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션과 논픽션 중 어느 것이 더 현실을 반영하는가. 리얼한 두 개의 상황 중, 어느 상황에 더 몰입하는가. 누구의 불행이 더 큰가. 새 소설을 시작하기 전에는 한숨을 고르며 마음의 준비를 한다. 소설을 읽는 일이, 픽션을 읽는 일이 내게는 훨씬 더 큰 각오를 필요로 한다.
아침에는 <Lessons in chemistry>를 읽었다. 움베르트 에코는 아니지만 에코의 마음을 이해하니까. (“제 머릿속에는 아직도 낮에 소설을 읽는 것은 지나치게 쾌락을 좇는 것이라고 말해주는 가느다란 목소리가 있지 않나 생각한답니다.” <작가란 무엇인가 1>, 45쪽) 아침에 소설을 읽는 일은 너무 큰 쾌락이니까. 아침에 소설을 읽는 건 너무 호사스러운 일이니까. 그래서 나도 아침에는 소설을 읽지 않는데, 그래도 소설을 읽고 싶을 때는 영어로 읽는다. 영어=공부라는 공식하에, 쾌락의 일부를 내어놓고 다른 언어가 선사하는 난해함을 껴안는다. 그렇게 어제 아침에는 이 책을 읽었다.
아무런 정보 없이 시작한 읽기. 당차고 야무진 주인공 앞에 시련이 닥쳐온다. 아, 아니. 잠깐만요. 아니, 벌써 이렇게 큰 고난이 닥쳐오면 이 주인공은 어떻게 살란 말이에요. 에? 아니 잠깐만요. 고난에 고난, 난관에 난관을 거듭하던 주인공에게 찾아온 인생 최대의 위기. 그녀가 아이를 낳는다. 연신 울어대는 아기, 어찌할 줄 모르는 초보엄마 앞에 구원자가 나타난다. 길 건너편에 사는 나이 지긋한 아주머니. 죄책감에 찌든 초보엄마에게 과거에 자신에게 일어났던 일을 이야기해 준다.
"Years ago, when I was a new mother, Mr. Sloane was away on business and a horrible man broke into the house and said if I didn't give him all our money, he'd take the baby. I hadn't slept or showered in four days, hadn't combed my hair for at least a week, hadn't sat down in I don't know how long. So I said, 'You want the baby? Here." She shifted Madeline to the other arm. "Never seen a grown man run so fast." (145p)
엄마에게서 전해 들은 외할머니의 이야기와 똑같다. 첫딸을 낳은 후, 빽빽 울어대는 아이를 보며 어찌할 줄 몰랐다는 20대 초반의 외할머니. 저 아이가 콱 죽어버렸으면 했다는 외할머니. 그 후로 딸 셋과 아들 셋을 더 낳은 외할머니, 젊은 시절의 외할머니.
친정과 시댁, 그에 더해 친구들까지. 친구들은 지금까지도 우리집에 놀러 왔다가(큰애를 데리고 외출하기 어려운 나를 위한 가정방문) 큰애와 내가 경쟁적으로 친구에게 말을 걸려고 했던 일들을 이야기하며 웃는다. 나는 다급했고, 큰애는 절실했다. 친정과 시댁에서 그토록 전폭적으로 양육 지원을 해주셨는데도 그랬다. 자주 웃었고 큰 소리로 노래했지만, 힘들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살았다. 그 시간을 떠올릴 때의 암담함은 여전하다. 지금도 그렇지만. 그때의 나는, 미숙한 엄마였다.
나처럼 미숙한 엄마가 여기 나온다. 나처럼 미숙한데, 도와줄 사람이 없다. 내 몸도 천근만근인데, 내 몸 건사하기도 바쁜데, 쉬지 않고 울어대는 아이가 옆에 있다. 이 아이는 도대체 누구이며, 언제, 도대체 어떻게 여기에 왔는가. 왜, 내 옆에 있는가. 주인공의 고단함이 너무나도 가까워 나는 도망치기로 결심한다. 그래서 펼친 책은 <사랑에 따라온 의혹들>.
만만치 않게 극적이고 그리고 암담한 상황이 밀려온다. 엄마, 엄마란 누구인가. 도대체 누구이기에 이 고통을 엄마에게, 엄마의 이름을 가진 여성에게, 엄마라 불리는 여성에게 전가하는가.
일하는 엄마라서 햄이나 소시지를 너무 자주 먹였다, 일하는 엄마라서 영상을 너무 많이 보여줘 전자파에 과도하게 노출시켰다. 일하는 엄마라 시간이 없어 아이를 매일같이 재촉하며 압박을 줬다. 일하는 엄마라서 아이의 정서를 세심하게 보살피지 못하고 스트레스를 줬다. 일하는 엄마라서 아이의 이상징후를 제때 발견하지 못했다. 임신하고도 정신 못 차리고 체중 증가에 신경 쓰며 식단을 관리했다. 대학 때부터 술을 너무 많이 마셔서 염색체 이상 소인을 물려줬다 등등 아픈 아이를 낳고 기른 엄마의 잘못은 끝이 없었다. 가임여성이 된2차 성징 직후로 거슬러 올라가 그때부터 지금까지의 삶을조각조각 분해해서 살펴봐야 할 판이다. 원인을 모르니 절망에서 벗어나기도 어렵다. 누가 재난을 초래했는지 알 수 없으니 복수할 대상도 없다. 결국 다시 엄마에게로, 나에게로 돌아온다. (39쪽)
<숭배와 혐오>를 읽었을 때였다. 책 속 문장들이 거부감 없이 이해될 때, 혼란스러웠다. 가족 간에는 허물을 보기 쉽고, ‘지극히’ 예의를 갖추는 일이 어렵다. 이런저런 갈등과 다툼이 생길 때, 사람들이 흔히 저지르는 실수는 ‘누군가’를 원망하는 일이다. 이게 누구의 잘못, 또는 누구 때문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우리 집에서는 그게 ‘나 때문’. ‘엄마 때문’이라는 말이 자주 들렸는데, 이건 나의 개인적인 부주의(식구들 말을 주의 깊게 듣지 않는 편, 잘 기억하지 못하는 편)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내가 ‘일’하지 ‘않는’ 엄마, 사회적인 일을 하지 ‘않는’ 엄마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아니었다. 다른 책을 읽던 중에, 엄마가 직업을 갖고 있는 경우에도, 엄마가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자리에 있는 사람이라도, 가족 구성원들의 ‘원망’의 대상은 같은 성별, 같은 이름이라는 걸 알았다. 엄마였다.
어머니는 언제나 실패했다. 내 주장의 핵심은 그러한 실패가 재앙이 아니라 정상적인 것이며 실패 역시 어머니에게 맡겨진 임무의 일부라는 점이다. 어머니는 우리가 세상에 들어서는 입구이기에 너무도 당연하다는 듯 사회적 퇴보를 막는 신성한 임무를 짊어지게 된다. 현대가족에서 이러한 경향은 사회적으로 진화해 모든 일의 책임을 어머니에게 묻는 방식으로 등장한다. 그 결과 어머니는 세상의 온갖 병폐 뿐 아니라 개인의 삶에서 불가피한 실패 뒤에 찾아오기 마련인 분노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죄책감을 갖게 된다. (41쪽)
그러니깐 실패의 원인으로 여성, 어머니가 주목받는 것이 아니라, 실패가 어머니의 임무 중 일부라는 사실이, 우리의 현실이다. 픽션과 논픽션, 모두에서 그렇다. 실패는 엄마가 수행하는 임무의 하나이고, ‘엄마’를 탓함으로써 다른 이들은 그 ‘죄’에서 벗어난다. 탈출한다.
나는 둘째를 낳은 후, 아주 조금 철이 들었는데, 실천하려고 다짐한 일 중 하나가 엄마에게 짜증 내지 않는 거였다. 구체적으로는 ‘엄마에게 큰 소리로 말하지 않기’가 내 목표였다. 항상 잘 지켜지는 건 아니고, 안 될 때도 많지만, 내 수준에서는 노력하고 또 노력하고 있다. 엄마에게 짜증 내지 않기. 실패의 원인이 엄마라고 생각하지 않기. 엄마의 잘못이 아닌 일에 엄마를 원망하지 않기. 다정하게 말하기. 전화 자주 하기. 카톡 자주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