립운동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쳤던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가져야한다.

더 나아가 남과 북이 함께 겪었던 일인만큼 3.1운동을 발판 삼아 단단하고 강한 한반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