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이제 드디어 지쳤다. 맑스주의이든, 어떠한 주의이든, 모든 이론과의 결별을 선언해 버리자.

이론이란 무엇인가, 세계라는 것을 이해하기 위한 담론체계. 이론에 대한 학습은, 언제나 어떤 체계에 대한 나의 동일화, 점근선에 지나지 않았고, 이러한 이론 학습은 계속 '새로고침' 처럼 지리한 방식으로 나에게 이해에 대한 강박으로 다가왔다. 언제나 오지 않는 '최종심급'처럼, 이론에 대한 갈망은, 세계에 대한 이해는 늦춰지고 만다.

 

맑스주의와 결별하기 위해, 내가 떠올린 단 하나의 문장은, 바로 맑스의 포이에르바하의 테제 중, 가장 유명한, "이제까지 철학자들은 세상을 다양하게 해석해 왔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변혁하는 것이다'라는 문장이다. 지금껏 이는 나는 활동가들을 존중하는 데, '현장'에서만 결국 이론은 도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세상의 복잡다단하고 다층적 구조는 그 '속'에서 함께 부딛기며 창조되는 것이라는 말로만 이해해 왔다.

 

이론에 반해야 한다. 적어도, 학습과 이해, 어긋날 수 밖에 없는 동일화에 반해야 한다. 오히려 세상을 변혁해야 한다. 그 변혁은 세상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다. 세상은 이해될 수 없다. 내가 세상과 접속할 때, 내가 세상에 어떠한 변혁들을 던지고, 또 받는 적극적인 피드백만이 의미있다. 世上이든, 世想이든, 世象이든, 世狀이든  世界이든, 저 오래전 '아'와 '비아'의 투쟁이 아니라, 세상이 내 안에 들어와있고, 나 자체가 세상의 일부이다.

 

나로부터의 변혁과 세상에의 나아감이란, 결국 새로운 상상력, 새로운 접촉들, 조직으로만 가능하다.

이제 이론과의 동일화는 그만 끝내자. 그렇다면 대안은 무엇인가. 상상력이란 무엇인가.

일상에서의 유희, 창조, 새로운 마주침과 접속의 의미로서만의 공부.

 

석사과정 내내 지리하게 물었던, 이 공부가, 문학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라는 질문은, 미친 질문이다. 경제주의, 혁명주의, 소부르주아적 자책게임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예술을, 문학을, 새로운 상상력을 인정해야만 한다.

 

물론, 박민규의 "삼미슈퍼 스타즈"를 비판한 시선과 동일한 시선으로 이러한 '예술타령' 내지는 '상상력 타령'을 비난할 수 있다. 지금 '민중'은 굶어죽어가고 있고, 매년 생존권마저 지켜지지 않는 일터에서 착취 당하고 있는 사람들을 생각하라고. 내 그림자를 잡아끌어 뽑으려는 내 안의 어떤 초자아. 이의 해결은 이론으로, 세상에 대한 이해로 할 수 있다고 믿었던 것 자체가 자위다. 사실은 오래전부터 믿고 있지 않았는지도 모른다. 어디로든 나는 나아가야만 한다. 내가 모든 일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모든 일을 할 수 없다고 해서, 모든 일을 안 한다는 것도 아니다. 나는 새롭고 우의로운 만남과 접속들로, 내 주위에서부터 시작해서 우의로움을 확장시켜 나갈 뿐이다. 결국 이론들이란, 하나의 상상력으로 구조화된 체계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새로운 상상력이 확장될 수 있다면, 세상도 새롭게 재구조화될 수 있다고 믿는다. 나이브하게, 이것으로부터 출발한다.

 

내가 보기에는 이제 그것뿐이다. 패배주의도 아니고, 자학적 심정도 아니다. 그냥 인정할 뿐이다. 이제야 '어른'이 된 것인지, 아니면 드디어 학교를 2년간 떠나있더니 비학교적으로 사고하게 된 것인지도 모른다. 다만 자폐성을 경계하고, 끊임없이 즐겁게 접속되어 확장되기만을 바랄뿐.

 

세계를 이론화하여 이해하려 하지 않겠다. 다만 세계가 되어야 한다.

(나는 아직 이렇게 어리다. 분열적 시선/자아. 자기변명. 두려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흑흑.. 초등학생, 중학생을 대상으로.. 잘 팔려야 할 텐데..

먹고 살기 힘들다 ㅋㅋ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넷 2008-08-26 13: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번역도 하시나 봐요..ㅎㅎ;

재미있나요?^^

전호인 2008-08-26 1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많은 기대가 됩니다.
우리아이들에게도 적합한 책이겠군요
^*^

릴케 현상 2008-08-26 16: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조카들한테 사줄 만한 책인가요^^ 간만

기인 2008-08-26 1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모두들 오랫만입니다 :) ㅋㅋ 제 입으로 재미있다고 하기는 쫌 그렇고. 아이들이 좋아했으면 하는 바램이네요 ^^*
 

메일이 문제가 있는지, 답장을 해도 계속 답장이 안되네요.

kiinchong@hanmail.net 이 쪽 메일로 한번 메일 보내주세요. 메일 주소가 틀렸는지 계속 되돌아와요. :)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7-11-22 09: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기인 2007-11-22 07: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자상한 ㅇ님 :) 요즘 참 정신없이 지내요 -_-; 글은 somun.info에만 간간이 올리고 있을뿐이에요;; 역시 88만세대라 그런지, 비정규직에 밥만 겨우겨우 벌어먹고 사느냐고 바쁘답니다;; 쩝..

쿨룩쿨룩 2008-05-15 18: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문학을 잘 모르는,,,그래서,,,보기 딱한, 너절한 서평들. 한심하고, 가련하다. 공부를 폭넓게 하고, 겸손하게 써라,

기인 2008-05-16 09: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넵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쫌 열심히 재미있게 공부해봐야 하는데..
쿨룩쿨룩님 서평도 기대되네요^^ 많이배우겠습니다~
 

친구랑 이야기를 하다가, 그 친구도 드라마를 안 봐서 친구들과 이야기할 수가 없다고 한탄하던 중, 나름 '국문학도'이고 '문화연구'에 관심이 있다고 하는 나에게 '커피프린스'라는 드라마에 대해서 '얻어들은' 것들을 이야기해 주었습니다.

헐. 듣다보니 2000년대 유행을 한 '트랜디 드라마'를 몇 가지 떠올려보며 그들의 공통점을 생각해보니 '커피프린스', '파리의 연인', '궁' 등, 또 한쪽으로는 '허준', '대장금', '주몽', '불멸의 이순신' 등이 떠올려지더라고요. 또 다른 한편으로는 '내 이름은 김삼순', '옥탑방 고양이', '환상의 커플', '쩐의 전쟁', '풀하우스'등.

90년대 인기 드라마였던, '모래 시계', '사랑과 야망', '한지붕 세가족' 등과의 격차가 새삼 느껴집니다.

뭐랄까. 드라마를 보지도 않고, 흘러 들은 풍문만으로 짐작해보자면.

90년대는 80년대 이후 대문자 '역사/시대'와 삶의 겹쳐짐, 그 폭압성을 다루고 고민하는 드라마들이 제법 있었고, 이 때는 '국가'가 세련되지 못한 방식으로 대중의 삶에 개입하면서 마찰도 많았고, 대중도 이 '국가'가 삶에 간섭하는 힘을 끊임없이 자각할 수 밖에 없었던 것 같습니다. 대중과 함께 호흡하는 드라마는 또한 이를 반영했고요. 

반면 이제 2000년대 드라마들을 살펴보면, '지금-여기'와는 상당히 동떨어진 역사를 소재로 차용해서 새로운 상상력의 공간으로 만들어활용하는 역사 드라마가, 자본의 확대와 몇몇 '사극' 드라마의 인기와 함께 한편에 계속 만들어지고 있고, 또 '만화'같은 상상력 또는 만화에 원작을 둔 드라마들이 속속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제 대문자 '역사/시대'가 아니라 '일상'에서 느껴지는 문제들을 본격적으로 탐구한다기보다는 이를 소재적으로 차용하여 '차이'의 매력을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노처녀'/'동성애'/'사채업'/'혼전동거'/) 한편에서는 고전문학에서부터 계속 이어져내려오는 혼사장애담, 출생의 비밀, 환생, 첫사랑, 기억상실, 불치병 등의 classical한 소스도 들어가 있고요. 

이것에 대해 가치평가를 섣부르게 하지는 못하겠지요. 사실 처음부터 끝까지 본 드라마도 없고, 90/2000년대라고 딱 자를수도 없고 어떤 경향성만을 지적할 수 있을 뿐이겠지요. 요즘에는 친구의 추천으로 '연애시대'를 조금씩 보고 있는데, 꽤나 재미있는 면도 있기는 합니다.


'역사/시대'를 고민하는 것에서, '일상'을 사유하는 것으로 '세계'가 변화하고 있는 것만은 정말 사실인 것 같습니다. 대문자 '역사/시대'가 아닌 '일상'이야말로 '역사'이고 '시대'이다라는 의미라면 동의할 수 있겠지요. 국가는 세련된 방식으로 대중의 삶에 개입하고 있거나, 개입하는 듯 보이게 선전선동을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최근 FTA나 이랜드 사태를 보면, '본질'이 달라진 것이 있을까 싶지만, 이에 반응하고 대응하는 각 주체들의 반응은 여러모로 달라진 것은 아닐까 싶습니다. 

'역사/시대'로 '일상'을 억압했던 것이 80년대의 '과오'였다고 누군가 지적할 수 있다면, '일상'이 곧 '역사/시대'이다라는 인식이 없이는 21세기는 희망이 없는 시대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아직도, '역사/시대'에 대해, '진리'나 '정의'에 대해 '인간'에 대해, '자유', '평등', '민주주의' 등 이러한 일반명사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싶은 마음입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LAYLA 2007-08-23 05: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 잘봤어요 ^,^ 커프는 별 생각없었는데 작가의 인터뷰를 보니 동성애에 대해 새롭게 바라보고 싶었다고 하더군요. 그러고 나서 다시보니 또 드라마가 새롭게 보이데요. 역사,정의,진리까지는 힘들지만 조금씩 부드럽게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는 드라마의 힘에 새삼 놀라곤 해요

기인 2007-08-23 07: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넹 ㅎㅎ 사실 참 그게 힘든 것 같아요. 적당한 '새로움'을 통해서만 인기를 끌 수 있다는 것이.. 좋은 대중드라마란 그런 것이겠지요..

도서관여행자 2007-10-07 13: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커피프린스... 저는 이 드라마를 근대성, 성 등의 주제로 접근해서 과제를 해야하는데, 시청하지 않아서 난감하네요^^; 특히 전 수용자의 반응과 언론 기사 등을 살펴보는데, 글 잘 읽었습니다.

기인 2007-10-07 16: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그럼 시청하셔야죠 :) somun.info 에도 커피프린스 관련 기사 있으니 한번 봐보세용~
 

아, 이번에 참 큰 결심-_-;을 나름했습니다.

지금까지 뭔가 '읽어야 하는 것'들에 매진해서 빡빡한 삶을 살아왔다고 한다면,

이제 '읽고 싶은 것'을 쫌 읽어야 하겠다고, '공부하고 싶은 것'을 해야 겠다는 생각이 퍼뜩 들었습니다.


그래서 하던 세미나도 하나 쉬고(물론 대신 세개가 늘었지만 -_-;;; 영어, 일어, 그리고 국제정치학.... ㅡ.,ㅡ; )

본격적으로 제가 관심을 갖고 있는 '주체' 쪽을 디벼보려고 합니다.

 

항상 읽고 싶은 책이 생기면 세미나를 하는 등 했는데, 그런짓(?) 쫌 그만하고, 그냥 공부하고 싶은 분야를 디벼보려고 합니다.

맨땅에 헤딩해 본지가 너무 오래된 것 같아서요. 
 

우선 좋은 길잡이가 될만한 책으로는
 

윤호녕 외, <주체 개념 비판>, 서울대출판부, 1999 (데리다, 라캉, 알튀세, 푸코)

어느 정도는 친숙한 4사상가이지만, 이것을 '주체'로 풀어낸 부분이 역시 흥미롭네요.

 

지젝, <까다로운 주체>, 이성민, b, 2005.

한국에서 '빵'처럼 팔려나가는 지젝...

 

이외에 '주체'관련 읽어볼 만한 책 추천해주세요 ^^ 우선은 이 둘을 읽어볼 생각입니다...

 

음.. 제 관심사는, '주체'란 무엇일까.. 입니다.. 애매모호한데, 이 개념 자체가 성립가능할까라는 의문.

이는 정치, 도덕 등과 관련해서도 의문이고, 계몽, 소통 등과도 관련해서 의문입니다.

 

이를 어떻게든 뚫어보겠습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eld 2007-07-07 00: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푸코는 『성의 역사(Histoire de la sexualité)』 1권과 2권 사이에서 일종의 '전회'라 이름할 노선 수정을 하고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주체 문제로의 전회', '미학적[이라 이름할 수 있는] 자기-관리의 윤리학으로의 전회' 혹은 '자기의 테크놀로지 문제로의 전회' 등으로 불리는 논의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이미 수정된 국역본도 나와 있는 『성의 역사』 2, 3권 외에도, 푸코의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의 하나인 『주체의 해석학(L'herméneutique du sujet)』의 일독을 권하는 바인데, 이 책을 통해 이러한 '전회'의 주제와 관련된 푸코의 보다 생생한 논의를 만날 수 있다 (이 역시 얼마 전에 번역된 것으로 알고 있다)>> (길가던 자가 우연히 양쪽 서재를 연차적으로 보다가...)
http://blog.aladdin.co.kr/sinthome/1384762

기인 2007-07-07 07: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고맙습니당~~
근데 번역이 어떤지 잘 모르겠네요. 아무 리뷰도 없어서 ^^; 전공자가 하셨으니까 믿고 그것도 읽어볼께요 ㅎ 안 그래도 최근에 이정우 선생님 푸코 관련 글 읽었는데 재미있더라고요. '주체화'라는 것.. ㅎ

바라 2007-07-11 23: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말씀하신 주제의 경우 강영안 교수의 '주체는 죽었는가', 김상봉 교수의 '서로 주체성의 이념', '자기의식과 존재사유' 정도가 생각나네요. 데카르트부터 시작해서 칸트, 헤겔의 독일관념론로 이어지는 근대철학사에서의 주체 개념을 보기에는 위의 책들이 적절하지 않을까 싶네요. 위의 두 책들은 또 현대프랑스철학을 많이 참조하는 책들이니까 벵상 데콩브의 '동일자와 타자'나 김형효 교수의 '구조주의의 사유 체계와 사상' 같은 입문서를 추가로 읽어보셔도 괜찮을 듯. 물론 '까다로운 주체'에 나오는 발리바르, 랑시에르, 바디우, 버틀러 같은 비교적 최근의(?) 사람들은 나오지 않지만요;; 이미 읽어보신 책들도 있을 거 같지만 제목을 '문의'라고 다셨길래 주제넘은 참견을 해봅니다 쿨럭;; 아 또 하나 얼마전에 구해보고 싶었지만 도서관에서는 열람만 가능해서 실패한 Who comes after the subject? / edited by Eduardo Cadava, Peter Connor, Jean-Luc Nancy, New York : Routledge, 1991도 좋을 것 같네요. 저자들이 정말 쟁쟁하네요. 다음은 목차입니다.
Another experience of the question, or experiencing the question other-wise / Sylviane Agacinski -- On a finally objectless subject / Alain Badiou -- Citizen subject / Etienne Balibar -- Who? / Maurice Blanchot -- The Freudian subject, from politics to ethics / Mikkel Borch-Jacobsen -- Voice of conscience and call of being / Jean-François Courtine -- A philosophical concept ... / Giles Deleuze -- "Eating well," or the calculation of the subject : an interview with Jacques Derrida / Jacques Derrida -- Apropos of the "Critique of the subject" and of the critique of this critique / Vincent Descombes -- Being and the living / Didier Franck -- Who comes after the subject? / Gérard Granel -- The critique of the subject / Michel Henry. Love between us / Luce Irigaray -- Descartes entrapped / Sarah Kofman -- The response of Ulysses / Philippe Lacoue-Labarthe -- Philosophy and awakening / Emmanuel Levinas -- Sensus communis : the subject in statu nascendi / Jean-François Lyotard -- L'interloqué / Jean-Luc Marion -- After what / Jacques Ranci'ere.

기인 2007-07-14 2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옷 감사합니다. :) 계획 세우는데 많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ㅎㅎ
우선은 쫌 쉬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