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열린 독서모임에서 다양한 의견들을 나눴습니다.
러셀의 단편에세이 모음집인데요.
아래와 같이 총 16개의 주제가 담겨있습니다.
001. 게으름에 대한 찬양
002. 무용한 지식과 유용한 지식
003. 건축에 대한 몇 가지 생각
004. 현대판 마이더스
005. 우리 시대 청년들의 냉소주의
006. 현대사회의 획일성
007. 인간대 곤충의 싸움
008.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009. 이성의 몰락,니체와 히틀러
010. 내가 공산주의와 파시즘을 반대하는 이유
011. 사회주의를 위한 변명
012. 서구의 문명을 어떻게 볼 것인가?
013. 금욕주의에 대하여
014. 혜성의 비밀
015. 영혼이란 무엇인가?
토론은 주로 1,2,8,9,10,11번의 주제에서 이루어졌구요.
참석하신 분들의 독서내공이 대단하신 듯, 어쩌면 그렇게 버벅거리지도 않고
다양한 저자와 책을 근거로 들면서 논리적으로 말씀하시는지
제 자신이 살짝 부끄러웠습니다.
제가 주로 이야기한 부분만 말씀드리자면,
전 두번째 주제 <무용한 지식과 유용한 지식>에 많은 공감을 표했습니다.
지금 하고 있는 독서모임이라는 것도 먹고 살기 바쁜 누군가에겐 지극히 '무용'한 짓거리 중 하나일 것입니다.
당장 '쓸모있는 공부''돈이 되는 행위'가 불필요하다는 것은 아닙니다만,
현재의 쓸모, 지금 당장의 이익을 위해 버려지고 외면당하는 가치 가운데에는
인간의 행복을 좌우할 수도 있는 결정적인 내용도 들어있습니다.
신자유주의의 정책에서 효율성만을 담보로 한 '유용한 지식'의 실용적 교육은
인간의 기능뿐 아니라 인간의 목적도 교육되어야 한다는 점을 무시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우리는 지식을 수단으로 어떤 능력을 획득하면 사회에 혜택을 주는 일에 그 능력을 사용할 것이라고 너무도 성급하게 가정해 왔었지요.
하지만, 과연 그랬었나요?
수학문제를 잘 풀고, 영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등의 이른 바 '실용적 지식'에 만점을 받아온 자들이 지금의 대한민국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잘 아실겁니다.
버트런드 러셀은 게을렀기에 지금 당장 유용하다고 여겨지는 실용에 얽매이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게으름은 나태함이 아닌 '여유'에서 비롯된 '사색'이자 '창조'의 시간입니다.
역설적으로 말씀드리면 '무위' 즉, 아무것도 하지 않은 데에서 모든 것이 나온다' 정도로 말씀드리고 싶네요.
인간의 역사는 '무용한 지식'을 탐구하는 데에서 놀라운 전기를 마련했구요.
당장에 먹고 사는 데 필요한 '쓸모'있는 지식은 그 무용한 지식에서 뻗어나온 수 많은 가지들 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토론자들 중에는 경제적인 뒷받침없이는 게으를 수가 없다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계셨는데요.
그 말씀 또한 통렬하지만, 과연 돈을 많이 벌면 그 여유를 무용한 지식을 탐구하는 데
투자할 건지는 장담할 수 없을겁니다.
물론 그 경제적인 여유의 잣대는 누구나 다를 수 있겠지만 말입니다.
하지만,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거는요
모든 가치를 압도하는 경제적 가치때문에 우린 늘 불행해지는 건 아닐까 생각해보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기껏 남겨진 한 조각의 파이로 제로섬 게임을 하는 서민들이 수백, 수천개의 파이를 얻기 위해 자라나는 아이를 다그치고, 서로가 서로에게 상처를 주는 효율성의 딜레마가 과연 행복의 지속성을 담보해 줄지는 곰곰히 생각해 볼일입니다.
다시, 원론적으로 돌아가자면 '게으름'은 어떤 목적을 가지고 피우자는 것은 아닙니다.
그 여유를 '사색'하자는 데 있다는 것입니다. 그 사색의 나무에 어떤 열매가 열릴지는
알수 없는 것이겠지요.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여가의 시간들에 대해 '빈둥거림'으로 규정짓고, 주마가편하는 이 사회는 더 이상 우리들의 휴식시간에 '죄책감'을 심겨주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