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나라에서 돌아온 스파이 동서 미스터리 북스 41
존 르 카레 지음, 임영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르카레라는 이름을 알게 된 것은 영화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 때문이었다. 그야말로 초호화캐스팅이었던 그 영화는 일단 주연 배우들의 연기만으로도 본전을 뽑는다는 느낌이 들 정도였다. 그러니까 내용을 떠나서(내용이 별로라는 이야기가 아니다) 눈빛과 말투만 따라가도 영화의 특유의 분위기에 젖어드는 느낌이 좋았는데, 그 떄문에 영화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다 이 책이 르카레라는 소설가의 소설을 바탕으로 하며, 그 소설가는 이 영화의 원작이 되는 소설 말고도 수많은 스파이 소설을 썼고, 실제 그 유명한 MI6에서 일을 했다는 정보도 접하게 되었다. 그 때문에 필명을 썼고, 지금도 그가 한 일들은 기밀에 붙여져 있다는 사실도 함께.


이 소설도 영상화된 적이 있는 것 같다. 참고로 이 소설이 대박을 치면서 작가는 사표를 썼고, 그 전까지는 영국 정부를 위해서 일을 하며 작가 일을 병행했으나 이 소설 이후로는 전업 작가의 길로 접어든다고 한다. 자녀가 3명이라 부양할 가족 때문에 그랬다는 이야기가 있다. 아마 혼자였으며 진작에 사표를 썼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국가 기밀을 다루는 정보원이라기보다는 짠내나는 직장인의 느낌이 나는데, 실제로 그의 소설 속 스파이들도 그런 느낌이 들 때가 많다. 소설도 등장인물들도 기름기 없이 건조하다.


당연히 반전이 있는데, 사실 이 소설의 반전을 어느 정도 지점에서 눈치를 챘던 것 같다. 정확히 어느 지점인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꽤 빨리. 왜냐하면 초반에 죽은 사람에 대한 대화 부분을 기억한다면, 이 똑같은 실수를 주인공이 생각보다 빨리 저지른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책의 어느 한 부분도 작가가 허투루 쓰지는 않았을테니, 그렇다면 앞의 그 부분은 결말을 암시하는 복선인가? 하는 생각이 들 수 밖에 없다. 물론 어떤 경로로 거기까지 가는지가 이 소설의 매력이기는 한데, 그 부분은 개인적인 호불호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것은 소설의 특징에서 기인했을 수도 있고, 여러 블로거들이 지적한 대로 이 책의 번역 문제일 수도 있고, 아니면 그냥 나의 현재 상태에서 기인했을 수도 있다. 아마도 지금이 아닌 다른 어느 시점에서 이 책을 읽는다면 갑자기 흥미롭게 달려들 수도 있겠지만. 지금의 내 평가는 딱 여기까지이다. 뭐랄까, 소설 속 인물들이 적어도 지금의 나에게는 그렇게 매력적이지는 않다, 이 인물들의 앞으로의 이야기가 미치도록 궁금하다, 이런 느낌이 들지 않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리엔트 특급 살인 동서 미스터리 북스 40
애거서 크리스티 지음, 강남주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월
평점 :
품절


크리스티의 소설 중 딱 한 개의 소설에만 별 6개를 허용하겠다고 한다면 나는 이 소설로 하겠다. 고전의 반열에 오른 소설. 그렇게 유명하기에 그 트릭이 다 알려져 있는 최근까지도 영상화가 되는 소설. 끊임없이 오마주되는 소설. 개인적으로 크리스티의 모든 소설 중 가장 좋아하고, 아직까지 모든 추리 소설을 통틀어서 가장 좋아하는 소설이기도 하다. 그냥 이 소설은 계속 읽는 것이 답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의 동서 미스터리 북스 39
프랜시스 아일즈 지음, 유영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월
평점 :
품절


살의를 인터넷으로 찾으면 murderous intent 정도로 뜬다.

이 책의 원제인 Malice Aforethought 는 법적인 용어라고 한다. 

그러니까 살의, 라기보다는 계획적 범행 의사 정도가 더 정확한 용어일텐데, 결국 이 책은 한 사람이 살의를 품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계획적 범행 의사가 있었는지 여부가 중요한 것이다. 뒤에 보면 재판 과정도 나온다.


범인 주변의 누군가들이 계속 죽어가는데, 그 사람들은 자살한 것도 아니고 살해된 것도 아니고 그야말로 사고사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사고사로 가기까지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차곡차곡 겹쳐서 일어났으며, 그 요인 중 일부, 혹은 상당 부분, 혹은 결과적으로 전부에 범인이 개입을 했다는 합리적인 의심이 있다는 것. 그러나 그것이 계획적인 범행 의사가 아니라 우연일 뿐이었다는 것을 입증하고 반박당하는 과정이 후반부에 펼쳐진다. 그럼 전반부는? 마치 망원경으로는 평화롭고 한가한 영국 전원의 모습으로 보이기는 하는데, 현미경을 들이대면 추악함과 비루함이 넘실거린다. 저절로 미스 마플께서 오신 세인트메리미드 마을을 떠올리게 된다.


처음 들어보는 작가의 처음 들어보는 작품이었는데 상당히 좋았다. 군더더기 하나 없이 발단부터 결말까지 깔끔하고, 범인을 비롯하여 살해당하는 사람들이나 주변 인물들의 심리 묘사도 부자연스럽게 느껴지는 부분이 없다. 소설 속 특유의 분위기, 안온하지만 뭔가 조용하게 불행한 일이 스물스물 기어나오는 것 같은 그 느낌도 참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X의 비극 동서 미스터리 북스 38
엘러리 퀸 지음, 이가형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작은 너무 연극적이다.


엘러리 퀸도 그런 부분이 없지는 않지만 버너비 로스는 대놓고 더하다.

이렇게 연극적으로 멋을 부리고 싶어서 일부러 별도의 부캐 작가를 만든 다음, 그 작가가 쓰는 소설의 탐정을 은퇴한 연극배우로 설정한 것이 아닐까 싶을 정도이다.


좋아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은 알고 있다. 그러나 내 스타일은 아니다.


크림과 치즈와 과일로 한껏 치장해 놓은 케이크를 먹는 느낌이다. 맛은 있는데, 계속 먹다보면 어느 순간 한계에 부딪치는 느낌. 다시 맛있게 먹을 수 있으려면 시간이 조금 흘러야 한다.


때로는 과감히 생략할 부분은 생략해서 독자로 하여금 상상하는 재미도 주어야 하는데, 하나부터 열까지 꼼꼼하게 전부 다 작가가 설명해놓으려고 하니 소화가 안 되는 부분이 있는 것 같다.


물론 이것은 나의 문제일 수도 있다. 어쨌든 내 취향은 아니다.


굳이 고르라면 나는 건조한 쪽이 좋다. 하드보일드 쪽을 더 좋아한다. 이건 그냥 취향의 문제이겠지.


드루리 레인이 등장하는 부분까지 읽은 나의 감상은 이랬다. 


참 신기하게도, 앞에만 그러고 읽으면 읽을 수록 속도감이 붙고 담백해지는 느낌이 들었다.

물론 상대적으로 담백하다는 거다.

주인공이 변장을 하고 활약하는 설정은 홈즈에서도 루팡에서도 나온다. 아예 여기에서는 연극 배우라고 설정을 했고, 자신의 정체를 감추고 가상의 인물을 만들어내는 정도가 아니라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람으로 변장하여 그 사람의 직장 동료까지 속이는 장면도 있는데... 

이 설정은 좀 너무한 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


뭐랄까 미스터리 활극 같은 그런 느낌이다.


순서상으로는 y의 비극보다 이 책이 앞서지만, 동서미스터리북스 순서로는y의 비극이 앞에 있어서 그 책을 먼저 읽었는데, 그 책도 제1막 제1장... 이런 식으로 목차를 구분해 놓았다.

마지막에는 무대 뒤에서 라는 부분도 있었고. 


그러고보니 이 소설 다음의 y의 비극은 그저 처음부터 감탄, 감탄, 감탄의 연발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렇게 정상의 작가라도 소설을 쓰면 쓸수록 진화할 수 있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아무튼 y의 비극은 말할 것도 없이 최고이고, 이 소설도 y까지는 아니어도 훌륭하고. z 가 궁금하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죽음의 키스 동서 미스터리 북스 37
아이라 레빈 지음, 남정현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짜 별 기대 없이 봤다가 우와우와 하면서 봤다.


제 1부 도로시

제 2부 엘렌

제 3부 마리온


왜 목차가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지, 또 왜 이렇게 되어야만 하는지 다 읽어보면 알 수 있다.

그리고 반전과... 또 반전과...

뒤통수를 치려다가 앞통수를 대놓고 치는 것 같은 느낌도 있고.


23살에 이런 소설을 쓰다니 천재다 천재.


이 소설로 에드거 앨런 포 신인상을 수상했다고 하는데 그럴 만 하다.


로즈메리의 아기, 스텝포드 와이프, 둘 다 영화로만 알고 있었는데 원작 소설이 있었고 이 사람이 원작의 작가였다니.


생애를 죽 훑어보니 화려하게 데뷔해서 천재라는 소리를 들었지만 이후 이 소설을 넘어서는 소설은 쓰지 못했다는 평이 많은 것 같다. 


그러고 보면 아가사 크리스티 같은 작가는 참 대단한 작가라는 생각이 드는데, 어떻게 모든 작가가 그렇게 될 수 있겠나. 

한 손으로 꼽을 수 있는 수의 작품이어도 길이길이 남을 수작을 남기면 되는 것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