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아이가 아홉 살 정도 되었을 때의 일이다. 어렸을 때부터 큰아이를 가까이에서 지켜보시고 많은 시간을 보내셨던 시아버지에게 이제 제법 커버린 큰아이가 멀게 느껴지는 순간이 있었나 보다. 우리 **이가 어려서는 안 그랬는데. 우리 **이가 할아버지 옆에 잘 왔었는데, 하시며 아쉬운 마음을 표현하시는 거다. “아버님, 이제 **이가 많이 컸어요. 제 곁에도 안 오려고 해요.” 이렇게 시작을 하니, 나도 모르게 그즈음 읽었던 육아서의 어떤 문장들이 떠오랐다.
“아버님, 아이의 몸을 구성하는 세포가 각각 다르기는 하지만 장세포는 한두 달 안에 바뀌고, 다른 세포들도 순차적으로 바뀌잖아요. 6-7년 안에 모든 세포가 다른 세포로 대체돼요. 이 아이는 아버님이 5년 전에 안고 계시던 그 아이가 아니에요.”라고 말할 수는 없고. 그래서 “아버님, 그때는 얘가 어렸고, 이제 진짜 자기 성격이 나오나 봐요. 근데 (사람을 별로 안 좋아하고 시크해 보이는) 이게, 얘에요.” 변했다고 생각하는 아버님도, 현재가 아이의 ‘본 모습’이라고 말한 나도 틀렸다. 아이는 그 아이가 아니고, 이 아이는 또 변해버린다. 같은 이름, 과거의 사진으로 아이를 ‘잡아 두려고’ 하지만, 아니다. 이 아이는 그 아이가 아니고, 이 아이는 지금의 내 아이와는 다른 ‘사람’이다. 본질적인 정체성이라는 건 없다, 우리 모두 알다시피.
이 책에서 제일 먼저 밑줄을 긋게 되는 단어는 ‘횡단-신체성trans-corporeality’(18)이다.
인간을 자연의 정복자로, 군림하는 주인으로 인식하는 세계 속에서 자연 파괴와 환경 오염은 인간 ‘도구’의 손실이며, 그 결과는 인간에게 ‘해악’으로 작동한다. 문명의 대표자이자 유일한 승계자인 인간에게 자연은 자원으로서’만’ 존재할 뿐이다. 환경정의에 관한 책, 자연에 대한 책, 인간의 반성에 관한 책일 것이라는 예상을 뒤엎는 지점에 이 책이 있다.
예를 들면, 생물학적 몸을 고려의 대상에서 제외하지 않는 버크는 몸을 "변화하고 있고, 변화 가능하며, 변신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녀에 따르면, 세포는 "지속적으로 자신을 새롭게 하고", 뼈는 "언제나 리모델링하며", "신체 내부들은 지속적으로 내부 또는 외부의 변화에 반응하고, 세계에 영향을 행사하고있다". (26쪽)
변화하는 몸. 리모델링되는 뼈와 변신하는 세포들. 내부 또는 외부의 변화에 반응하고, 그리고 바깥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 저자가 주창하는 대로, 페미니즘이 생물학적 결정론에 쉽게 승복하지 않고, 그것을 무의미하게 만드는 일에 노력해야 한다는 주장을 따라가다 보면, 당연히 ‘주체성 개념의 전환’(63쪽)에 맞닥뜨리게 된다.
현대 사회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가치는 무엇일까. 그 어떤 경우에라도 훼손당하지 않아야 한다고 공인되는 건 무엇일까. 인권이 아닐까. 다른 말로 하면, 현대 사회에서 제일 중요한 무언가를 한 가지만 꼽으라고 한다면, 나는 그것이 ‘나’ 혹은 ‘개인’이라고 생각한다. 집단이나 단체를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로서의 ‘개인’. ‘개인’이라는 관념은 근대 서구에서 발명된 것이다. 한국 전쟁 이후, 농업 중심의 밀집 사회에서 도시화, 산업화를 거치면서 ‘개인’에 대한 갈망은 ‘공동체 중심’의 한국 사회 전반에 강력하게 작동했다.
국가, 지역, 친족, 대가족까지 나의 확장인 ‘우리’로 여겨지던 시대가 그렇게 끝났다. 이제 아이들은 함께 살지 않는 할아버지, 할머니를 ‘우리’ 가족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의 개념이 축소될수록 개인의 개념은 더 확고해질 수밖에 없다. ‘우리’라는 집합에서 구별되는 ‘나’. 내 생각과 느낌에 더 큰 신뢰를 품게 되고, 내 시간과 공간이 더욱 소중하게 느껴진다. 바야흐로, ‘내’가 주인인 세상이 왔다. 호오의 결정이 이루어지는 지점. 그 판단의 최종 심급은 나. 바로, ‘나’이다.
사회정의를 위한 민권운동과 차별 철폐 조처affirmative action, 정체성 정치identity politics는 개인을 몸의 안과 밖의 경계가 분명하고 유기체적인 개체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는데, 인간 몸과 보건, 인권이 특정 장소의 물질 - 종종 독성 있는 물질 - 의 흐름과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면 그러한 운동의 성격이 심오하게 바뀔 것이다.
위 문단 속 여러 정치 운동의 시작점은 당연히 ‘개인’이다. 인종으로, 성별로, 계급으로 구별되는 ‘나’, ‘나’라는 구체적 대상에 대한 차별, 모멸, 박해, 폭력이 이러한 운동의 원인이자 원동력이 되어 왔다. 하지만, 만약 우리 인간이, 한 개인이 그렇게 고정된 물질이 아니라면? 몸의 안과 밖의 경계가 분명하고 유기체적인 개체가, 아니라면? 우리 인간이 그렇게 ‘닫힌’ 존재가 아니라 좀 더 ‘열린’ 존재라는 걸 인정한다면?
‘나’의 몸은 고정된 것이 아니고, ‘나’의 범위는 유동적이며, ‘나’의 내부는 외부와 영향을 주고받는다. ‘나’는 끝없이 확장된다. 그제야 우리는, 우리를 둘러싼 ‘자연’이 아닌 살된 존재fleshy beings(19쪽)로서의 ‘환경’과 마주 할 수 있다. 제대로 혹은 정면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