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즌이 시즌인지라 어느 반이든 메리 크리스마스다. 앞과 뒤에 크리스마스 트리. 보통 가정집에 설치하는 것보다 더 큰 트리가 설치된 반이 있는가 하면, 검정 도화지에 눈사람을 꾸미고. 여기 저기 산타 할아버지. 창밖을 보면 흰 눈이 내렸고.
종이접기 수업을 자주하는 1반에서는 지지난 시간에는 초록색, 빨간색 색종이로 작은 크리스마스 리스를 만들었고, 지난 시간에는 금색, 은색 색종이로 눈꽃송이를 만들었다. 교실 뒤쪽 검은색 바탕에 크리스마스 리스와 금색 은색 눈꽃송이가 예쁘게 장식될 모양이다. 삼각형 모양으로 세 번 접어서 가위질 세 번 하고 나면 만들어지는 간단한 과정이지만, 야무진 아이들 사이사이로 '선생님~!'을 부르는 아이들이 있어서 한 시간 내내 나는 참 바빴고, 더웠다. 그 날 아침, 비상 계엄이 해제된 아침에, 눈꽃송이의 '자르는 선'을 그려주는 사이 사이, 내 마음은 얼마나 고요했던가. 색종이의 끝부분을 뾰족하게 맞추고, 접은 선을 꼭꼭 눌러주고. 그리고 '끝까지'가 아니라 접어둔 선까지만 가위질해야 한다고 말하는 그 시간들은. '선생님, 망했어요.'라고 말하는 아이에게 '아, 이 끝까지 잘랐네. 괜찮아, 다시 해보자. 이 색종이로 다시 해보자.'고 말할 때의 나는 오로지 종이접기에만 집중했다. 간밤의 일들을 말할 필요가 없는 시간들.
나는, 무엇보다 내가 중요한 사람이라 나에 대해 생각한다. 상황의 변화나 조건의 변동이 아니라, 그냥 나 자신에 대해 생각한다. 상황의 변화와 조건의 변동에 대한 나의 생각. 나의 반응, 나의 감정, 나의 분노, 나의 억울함, 나의... 그리고 또 생각한다. 나는 과한가. 나의 정치몰입은 과한가. 나는 과한가.
민주당의 폭거를 국민들에게 알리기 위해 비상 계엄을 선포했다는 대통령과 그 대통령의 탄핵 반대를 당론으로 정한 여당을 보면서, 나는 내 기도의 방향을 바꿨다. 하나님, 하나님의 공의가 드러나게 해 주세요, 에서 하나님, 이 나라에 전쟁이 일어나지 않도록 막아주세요, 라고. 북한군 관련 작전인줄 알고 출동했던 특전사 군인들이 헬기에서 내려보니 국회이고, 뉴스 듣고 뛰쳐나온 시민들을 마주해서 당황해 뒤로 밀려나는 장면들이 아직도 실감나지 않는 이 순간에. 나는 기도를 한다. 전쟁이 일어나지 않기를, 우리가 그 파국의 소용돌이에 말려들지 않기를.
행복한 일상을 바라지 않는 사람이 어디 있을까. 아침 라디오에서 강아지와 산책나왔던 애청자가 신해철의 <그런 슬픈 표정 하지 말아요>를 신청하고 그 노래를 같이 듣는 그런 일상을. 원하지 않는 사람이 어디 있을까.
이 세상 살아가는 이 짧은 순간에도
우린 얼마나 서로를 아쉬워하는지
뒤돌아 바라보면 우린 아주 먼길을 걸어 왔네
조금은 야위어진 그대의 얼굴모습
빗길 속을 걸어가며 가슴 아팠네
얼마나 아파해야
우리 작은 소원 이뤄질까.
얼마나 아파해야 우리 작은 소원 이뤄질까.
얼마나 아파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